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 평(집단별 조사방법, 표본별 등)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2. 연구의 방법, 범위 및 제한점

Ⅱ. 노인교육의 이념 및 필요성

Ⅲ. 연구설계

1. 조사대상 및 조사방법

2. 조사도구 및 자료처리

Ⅳ. 조사결과분석

1. 조사대상자의 사회경제적 특성

2. 참여 노인교육프로그램 만족도

3. 교육참여 후 변화정도

4. 노인교육의 선호분야

5. 향후 노인교육 활성화 과제

Ⅴ.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되었으나 실제로는 3.3%로 이것도 거의 강의로 대체되었을 뿐 실제로 사회봉사를 하거나 사회봉사를 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안내하는 수준은 아니었다. 이러한 현상은 프로그램 운영진이 퇴직 대학교수들로 구성되어 강사수배를 대부분 대학교수들로 충당함에 따른 결과로 이해된다.
(5) 교과목의 이상적 편성비율과 실태
이순희의 연구에 의한 노인교육의 내용과 비율을 본 연구의 교과목 내용분류방식에 맞게 바꾸어 비교해 보면 다음 <표 20>과 같다. 이론적으로 일반교양을 46.7%로 제시하였는데 이것은 조사대상자들의 희망(48.1%)사항과 거의 일치한다. 건강문제는 이론적으로 제시한 내용이 교육대상자들의 희망보다 훨씬 많이 제시되었다. 반대로 취미ㆍ봉사부분은 이론적인 제시비율보다 희망사항이 배로 높다. 이것은 취미와 봉사활동을 통해서도 학습효과를 볼 수 있으므로 희망사항을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바탕으로 해서 집단별로 실제 편성된 교과내용과 희망사항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교양부문에서 복지관의 경우 50.8%를 편성하였고 희망사항도 48.4%로 거의 적절하게 편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대구대 노인대학은 66.1%, 사회문화대는 89.6%를 각각 편성하여 이론과 희망기준보다 과도하게 많이 편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건강문제에 대해서는 이론적으로는 40.0%를 제시하고 있으나 조사대상자들은 23.2%를 희망하여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개별 집단을 보면 복지관의 경우 16.4%를 편성하여 약간 부족한 감이 있으며, 대구대는 4.8%, 사회문화대는 5.9%를 각각 편성하여 크게 못 미치고 있다.
취미ㆍ봉사부분은 이론은 13.3%, 희망은 28.6%인데 복지관은 32.8%, 대구대는 29.0%를 편성하여 크게 벗어난다고 볼 수는 없겠다. 그러나 사회문화대는 26.6%의 욕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4.6%의 시간만 편성하여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V. 결 론
본 연구는 현행 각종 노인교육 프로그램의 유용성과 만족도 등을 알아봄으로써 현행 제도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책 또는 보완점을 찾아보고 노인교육의 새로운 모델을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대구광역시의 노인교육 프로그램을 특징적으로 구분되는 네 곳을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노인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들은 전반적으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에도 불구하고 향후의 노인교육 활성화 과제로 다음과 같은 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노인교육이 활성화되지 못한 이유를 노인들은 노인교육시설 및 프로그램이 다양하지 못한데서 찾았다.
둘째, 응답자들은 노인교육의 강사로 해당분야의 전문인(61.3%) 또는 대학교수(29.3%)를 선호하였다.
셋째, 응답자들의 선호교육분야와 제공되는 교육내용에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전체적으로 응답자들은 일반교양을 가장 선호(47.2%)하였고, 다음으로 건강문제(25.9%)와 취미ㆍ봉사(26.8%)분야를 선호하였다. 따라서 응답자들의 선호도와 교육철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볼 때 교과목 편성에서 일반교양 : 건강문제 : 취미ㆍ봉사는 2 : 1 : 1이 가장 이상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선호경향은 집단에 따라 약간의 변화가 있으나 거의 일치하였다.
넷째 이러한 선호경향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편성된 프로그램 내용은 집단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였다. 각 집단별로 다음을 참작하여 교과편성을 적절히 조정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일반교양부문에서 복지관의 경우는 50.8%를 편성하여 적절하게 편성되었다고 볼 수 있었다. 대구대 노인대학은 66.1%, 사회문화대는 89.6%를 각각 편성하여 과도하게 많이 편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건강문제에 대해서는 이론적으로는 복지관의 경우 16.4%를 편성하여 약간 부족한 감이 있으며, 대구대 노인대학과 사회문화대는 크게 못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취미ㆍ봉사부분에서 복지관과 대구대는 크게 벗어난다고 볼 수 없었으나 사회문화대는 26.6%의 욕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4.6%의 시간만 편성하여 매우 부족한 실정이었다.
<참고문헌>
김동배,"노인복지를 위한 사회적 서비스 정책",정무제2장관실, 노인문제 종합방안수립을 위한 분야별 연구(연구자료
89-1).
金學默譯, A.Robson, "英國과 日本의 社會福祉",韓國社會福祉協議會,[社會福祉]第82號 (1984).
朴泰英,社會福祉施設과 地域社會,서울:白山出版社(1995).
朴宗淇,"老齡人口階層의 經濟與件變化와 對應策",韓國人口保健硏究院,[老人福祉政策의 方向設定을 위한 硏究](1989).
柳一鎬,"人口老齡化의 經濟的 效果와 老人所得保障",韓國社會保障學會,[社會保障硏究] (1993).
李奎植,"老齡化와 醫療保障 : 公的 私的領域과의 役割分擔을 中心으로",韓國社會保障學會,[社會保障硏究]第9卷(1993).
李春基, "地域社會福祉의 展開方法,"大邱大學校大學院 博士學位論文(1987).
정무장관(제2)실, 老人政策, 政策資料 89-4.
최성재,"국민의 노후생활에 대한 전망과 대책에 관한 연구 : 국민연금가입자를 대상으로:(1992).
______,"老齡化와 社會福祉서비스 : 公的 私的領域과의 役割分擔을 中心으로",韓國社會保障學會,[社會保障硏究],第9卷
(1993).
Dickerson,M.U., Social Work Practice with the Mentally Retarded,New York : The Free Press(1981).
Fieldland,W.A. & Apte,R.Z.,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5th ed..,Englewood Cliffs, New Jersey : Prentice-Hall,
inc.,(1980)
Thomas,J. "Residential Care-Resource or Last Resort?-the Fieldworker's Dilemma," [Social Work Today],
Vol.8, No.37(1977), pp.8-10;
板山賢治高澤武司, 實踐的 施設運營論,東京:東京書籍(1986).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90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