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어복지 실천 기술론 (간호기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케어복지 실천 기술론 (간호기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케어복지 실천 기술론 (간호기술)

본문내용

또는 의안은 조심하여 다루며 환자 자신이 간수할 수 없을 때는 도와주어야 한다.
6) 보행과 균형의 관리
치매 환자는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로 운동기능에 문제를 나타낸다. 관절이 뻣뻣해지고 동작을 취하기 어려워진다. 의자에 앉기도 어려워지고 눕는 것도 힘들어 할 수 있다. 구부정한 자세로 곧 쓰러질 듯이 걷거나 질질 끌 듯이 걸을 수도 있다. 이 정도가 되면 누군가가 옆에서 따라다니며 보살펴 주어야 한다. 자칫 넘어지거나 부딪혀 다칠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1) 부축하는 사람은 몸을 앞으로 기울이지 말아야 하며 앞으로 나아갈 때도 몸을 너무 굽히는 자세를 취해서는 안 된다.
(2) 부득이 몸을 구부려야 하는 경우가 생기면 무릎을 굽히도록 하고, 가능하면 허리는 굽히지 않도록 한다.
(3) 환자가 보호자의 팔을 잡고 걸을 수 있으면 제일 좋으나 그렇지 못한 경우는 보호자가 환자의 겨드랑이에 팔을 넣고 떠받치듯이 잡아야 한다. 이때 환자에게 보호자의 체중이 실리거나 환자의 체중이 보호자에게 쏠리면 넘어질 위험이 있으므로 작은 각의 ㅅ자 형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4) 보호자가 힘이 들면 무조건 쉬어야 한다.
(5) 환자를 앞에서 당기는 듯한 자세는 좋지 못하다.
7) 체위변경 및 환자운반법
환자를 움직이도록 하는 것은 근육강도와 관절기능을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욕창을 예방하고 호흡순환계 기능, 소화 기능, 배설 기능을 증진시키며, 신체적, 정신적 편안감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스스로 움직일 수 없는 환자는 체위를 변경하거나 이동 및 보행을 할 때 보호자에게 의존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보호자는 균형을 유지하면서 환자를 편안하고 안전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1) 환자를 돌려 눕히는 법
가. 보호자 반대쪽으로 돌려 눕히는 법
방 법 : ① 환자 가까이 서서 무릎을 약간 구부리고 발을 앞뒤로 벌린다.
② 환자를 보호자 쪽으로 끌어온다.
③ 보호자 쪽에 있는 팔은 환자 가슴 위에 얹고 반대편 팔은 팔꿈치를 구부려 머리 옆에 놓도록 한다.
④ 보호자 쪽의 다리를 반대편 무릎 위에 얹도록 한다.
⑤ 환자의 어깨와 둔부를 잡아 반대편으로 한다.
⑥ 측위의 신체선열을 맞추어 주고, 베개를 등, 팔, 무릎에 받쳐준다. 환자 등에 중심을 맞추어 머리, 목, 둔부까지 일직선상에 있도록 한다.
나. 보호자 쪽으로 돌려 눕히는 법
방 법 : ① 환자 가까이 서서 무릎을 구부리고 발을 앞뒤로 벌린다.
② 보호자 반대편에 있는 환자의 무릎을 구부리게 하고 두팔을 가슴 위에 얹도록 한다.
③ 보호자는 환자의 먼쪽 어깨를 한 손으로 잡고 다른 한 손으로 반대편 둔부나 무릎 밑을 잡는다.
④ 환자를 보호자 쪽으로 돌려 눕힌다.
8) 체온유지 및 온냉요법
인간은 외부 온도 변화에 상관없이 약 37℃로 일정하게 내부 온도를 유지한다. 이러한 조절 기능은 시상하부에 위치한 체온조절중추에서의 신경전달이나 갑상선과 부신호르몬 등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체온조절중추나 조절 매개체에 이상이 생기면 열이 발생하거나 저체온이 된다. 체온이 장시간 동안 24℃이하로 떨어지거나 45℃이상으로 상승할 경우에는 아주 위험하다.
(1) 온요법
1) 더운물 주머니(Hot water bottle)
방 법 :
① 물주머니에 46~52℃의 물을 1/2~2/3정도 붓고 평평한 곳에 놓은 다음, 주머니 입구까지 물이 올라오게 기울여 공기를 빼고 마개를 잠근다.
② 물이 새지 않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주머니 밖의 물기를 수건으로 닦은 후 거꾸로 들고 흔들어 본 후 싸개를 씌운다.
③ 환자나 가족에게 적용목적, 방법, 유의사항을 설명한다.
④ 환자의 피부상태를 관찰한 후 대준다.
⑤ 20~30분간 지속한다. 처치가 끝난 후 피부에 물기가 남아있으면 말려준다.
⑥ 사용된 더운물의 온도, 피부 상태, 효과 등을 따로 기록해 둔다.
⑦ 싸개는 세탁실에 보내고 더운물 주머니가 마르는 동안 붙지 않도록 공기를 넣어 거꾸로 매달아 놓는다.
(2) 냉요법
a. 얼음주머니(Ice bag)
방 법 :
① 찬물로 주머니를 채워 새는 곳이 있나 확인한다.
② 얼음을 호도알만한 크기로 깨뜨려서 물에 잠시 씻는다.
③ 주머니에 1/2~2/3의 얼음을 채우고 주머니 속의 공기를 뺀다.
④ 싸개나 베갯잇 속에 얼음주머니를 넣는다.
⑤ 피부상태를 관찰한 후 30분 동안 적용하고 1시간 정도 쉰다.
⑥ 얼음이 녹으면 다시 채우고 필요하면 싸개도 갈아준다.
⑦얼음주머니에 공기를 넣어 보관하고 싸개는 세탁실에 보낸다.
⑧얼음주머니 적용해준 내용, 치료효과 등을 상세히 기록한다.
b. 냉찜질
방 법 :
① 준비된 물건을 침상가로 가지고 간다.
②얼음물 대야에 찜질 수건을 넣어 적신 후 수건에 남은 물을 짜내고 신체 부위에 적용한다.
③ 냉기가 유지되도록 습포를 2~3분마다 갈아준다.
④ 냉습포의 적용시간은 20분을 넘지 않도록 한다.
⑤ 치료가 끝난 후 곧 그 부위를 부드럽게 말리고 침구나 옷이 젖었으면 갈아준다.
⑥ 냉찜질 해준 것과 치료효과 등을 기록한다.
9) 식사, 술 및 담배
환자들은 자신이 식사를 했는지조차 기억하지 못하고, 식기를 사용하는 방법도 잊어버리게 되며 말기 환자들은 씹거나 삼키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도와주어야 한다.
환자들에게 적당량의 술은 별로 상관이 없으나 약을 복용하는 환자들은 주의해야 한다. 담배는 화재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성이 크고 환자의 건강을 해치게 되므로 삼가도록 한다.
(1) 방법
① 환자들에게 식사하는 방법을 자세히 가르쳐 준다.
② 손으로 집어먹을 수 있는 식사를 만들어 준다.
③ 음식을 잘게 썰어 목이 막히지 않도록 하고 음식을 으깨거나 주스로 만들어 주도록 한다.
④ 서두르지 않고 천천히 먹도록 한다.
⑤ 환자들은 음식이 차거나 뜨거운 것에 대한 감각이 없는 경우가 있으므로 뜨거운 음식은 특히 주의해야 한다.
⑥ 조금씩 자주 먹도록 한다.
⑦ 환자가 담배를 피울 때 주의를 주거나 아예 금연을 시킨다.
⑧ 환자가 복용하고 있는 약이나 술을 의사와 함께 점검해 본다.

키워드

케어,   복지,   실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86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