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단점
→PEEP로 인해 흉곽내 압력을 증가시키고 정맥혈이 심장으로 귀환하는 것을 감소시킨다.
Ⅴ. 지속성 기도양압( continuo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⑴ CPAP
→자발적인 호흡을 하는 대상자의 기도에 호기말 양압이 가해지는 방식이다.
→PEEP와의 차이는 대상자가 인공호흡기 보조를 받지 않고 자발적으로 호흡하는 것이 다.
→적절한 1회 호흡용적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은 있으나 적절한 조직 산화의 유지를 방해 하는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사용된다.
→기계적 인공호흡이 부족하기 때문에 평균 기도압이 낮다. 이것은 압력으로 인한 손상의 위험과 정맥귀환의 장애를 감소시킨다.
⑵ 방법
→인공호흡기의 횟수가 "0"일 때 인공호흡기를 통해 운반되거나 인공호흡기가 필요하지 않은 분리된 CPAPcircuitry를 통해 운반된다.
인공호흡기 사용환자의 간호
*매 근무교대마다 인공호흡기 환기양식이 처방대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기록한다.
(1회호흡량, PEEP, 호흡수, FiO2 등)
*대상자 상태에 맞게 경보를 설정하고 경보음이 울리면 원인을 즉시 해결한다.
*튜브에 고인 물을 자주 제거한다.
*대상자의 호흡상태를 관찰한다.(흉곽의 움직임, 호흡곤란, 피부색, 특히 입술과 손톱의 색, 청진 시 나음, 천식음, 호흡음, 맥박산소 측정기(Pulse oximetry), ABGA결과, 두통, 불안, 혼돈, 기면, 빈맥, 부정맥등)
*활력징후를 모니터한다.
*인공기도의 cuff 압력을 적절히 유지한다.(20mmHg)
*필요시 무균법을 이용하여 흡인한다.
*기관내관의 위치를 확인하고 부적절할 때의 증상, 징후를 관찰한다.
*기관내관 또는 기관절개관 주의는 청결히 하고 필요에 따라 테이프로 재고정시킨다.
*기관내관은 매 24시간마다 구강의 반대편 쪽으로 고정시켜 궤양을 예방한다.
*흉부 물리요법, ROM운동을 계획하여 실시한다.
*폐 감염증상, 징후를 관찰한다.
*통증이나 불안을 감소시킨다.
*밤에는 가능한 충분히 휴식을 취하게 한다.
*적절한 의사소통 방법을 사용한다.
*인공호흡기, 가습기, 필터를 규칙적으로 소독하여 교환한다.(매 5일마다.)
*인공호흡기 기계는 매일 소독제로 닦아 청결을 유지한다.
*합병증을 관찰한다.(혈액학적 불안정, 폐손상, 무기폐, 기관내관이탈, 병원감염, 산 염기 장애, 체액과다, 위장관 출혈, 황달, 영양결핍, 기관지손상,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문제)
*소생백, 산소마스크, 구강기도 등을 침상가에 늘 준비한다.
정서적 간호
*환자의 불안에 대해서 변화가 있을 때 설명을 해주고, 행해질 모니터와 관찰사항을 설명해 준다.
*환자를 안심시키기 위해 안전장치와 경보기에 대해 설명을 해준다.
*의사소통에 관한 문제를 해결해 주도록 한다.
*수면장애, 시청각 자극으로 인한 계속적인 감각장애 등으로 환자는 심각한 행동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창문, 시계, 큰 달력 등은 환자가 지남력을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지지체계를 이용하고, 환자가 현재 필요한 간호를 제공받고 있다는 확신감을 환자에게 주어야 한다.
*희망을 증진시킨고 독립심을 유발하기 위해 간호에 환자의 참여를 격려한다.
인공호흡기의 사용중단 (weaning)
→ 호흡부전의 원인이 해결되었을 때 점차적으로 중단
→ 인공호흡기 사용의 중단과정은 (인공호흡기의 제거->기관내관 혹은 기관절개관 제거-> 산소공급중단)
인공호흡기 사용중단 기준
1. 흡기력(inspiratory force) 〉 25cmH₂O
2. 일회호흡량(Tidal volume) 〉 5ml/kg
3. 폐활량(Vital capacity) 〉 10-15ml/kg
4. 호흡수(Raspiration) 12회/분-20회/분
5. 호기력(Expiratory force) 〉+60cmH₂O
6. 안정시 분당 환기량 〉10 lmin
7. 동맥혈 탄산가스 분압(PaCO₂) 35-45mmHg
8. 동맥혈 산소분압(PaO₂) 60%이상(FiO₂40%이하 사용시)
9. 1회 호흡량에 대한 사강 0.55- 0.60
10. 100% 산소에서 동맥혈 산소분압 〉300mmHg
11. 혼입(shunt fraction) 〈15%
인공호흡기 중단시기
a. 인공호흡기의 중단을 위한 환자상태를 사정한다.
① 생리학상 자발적인 호흡의 가능여부
② 폐검사, 동맥혈 가스검사, 흉부 X-선 검사를 통한 폐기능의 호전 여부
b. 호흡기 부전을 초래할 수 있는 요소들을 사정한다.
① 산염기 이상
② 전해질 이상
③ 발열
④ 비정상적인 수분균형
⑤ 의식상태 저하
c. 중단하기 위해 심리적으로 지지한다.
① 중단절차에 대해 설명
②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킴
d. 중단하기 위해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e. 환자를 좌위나 반좌위로 취해준다.
f. 아침시간에 행하는 것이 좋다.
g. 중단시기에 다음의 사항을 관찰, 기록한다.
① 활력징후
② 동맥혈 가스검사 결과
③ Fi02
④ 중단시간과 기간
인공호흡기 사용중단 과정에 이용되는 방법
1. T- piece
인공호흡기를 떼고 T-tube를 기도에 부착하여 가습된 산소를 공급해서 2시간 정도 자가 호흡을 하여 잘 견디면 인공호흡기를 제거하는 것이다.
이 체계는 완전하게 자발적인 호흡을 하고 있는 동안 기관내관 또는 기관지절개관을 가 진 환자에게 풍부한 산소와 습도를 공급한다.
2. IMV( 간헐적 강제 환기)
처음에는 완전호흡조절에서 시작하여 점처로 IMV 수를 줄이고 자발적 호흡을 늘려서 IMV수가 2-4회/분 정도 되면 인공호흡기 제거를 고려하는 방법이다.
3. 압력지지환기(pressure support ventilation, PSV)
1회호흡량 8-10 ml/kg, 호흡수, 25/min 정도를 유지하면서 대상자가 편안할수 있는 정도 의 압력을 유지하고 압력보조수준을 점차 2-4 cmH₂O 정도씩 내려서 인공호흡기 튜브 에 의한 저항을 이기는데 필요한 최소압력 보조수준(minimal pressure spport level: 약 8cm)까지 내리면 인공호흡기의 제거를 고려한다.
→PEEP로 인해 흉곽내 압력을 증가시키고 정맥혈이 심장으로 귀환하는 것을 감소시킨다.
Ⅴ. 지속성 기도양압( continuo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⑴ CPAP
→자발적인 호흡을 하는 대상자의 기도에 호기말 양압이 가해지는 방식이다.
→PEEP와의 차이는 대상자가 인공호흡기 보조를 받지 않고 자발적으로 호흡하는 것이 다.
→적절한 1회 호흡용적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은 있으나 적절한 조직 산화의 유지를 방해 하는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사용된다.
→기계적 인공호흡이 부족하기 때문에 평균 기도압이 낮다. 이것은 압력으로 인한 손상의 위험과 정맥귀환의 장애를 감소시킨다.
⑵ 방법
→인공호흡기의 횟수가 "0"일 때 인공호흡기를 통해 운반되거나 인공호흡기가 필요하지 않은 분리된 CPAPcircuitry를 통해 운반된다.
인공호흡기 사용환자의 간호
*매 근무교대마다 인공호흡기 환기양식이 처방대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기록한다.
(1회호흡량, PEEP, 호흡수, FiO2 등)
*대상자 상태에 맞게 경보를 설정하고 경보음이 울리면 원인을 즉시 해결한다.
*튜브에 고인 물을 자주 제거한다.
*대상자의 호흡상태를 관찰한다.(흉곽의 움직임, 호흡곤란, 피부색, 특히 입술과 손톱의 색, 청진 시 나음, 천식음, 호흡음, 맥박산소 측정기(Pulse oximetry), ABGA결과, 두통, 불안, 혼돈, 기면, 빈맥, 부정맥등)
*활력징후를 모니터한다.
*인공기도의 cuff 압력을 적절히 유지한다.(20mmHg)
*필요시 무균법을 이용하여 흡인한다.
*기관내관의 위치를 확인하고 부적절할 때의 증상, 징후를 관찰한다.
*기관내관 또는 기관절개관 주의는 청결히 하고 필요에 따라 테이프로 재고정시킨다.
*기관내관은 매 24시간마다 구강의 반대편 쪽으로 고정시켜 궤양을 예방한다.
*흉부 물리요법, ROM운동을 계획하여 실시한다.
*폐 감염증상, 징후를 관찰한다.
*통증이나 불안을 감소시킨다.
*밤에는 가능한 충분히 휴식을 취하게 한다.
*적절한 의사소통 방법을 사용한다.
*인공호흡기, 가습기, 필터를 규칙적으로 소독하여 교환한다.(매 5일마다.)
*인공호흡기 기계는 매일 소독제로 닦아 청결을 유지한다.
*합병증을 관찰한다.(혈액학적 불안정, 폐손상, 무기폐, 기관내관이탈, 병원감염, 산 염기 장애, 체액과다, 위장관 출혈, 황달, 영양결핍, 기관지손상,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문제)
*소생백, 산소마스크, 구강기도 등을 침상가에 늘 준비한다.
정서적 간호
*환자의 불안에 대해서 변화가 있을 때 설명을 해주고, 행해질 모니터와 관찰사항을 설명해 준다.
*환자를 안심시키기 위해 안전장치와 경보기에 대해 설명을 해준다.
*의사소통에 관한 문제를 해결해 주도록 한다.
*수면장애, 시청각 자극으로 인한 계속적인 감각장애 등으로 환자는 심각한 행동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창문, 시계, 큰 달력 등은 환자가 지남력을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지지체계를 이용하고, 환자가 현재 필요한 간호를 제공받고 있다는 확신감을 환자에게 주어야 한다.
*희망을 증진시킨고 독립심을 유발하기 위해 간호에 환자의 참여를 격려한다.
인공호흡기의 사용중단 (weaning)
→ 호흡부전의 원인이 해결되었을 때 점차적으로 중단
→ 인공호흡기 사용의 중단과정은 (인공호흡기의 제거->기관내관 혹은 기관절개관 제거-> 산소공급중단)
인공호흡기 사용중단 기준
1. 흡기력(inspiratory force) 〉 25cmH₂O
2. 일회호흡량(Tidal volume) 〉 5ml/kg
3. 폐활량(Vital capacity) 〉 10-15ml/kg
4. 호흡수(Raspiration) 12회/분-20회/분
5. 호기력(Expiratory force) 〉+60cmH₂O
6. 안정시 분당 환기량 〉10 lmin
7. 동맥혈 탄산가스 분압(PaCO₂) 35-45mmHg
8. 동맥혈 산소분압(PaO₂) 60%이상(FiO₂40%이하 사용시)
9. 1회 호흡량에 대한 사강 0.55- 0.60
10. 100% 산소에서 동맥혈 산소분압 〉300mmHg
11. 혼입(shunt fraction) 〈15%
인공호흡기 중단시기
a. 인공호흡기의 중단을 위한 환자상태를 사정한다.
① 생리학상 자발적인 호흡의 가능여부
② 폐검사, 동맥혈 가스검사, 흉부 X-선 검사를 통한 폐기능의 호전 여부
b. 호흡기 부전을 초래할 수 있는 요소들을 사정한다.
① 산염기 이상
② 전해질 이상
③ 발열
④ 비정상적인 수분균형
⑤ 의식상태 저하
c. 중단하기 위해 심리적으로 지지한다.
① 중단절차에 대해 설명
②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킴
d. 중단하기 위해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e. 환자를 좌위나 반좌위로 취해준다.
f. 아침시간에 행하는 것이 좋다.
g. 중단시기에 다음의 사항을 관찰, 기록한다.
① 활력징후
② 동맥혈 가스검사 결과
③ Fi02
④ 중단시간과 기간
인공호흡기 사용중단 과정에 이용되는 방법
1. T- piece
인공호흡기를 떼고 T-tube를 기도에 부착하여 가습된 산소를 공급해서 2시간 정도 자가 호흡을 하여 잘 견디면 인공호흡기를 제거하는 것이다.
이 체계는 완전하게 자발적인 호흡을 하고 있는 동안 기관내관 또는 기관지절개관을 가 진 환자에게 풍부한 산소와 습도를 공급한다.
2. IMV( 간헐적 강제 환기)
처음에는 완전호흡조절에서 시작하여 점처로 IMV 수를 줄이고 자발적 호흡을 늘려서 IMV수가 2-4회/분 정도 되면 인공호흡기 제거를 고려하는 방법이다.
3. 압력지지환기(pressure support ventilation, PSV)
1회호흡량 8-10 ml/kg, 호흡수, 25/min 정도를 유지하면서 대상자가 편안할수 있는 정도 의 압력을 유지하고 압력보조수준을 점차 2-4 cmH₂O 정도씩 내려서 인공호흡기 튜브 에 의한 저항을 이기는데 필요한 최소압력 보조수준(minimal pressure spport level: 약 8cm)까지 내리면 인공호흡기의 제거를 고려한다.
추천자료
성인간호학(내과-호흡기) 저널 해석본
기침 및 잦은 기도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 간호과정과 모아애착과 관련된 간호
[간호]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
[간호학]호흡곤란환자를 위한 자세
호흡장애 환자 간호 모듈 개발
성인간호학(호흡기계,심장)
호흡기계의 구조 기능 질병 간호 진단검사
분만직후 신생아 간호(건강사정, 호흡, 근육긴장도, 반사반응, 눈간호, 기도관리, 제대간호)
호흡기 응급상황 간호
RDS 조사 - 미숙아 (PREMATURITY),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IRDS), 신생아실 및 NICU 간호기술
[아동건강간호학] 호흡장애 PPT
노화와 관련된 호흡기계변화(천식, COPD, 만성기관지염, 폐기종, 폐렴, 질환에 따른 간호)
산부간호 케이스 CASE STUDY (주 간호과정은 통증으로 인한 비효율적 호흡양상입니다.)
신생아 호흡기능장애 정리_병태생리, 치료적관리, 간호중재 등 (아동간호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