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부모가정 복지정책, 달라져야한다
본문내용
시설, 부자가족복지시설, 미혼모자가족복지시설, 일시보호시설, 한부모가족복지상담소)
※충북내 시설
시설종류
시설명
시설장
전화번호/팩스번호
운영주체
모부자 보호시설
성가마을
신경옥
043-211-5923(전화)
043-216-5923(팩스)
천주교회 청주교구
유지재단
모자자립시설
상록수
정은경
043-269-2070(전화
043-269-2071(팩스)
청주YWCA
미혼모자시설
자모원
유순희
043-212-0437(전화
043-212-2248(팩스)
천주교회 청주교구
유지재단
3) 미혼모 부 거점 기관 운영
- 서울 등 전국의 6개 거점기관(건강가정지원센터)*을 통해 자녀양육 및 경제자립을 위한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지원서비스를 제공
시도명
운영기관명
소제지
연락처
서울특별시
서울건강가정지원센터
서울시 구로구 구로4동 98-5 2층
(서울시한부모가족지원센터)
02-861-3024
팩스)861-3024
부산광역시
사하구건강지원센터
부산시 사하구 당리동 318-11
051-202-3361
팩스)202-2984
광주광역시
광주동구건강가정지원센터
광주시 동구 산수동 519-4
062-234-5792
팩스)234-5794
경 기 도
안산시건강가정지원센터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이동 716-2 201호
031-502-7982
충청북도
청주시건강가정지원센터
충북도 청주시 흥덕구 개신동 12
충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119호
043-263-1817
팩스)263-1819
전라남도
여수시건강가정지원센터
전남도 여수시 마평동 591-5-9
(여성문화회관내)
061-690-7158
팩스)690-8249
- 지원 내용
① 임신 초기부터 온-오프라인 상담 및 종합적인 정보 제공
② 자녀출산 및 양육과정에서 응급상황 발생 시 아이병원비, 생필품 등 지원
③ 미혼모 · 부자를 위한 문화체험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
④ 자조 모임 운영을 지원하여 미혼모 · 부간 자립경험 공유 및 네트워크 구축
4. 취약가족 역량강화 사업
1) 대상자
-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최저생계비 이하 비수급 빈곤층, 저소득 여성가장, 가족역량이 부족한 부자, 미혼모 · 부자, 조손가정을 포함한 한부모가족 등
2) 주요 사업내용
- 전국 5개 건강가정지원센터(부산, 안산, 천안, 광양, 포항)*에서 사례관리를 통해 취약 가족의 복합적인 어려움 해결 및 욕구 충족
- 취약가족의 취업, 자녀, 주거문제 등 개별문제 해결에 필요한 맞춤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각종 후원단체, 한부모가족 복지시설 등 지역사회 자원 연계 및 발굴 지원
※5개 기관 현황
지역
기관명(위탁운영주체)
소제지
연락처
부산
사하구 건강가정지원센터
(대한건강증진협회)
부산시 사하구 당리동 318-11
051-202-3361
경기
안산건강가정지원센터
(본오종합사회복지관)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203-1
031-410-1044
충남
천안시 건강가정지원센터
(천안대학교)
천안시 서북구 성정2동1519
041-550-2771
전남
광양건강가정지원센터
(순천 청암대학교)
광양시 중동 1534-4
061-793-6893
경북
포항시 건강가정지원센터(직영)
포항시 북구 동빈1가 74-15
054-244-9009
5. 한부모가족 자녀양육비 이행확보 무료 법률 구조사업
1) 사업 내용
- 한부모가족 자녀양육비 청구 소송 지원(법률 상담, 소송대리 등)
- 미혼부 상대 자녀 인지청구 소송 지원(유전자 검사 등)
- 자녀양육비 이행확보 지원(과태료, 이행명령, 감치처분 등)
※관련부처 연계사업
- 임대주택 및 다가구 매입주택 우선 입주 및 공급물량 확대로 주거안정지원(국토해양부)
- 취업상담, 직업훈련 등 고용지원 강화(노동부)
- 지역건강보험료 할인(보험정책과)
※충북내 시설
시설종류
시설명
시설장
전화번호/팩스번호
운영주체
모부자 보호시설
성가마을
신경옥
043-211-5923(전화)
043-216-5923(팩스)
천주교회 청주교구
유지재단
모자자립시설
상록수
정은경
043-269-2070(전화
043-269-2071(팩스)
청주YWCA
미혼모자시설
자모원
유순희
043-212-0437(전화
043-212-2248(팩스)
천주교회 청주교구
유지재단
3) 미혼모 부 거점 기관 운영
- 서울 등 전국의 6개 거점기관(건강가정지원센터)*을 통해 자녀양육 및 경제자립을 위한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지원서비스를 제공
시도명
운영기관명
소제지
연락처
서울특별시
서울건강가정지원센터
서울시 구로구 구로4동 98-5 2층
(서울시한부모가족지원센터)
02-861-3024
팩스)861-3024
부산광역시
사하구건강지원센터
부산시 사하구 당리동 318-11
051-202-3361
팩스)202-2984
광주광역시
광주동구건강가정지원센터
광주시 동구 산수동 519-4
062-234-5792
팩스)234-5794
경 기 도
안산시건강가정지원센터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이동 716-2 201호
031-502-7982
충청북도
청주시건강가정지원센터
충북도 청주시 흥덕구 개신동 12
충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119호
043-263-1817
팩스)263-1819
전라남도
여수시건강가정지원센터
전남도 여수시 마평동 591-5-9
(여성문화회관내)
061-690-7158
팩스)690-8249
- 지원 내용
① 임신 초기부터 온-오프라인 상담 및 종합적인 정보 제공
② 자녀출산 및 양육과정에서 응급상황 발생 시 아이병원비, 생필품 등 지원
③ 미혼모 · 부자를 위한 문화체험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
④ 자조 모임 운영을 지원하여 미혼모 · 부간 자립경험 공유 및 네트워크 구축
4. 취약가족 역량강화 사업
1) 대상자
-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최저생계비 이하 비수급 빈곤층, 저소득 여성가장, 가족역량이 부족한 부자, 미혼모 · 부자, 조손가정을 포함한 한부모가족 등
2) 주요 사업내용
- 전국 5개 건강가정지원센터(부산, 안산, 천안, 광양, 포항)*에서 사례관리를 통해 취약 가족의 복합적인 어려움 해결 및 욕구 충족
- 취약가족의 취업, 자녀, 주거문제 등 개별문제 해결에 필요한 맞춤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각종 후원단체, 한부모가족 복지시설 등 지역사회 자원 연계 및 발굴 지원
※5개 기관 현황
지역
기관명(위탁운영주체)
소제지
연락처
부산
사하구 건강가정지원센터
(대한건강증진협회)
부산시 사하구 당리동 318-11
051-202-3361
경기
안산건강가정지원센터
(본오종합사회복지관)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203-1
031-410-1044
충남
천안시 건강가정지원센터
(천안대학교)
천안시 서북구 성정2동1519
041-550-2771
전남
광양건강가정지원센터
(순천 청암대학교)
광양시 중동 1534-4
061-793-6893
경북
포항시 건강가정지원센터(직영)
포항시 북구 동빈1가 74-15
054-244-9009
5. 한부모가족 자녀양육비 이행확보 무료 법률 구조사업
1) 사업 내용
- 한부모가족 자녀양육비 청구 소송 지원(법률 상담, 소송대리 등)
- 미혼부 상대 자녀 인지청구 소송 지원(유전자 검사 등)
- 자녀양육비 이행확보 지원(과태료, 이행명령, 감치처분 등)
※관련부처 연계사업
- 임대주택 및 다가구 매입주택 우선 입주 및 공급물량 확대로 주거안정지원(국토해양부)
- 취업상담, 직업훈련 등 고용지원 강화(노동부)
- 지역건강보험료 할인(보험정책과)
추천자료
한부모 가정과 자녀교육
저소득 여성 한부모가족(모자가정)의 아동보호 및 지원사업 사회복지 사업계획서
한부모 가정에 대하여..
한부모 가정 - 모자가정
한부모 가정에 대한 서비스제공 현황과 지원 대책
한부모 가정, 개념, 특징, 역할, 문제점, 한계점, 결론
한부모 가정에 대한 서비스 현황
한부모 가족지원법과 건강가정지원법 요약
한부모 가정의 분석과 필요한 정책 프로그램
한부모 가정 지원 방안
[아동복지론] 빈곤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빈곤아동의 특성 및 문제, 한부모가족 아동의 ...
재구성 가족, 조손 가족, 나홀로 가정, 맞벌이 가정, 한부모 가정에서 양육되는 자녀들이 각...
한부모 가정의 행복찾기 자조모임 프로그램을 통한 따뜻한 가정꾸리기 - “happy start~ singl...
사회복지 프로그램) 저소득 한부모 모자 가정의 가족관계 증진을 위한 모자집단프로그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