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낙스와 스코틀랜드 종교개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존낙스와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하여 안정적인 입장에 있지 못함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자신을 침묵케 하려고 헛되이 시도한 여왕과 갈등에 빠지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았다. 메리의 통치는 불안을 가중시켰고, 급기야 시민전쟁과 그녀의 퇴위와 망명을 초래했다. 악한 시대의 원인을 낙스는 많은 사람들이 하나님의 말씀의 순수함에서 벗어나 세상을 좇고, 마귀와 우상숭배를 허용했다는 점에서 찾았다. 그는 1567년 7월 어린 제임스 6세가 왕으로 즉위할 때 설교했다. 그러나 이것은 동시에 목사로서의 그의 적극적인 활동의 종점이기도 했다.
생애 말년에 그는 종교가 "정치 속에 사라졌고 그리스도의 복음이 계략과 음모속에 잊혀졌다"고 느꼈다(Dickinson. History I, LXIII). 임종하면서 그는 이렇게 썼다. "세상이 나에게 진저리가 나듯이, 나 역시 세상이 진저리가 난다". 그는 1572년 11월 24일 에딘버러에서 죽었다.
2. 낙스의 개혁운동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은 1560년에 절정에 이르렀다. 개혁자들과 영국이 하나가 되고, 프랑스와 카톨릭이 한편이 되어 접전했으나, 프랑스는 항복했고, 카톨릭의 중심지인 리스(Leith)가 함락되어 1560년 스코틀랜드, 영국, 프랑스 사이에 에딘버러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으로 영국과 프랑스는 그 땅에서 물러났다. 이제 스코틀랜드는 개혁자들의 수중에 들어왔다. 낙스를 중심한 개혁 진영은 로마 교황청의 영향력을 완전히 일소시키고, 미사를 금했으며, 카톨릭적인 모든 집회를 불법으로 간주했다. 프랑스와는 외교 단절을 선언했다. 계층구조적 교회 제도의 악습과 오류를 비판했고, 교육개혁과 빈민 구제를 결의하고, 치리서와 신앙고백서를 마련하기 위해 신조작성 위원회를 구성했다.
낙스를 중심한 신조작성 위원회는 4일만에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서』를 작성했다. 총 25개 조항으로 구성된, 신앙고백서는 참된 교회의 특징은 1) 하나님 말씀을 전파하고, 2) 예수께서 세우신 성례를 집전하며, 3) 하나님 말씀을 따라 권징을 정당하게 집행하는 것이라고 쓰고 있다. 1561년 12월 스코틀랜드 장로교 총회가 조직되었고, 『치리서』를 채택하여 교회 개혁의 지침으로 삼았다. 치리서는 장로교회 정부 형태를 채택했으며, 교회 직원을 목사, 장로, 집사로 나누었고, 장로와 집사는 1년에 한번씩 선거하도록 했다. 1564년에는 『공동예배의식서』가 마련되었다. 종교개혁의 특징인 예배에서 설교가 중요함을 여기서 재확인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89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