목차
무지개_원리 요약과 감상
본문내용
잃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다. 우리는 받는 자가 아니라 주는 자가 되어야 한다. 세상에는 도움의 손길에 목말라 있는 사람이 도처에 깔려 있다.
앞을 못 보는 맹인 한 분이 매일 황혼 무렵이면 등을 가지고 마을의 거리로 나섰다. 사람들이 “당신은 앞을 보지 못하는데 왜 등을 가지고 나가십니까?” 하면 이런 대답을 했다고 한다. “동네 사람들이 이 빛을 보면 도움이 되지 않겠습니까?” 하느님께서는 아브라함을 통해 세상의 모든 종족들이 복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씀하셨다. 축복을 받은 사람은 그것을 자기 자신에게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그 복을 다른 사람에게 건네주어야 하는 것이다. 누군가 우리의 사랑을 목마르게 기다리고 있다. 당신의 주위에 은혜를 베풀 만한 사람이 없는지 끊임없이 돌아보라.
19. 하는 일마다 잘되게 하는 무지개 원리
아인슈타인이 어느 날 학생들로부터 질문을 받았다. “선생님은 그렇게 해박한 지식을 갖고 계신데 어째서 배움을 멈추지 않으십니까?” 아인슈타인이 대답했다.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이 차지하는 부분을 원이라고 하면 원 밖은 모르는 부분이 됩니다. 원이 커지면 둘레도 점점 늘어나 접촉하는 부분이 더 많아지게 됩니다. 지금 저의 원은 여러분들 것보다 커서 제가 접촉한 미지의 부분이 여러분보다 더 많습니다. 모르는 게 더 많다고 할 수 있지요. 이런데 어찌 게으름을 피울 수 있겠습니까?” 과거는 어쩔 수 없다. 문제는 이제부터다. 우리가 통제할 수 있는 시간은 현재와 미래다. 어떻게 만들어갈 것인가는 전적으로 자신에게 달려 있다.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 새로운 시작으로 볼 것인가 아니면 끝마무리로 볼 것인가는 자기 자신이 결정하고 책임지면 된다.
<무지개 원리의 구조>
구 분
영역
무지개 원리
지성계발
좌뇌영역
원리1. 긍정적으로 생각하라. 원리2. 지혜의 씨앗을 뿌리라.
감성계발
우뇌영역
원리3. 꿈을 품으라. 원리4. 성취를 믿으라.
의지계발
뇌량영역
원리5. 말을 다스리라. 원리6. 습관을 길들이라.
인격화
전인영역
원리7 절대로 포기하지 말라.
20. 지금 행복하라
할리우드의 부유한 연예인이나 수백만 달러의 연봉을 받는 운동선수, 그리고 권력을 한 손에 거머쥐고 있는 정재계 인사들이 개인적으로 불행한 생활을 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그들은 알코올과 마약 중독 같은 자포자기 행동을 하거나 대중에게 파괴적인 행동을 보여 스캔들을 일으키기도 한다. 심리학자 마틴 샐리그먼은 물질이 주는 만족을 바닐라 아이스크림에 비유한다. 처음엔 아주 맛있지만 점점 별 맛을 느끼지 못하는 것처럼 물질적 기쁨도 그러하다는 것이다.
아이슬란드 사람들은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표정을 가졌다고 한다. 빙하로 둘러싸여 추위와 싸워야 하고 겨울에는 밤이 스무 시간씩 계속되는 가운데 살아가면서도 행복한 비결은 무엇일까? 이에 대해 사회학자 소르린드솔 교수는 “아이슬란드 사람의 행복비결은 생활의 안락함이 아니라 불편함에 있다. 불편함 속에서 자신이 가진 것을 감사하며 즐기는 법을 배웠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꼭 ‘이러이러하기 때문에’가 아니라, 그저 ‘그럼에도 불구하고’ 웃을 수 있는 사람이 진정 즐거움을 아는 사람이다.
갠지스 강변에 한 어부가 있었다. 하루는 고된 일과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부자가 된다면 어떻게 할까?” 하는 생각을 하였다. 그때 갑자기 작은 돌 같은 것들이 가득 찬 가죽 주머니가 발에 채였다. 그는 주머니를 주워 그 속에 든 돌 하나를 물속으로 던지며 말했다. “부자가 되면 큰 집에서 살 거야.” 그는 두 번째 돌을 던지며 말했다. “하인을 고용하고 기름진 음식을 먹을 거야.” 마지막 돌이 남을 때까지 그는 계속해서 던졌다. 그가 마지막 돌을 손에 쥐고 들어 올리자 빛을 받아 번쩍였다. 그가 던진 것은 돌이 아니라 소중한 보석이었던 것이다. 그는 가상의 ‘부’에 대해 헛된 꿈을 꾸는 동안 손에 쥐고 있던 진짜 ‘부’를 내던지고 있었던 것이다.
행복은 상대적이며 주관적인 것이다. 우리는 삶을 부유하고 행복하게 만들 수 있는 모든 것을 이미 손 안에 가지고 있다. 지금 내가 바라보고 있는 현실을 어떤 자세로 대하느냐가 나의 행복을 결정짓는다. ‘지금’ 그리고 ‘여기서’ 행복을 누릴 수 있어야 한다.
21. 무슨 일이든 감사하라
지금 당장 오늘 우리가 만나는 모든 이에게 ‘감사합니다’라고 말해보자. 그렇게 말하는 중에, 우리의 뇌는 ‘왜, 내가 저 사람에게 고맙다고 하는 거지?’ 하는 의문을 갖게 된다. 그러고 나서 뇌는 그 사람의 좋은 점을 멋대로 찾아내게 될 것이다. 즉 “아, 저 친구, 전에 내 업무를 열성적으로 도와주었잖아”와 같은 식으로 말이다. 반대로 “이 나쁜 녀석!”이라고 말하면, 이번에는 뇌가 그 사람의 나쁜 면을 찾아낸다. 따라서 우리가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라는 말을 습관화하면 우리의 뇌는 자연스럽게 타인의 좋은 면이나 작은 행복에 포커스를 맞추어서 감사의 마음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판화가 이철수가 어려운 시절에 어떤 목사에게 큰 도움을 받았다고 한다. 매우 고마워했더니 이렇게 말하더란다. “받을 때는 나에게 받았지만, 갚을 때는 다른 사람에게 갚으세요.” 이것이 감사의 순환원리다. 우리가 위로부터 받았든지 옆으로부터 받았든지 이것에 대해 감사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나도 가서 그렇게 행하는 것이다.’ 감사는 단지 베푼 이에게 돌려드리는 것으로 끝나서는 안 된다. 감사는 다른 사람들을 돕는 양식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다.
이 책을 읽은 이들이 자신과 이웃의 놀라운 변화와 체험 사례를 감사의 뜻과 함께 전해올 때마다 필자는 말한다. “이제 그 변화의 기회를 이웃에게 선물하세요. 그것이 저에게 감사를 드리는 길입니다.” 만일 이 책을 받고 감동을 받았다면 그것을 가까운 이웃들과 함께 나누라. 그 기쁨과 결실은 나누는 만큼 증가할 것이다.
본 도서요약본은 원본 도서의 주요 내용을 5% 정도로 요약 정리한 것입니다. 원본 도서에는 나머지 95%의 내용이 들어 있습니다. 보다 많은 정보와 내용은 원본 도서를 참조하시기 바라며, 본 도서요약본이 좋은 책을 고르는 길잡이가 될 수 있기 바랍니다.
앞을 못 보는 맹인 한 분이 매일 황혼 무렵이면 등을 가지고 마을의 거리로 나섰다. 사람들이 “당신은 앞을 보지 못하는데 왜 등을 가지고 나가십니까?” 하면 이런 대답을 했다고 한다. “동네 사람들이 이 빛을 보면 도움이 되지 않겠습니까?” 하느님께서는 아브라함을 통해 세상의 모든 종족들이 복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씀하셨다. 축복을 받은 사람은 그것을 자기 자신에게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그 복을 다른 사람에게 건네주어야 하는 것이다. 누군가 우리의 사랑을 목마르게 기다리고 있다. 당신의 주위에 은혜를 베풀 만한 사람이 없는지 끊임없이 돌아보라.
19. 하는 일마다 잘되게 하는 무지개 원리
아인슈타인이 어느 날 학생들로부터 질문을 받았다. “선생님은 그렇게 해박한 지식을 갖고 계신데 어째서 배움을 멈추지 않으십니까?” 아인슈타인이 대답했다.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이 차지하는 부분을 원이라고 하면 원 밖은 모르는 부분이 됩니다. 원이 커지면 둘레도 점점 늘어나 접촉하는 부분이 더 많아지게 됩니다. 지금 저의 원은 여러분들 것보다 커서 제가 접촉한 미지의 부분이 여러분보다 더 많습니다. 모르는 게 더 많다고 할 수 있지요. 이런데 어찌 게으름을 피울 수 있겠습니까?” 과거는 어쩔 수 없다. 문제는 이제부터다. 우리가 통제할 수 있는 시간은 현재와 미래다. 어떻게 만들어갈 것인가는 전적으로 자신에게 달려 있다.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 새로운 시작으로 볼 것인가 아니면 끝마무리로 볼 것인가는 자기 자신이 결정하고 책임지면 된다.
<무지개 원리의 구조>
구 분
영역
무지개 원리
지성계발
좌뇌영역
원리1. 긍정적으로 생각하라. 원리2. 지혜의 씨앗을 뿌리라.
감성계발
우뇌영역
원리3. 꿈을 품으라. 원리4. 성취를 믿으라.
의지계발
뇌량영역
원리5. 말을 다스리라. 원리6. 습관을 길들이라.
인격화
전인영역
원리7 절대로 포기하지 말라.
20. 지금 행복하라
할리우드의 부유한 연예인이나 수백만 달러의 연봉을 받는 운동선수, 그리고 권력을 한 손에 거머쥐고 있는 정재계 인사들이 개인적으로 불행한 생활을 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그들은 알코올과 마약 중독 같은 자포자기 행동을 하거나 대중에게 파괴적인 행동을 보여 스캔들을 일으키기도 한다. 심리학자 마틴 샐리그먼은 물질이 주는 만족을 바닐라 아이스크림에 비유한다. 처음엔 아주 맛있지만 점점 별 맛을 느끼지 못하는 것처럼 물질적 기쁨도 그러하다는 것이다.
아이슬란드 사람들은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표정을 가졌다고 한다. 빙하로 둘러싸여 추위와 싸워야 하고 겨울에는 밤이 스무 시간씩 계속되는 가운데 살아가면서도 행복한 비결은 무엇일까? 이에 대해 사회학자 소르린드솔 교수는 “아이슬란드 사람의 행복비결은 생활의 안락함이 아니라 불편함에 있다. 불편함 속에서 자신이 가진 것을 감사하며 즐기는 법을 배웠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꼭 ‘이러이러하기 때문에’가 아니라, 그저 ‘그럼에도 불구하고’ 웃을 수 있는 사람이 진정 즐거움을 아는 사람이다.
갠지스 강변에 한 어부가 있었다. 하루는 고된 일과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부자가 된다면 어떻게 할까?” 하는 생각을 하였다. 그때 갑자기 작은 돌 같은 것들이 가득 찬 가죽 주머니가 발에 채였다. 그는 주머니를 주워 그 속에 든 돌 하나를 물속으로 던지며 말했다. “부자가 되면 큰 집에서 살 거야.” 그는 두 번째 돌을 던지며 말했다. “하인을 고용하고 기름진 음식을 먹을 거야.” 마지막 돌이 남을 때까지 그는 계속해서 던졌다. 그가 마지막 돌을 손에 쥐고 들어 올리자 빛을 받아 번쩍였다. 그가 던진 것은 돌이 아니라 소중한 보석이었던 것이다. 그는 가상의 ‘부’에 대해 헛된 꿈을 꾸는 동안 손에 쥐고 있던 진짜 ‘부’를 내던지고 있었던 것이다.
행복은 상대적이며 주관적인 것이다. 우리는 삶을 부유하고 행복하게 만들 수 있는 모든 것을 이미 손 안에 가지고 있다. 지금 내가 바라보고 있는 현실을 어떤 자세로 대하느냐가 나의 행복을 결정짓는다. ‘지금’ 그리고 ‘여기서’ 행복을 누릴 수 있어야 한다.
21. 무슨 일이든 감사하라
지금 당장 오늘 우리가 만나는 모든 이에게 ‘감사합니다’라고 말해보자. 그렇게 말하는 중에, 우리의 뇌는 ‘왜, 내가 저 사람에게 고맙다고 하는 거지?’ 하는 의문을 갖게 된다. 그러고 나서 뇌는 그 사람의 좋은 점을 멋대로 찾아내게 될 것이다. 즉 “아, 저 친구, 전에 내 업무를 열성적으로 도와주었잖아”와 같은 식으로 말이다. 반대로 “이 나쁜 녀석!”이라고 말하면, 이번에는 뇌가 그 사람의 나쁜 면을 찾아낸다. 따라서 우리가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라는 말을 습관화하면 우리의 뇌는 자연스럽게 타인의 좋은 면이나 작은 행복에 포커스를 맞추어서 감사의 마음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판화가 이철수가 어려운 시절에 어떤 목사에게 큰 도움을 받았다고 한다. 매우 고마워했더니 이렇게 말하더란다. “받을 때는 나에게 받았지만, 갚을 때는 다른 사람에게 갚으세요.” 이것이 감사의 순환원리다. 우리가 위로부터 받았든지 옆으로부터 받았든지 이것에 대해 감사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나도 가서 그렇게 행하는 것이다.’ 감사는 단지 베푼 이에게 돌려드리는 것으로 끝나서는 안 된다. 감사는 다른 사람들을 돕는 양식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다.
이 책을 읽은 이들이 자신과 이웃의 놀라운 변화와 체험 사례를 감사의 뜻과 함께 전해올 때마다 필자는 말한다. “이제 그 변화의 기회를 이웃에게 선물하세요. 그것이 저에게 감사를 드리는 길입니다.” 만일 이 책을 받고 감동을 받았다면 그것을 가까운 이웃들과 함께 나누라. 그 기쁨과 결실은 나누는 만큼 증가할 것이다.
본 도서요약본은 원본 도서의 주요 내용을 5% 정도로 요약 정리한 것입니다. 원본 도서에는 나머지 95%의 내용이 들어 있습니다. 보다 많은 정보와 내용은 원본 도서를 참조하시기 바라며, 본 도서요약본이 좋은 책을 고르는 길잡이가 될 수 있기 바랍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