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관리지침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감염관리지침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닐 봉투에 넣어 폐기한다.
③ 골수 이식병동 식사 배식 및 퇴식상 수거 방법
골수 이식 병동 환자 식사 배식 및 퇴식상 수거시 조리원은 아래와 같은 수칙을 준수한다.
ⓐ 배식
㉠ 병동문을 열고 문 내부의 적색선까지 식사운반카트를 이동한다.
㉡ 식사배식함을 간호사에게 알리면 보호자가 식사상을 가지러 나온다.
㉢ 환자이름을 확인하며 보호자에게 식사상을 전달한다.
㉣ 이후 식사운반카트를 병동문 외부로 이동한다.
ⓑ 퇴식상 수거
㉠ 병동문을 열고 문 내부의 적색선까지 식사운반카트를 이동시킨다.
㉡ 신발을 갈아 신는다.
㉢ 이식병동내 병실 복도에 있는 병실카트를 적색선 안쪽까지 밀고 나온다.
㉣ 병실카트에 놓인 퇴식상을 식사운반카트로 이동시킨다.
㉤ 병실카트를 원위치에 이동시킨다.
㉥ 신발을 갈아 신고 식사운반카트를 이식병동 외부로 이동시킨다.
(6) 식 수
① 식수, 조리에 사용되는 물은 위생적으로 관리하여 수인성 전염병을 예방한다.
② 보리차는 매회 반드시 끓여서 제공한다
③ 정수기, 생수공급장치는 주 1회 이상 깨끗이 청소하고 정기적으로 필터를 교환한다.
④ 얼음 보관용기는 외부로부터의 2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중 밀폐상태를 유지한다.
⑤ 음용수를 일시 보관하거나 또는 냉장하여 공급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소형 또는 중형용기는 매일뜨거운 물로 철저히 세척하고, 특히 뚜껑부분의 세척에 유의하며 반드시 뚜껑을 덮는다.
(7) 쓰레기 처리
가. 일반쓰레기
① 일반쓰레기는 종류별로 분리 수거한다.
② 조리장 전역에는 내수성 재질의 뚜껑이 있는 쓰레기통으로 녹색 쓰레기봉투를 끼워 처리한다.
③ 캔류, 병류, 프라스틱류 등은 분리수거한다.
④ 우유팩류는 내용물을 깨끗이 비운 후 모아 월 1회 재활용처로 이동시킨다.
나. 음식물 쓰레기
① 남은 음식을 처리하는 곳은 식기세척 장소에 위치하며, 식품의 조리생산 및 보관 장소와 분리하여 놓는다.
② 잔반 수거통은 내수성 재질의 잔반 전용의 용기를 사용하며, 매회 세척하고 1일 1회 소독하여 해충, 바퀴벌레, 쥐등이 접근할 수 없도록 관리를 철저히 한다.
③ 발생한 음식물 쓰레기는 당일 처리한다.
④ 음식물 쓰레기는 가축의 사료로 재활용하거나 퇴비화 시설을 이용하여 처리한다.
⑤ 오물 처리시 식품이나 식기구에 닿지 않도록 한다.
(8) 해충구제
① 파리, 바퀴벌레 등은 식중독이나 경구 전염병 발생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해충이 서식하지 않도록 음식물 찌꺼기나 남은 음식, 수분 등을 남겨 놓지 않도록 청결을 유지해야 한다.
② 구충구서 작업은 월 1회 전문회사에 의뢰하여 작업종료후 실시한다.
③ 쥐는 식중독의 원인이 되는 살모넬라균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조리장내에 들어오지 않도록 한다.
④ 바퀴는 소화기계 전염병의 원인균, 결핵균 등의 병원균을 옮겨주는 해충으로 증식이 빠르므로 흡연분무제등을 사용하여 살포하도록 한다.
⑤ 해충의 오염이 없도록 쓰레기통은 반드시 뚜껑을 닫도록 하며 창문에는 방충망 시설을 하고 파손되지 않도록 정기점검을 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33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