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합동작, 한번 겨루기, 품새, 태권체조에서 시범자 전체가 어우러져 일치된 동작으로 규칙적 질서에 도달하게 하는 통일미가 형성된다. 인간의 신체 구조가 대칭인 것처럼 태권도 격파 시범에서 동일한 시범동작의 격파가 좌·우에서 동시에 이루어지는 편안함과 조화로운 동작의 구성에서 대칭미를 느끼게 된다. 뒤돌아선 두 시범자의 품새의 시작과 본래 위치로 회귀하는 품새 시범은 대칭미를 느끼게 한다.
2. 태권도 격파 시범에서 체형이 작은 사람은 빠르고 복합적인 격파 시범을 수행하는데 장점이 있으며, 체형이 큰 사람은 회전반경이 넓은 단일동작을 수행하는데 장점을 가지고 있다. 비슷한 난이도의 여러 대형을 갖춘 공중격파 동작은 대칭적이지는 않지만, 관중들에게 균등감을 느끼게 하며, 신체의 균형을 잘 조절해야 하므로 동작과 동작의 연결과정에서 균형미가 표출된다.
3. 태권도 시범에서 수행동작이 멀고·가까움, 높고·낮음, 직선·회전, 단발과 다발 등의 격파 시범을 수행했을 때 차이는 반드시 두 가지 동작에서 한 동작의 특징을 뚜렷이 나타내주는 대비미를 나타낸다. 그리고 시범구성원 간의 동작과 호흡의 일치, 시범 프로그램의 리드미컬한 구성, 격파기술 난이도의 다양한 변화 등에서 조화미가 나타난다.
4. 태권도 시범에서 공중격파 동작은 단일격파와 다단계격파로 구분되며, 공중격파 동작의 아래에서 위로, 가까움에서 멀리, 천천히에서 빠르게 등 시범의 난이도에 따른 상·하·앞·뒤·좌·우 단계의 차이가 정확하게 구별되는 점층미를 나타낸다. 격파 시범에서 공중격파시범은 격파하는 발의 궤적은 물론 자세의 높낮이나 손동작의 궤적이 객관자로 하여금 곡선미를 느끼게 하기에 충분하며 특히 공중 몸돌아 차기는 뒤로 360도 돌아차는 예술적인 동작으로 태권도 시범의 진수를 느낄 수 있는 곡선미가 나타난다. 곡선미는 시범전체의 구성에서도 느끼게 되지만 특히 공중격파 동작에서 많이 나타난다.
5. 태권도 시범 중 기본 연합동작은 리듬의 흐름을 반드시 포착해야만 하며, 기본 연합동작을 수행함에 있어 뛰어난 동작의 발현은 리듬을 하나로 통일될 수 있는 것이어야 완전한 리듬미를 이룰 수 있다. 단일의 격파 동작들이 이루어져서 복합의 형식인 연속성을 갖게되고 격파의 완성단계에 이르게 되어 단일성의 미를 갖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태권도 시범은 전 세계에 많은 동호인을 가지고 있으며, 태권도 시범은 체육·스포츠 분야에서 예술적 표현의 정수라 할 수 있다.
6. 태권도 시범에는 후챠오밍의 운동의 형식미에 대한 논리적 근거를 밝힐 수 있는 부분이 많으므로 태권도 시범이나 경연대회의 평가기준으로 활용하는 것이 예술적 표현을 확충시킬 수 있을 것이며, 미적 평가를 위한 세부항목의 근거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7. 미래의 태권도와 관련된 미학적 연구는 후챠오밍의 운동의 형식미 외에도 순수 미학에서의 다른 학자들의 미적 범주를 대상으로 연구될 충분한 가치가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갑수·조석주(2002). 태권도 품새구성 의미와 문제점 고찰. 한국스포츠리서치 13(1).
김문환(1989). 미학의 이해. 서울: 문예출판사.
김영환(1985). 스포츠의 미학 가능성에 관한 연구. 연세논총 21.
김창룡(1986). 스포츠의 미학적 고찰. 서울대학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김창룡(1991). 스포츠의 미학적 개념 정립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김창룡(1999). 스포츠 미학의 시론. 서울: 21세기교육사.
김창룡·남종선(1992). 동양무예의 미학적 고찰. 대한체육과학대학 무도연구소지. 4(1).
문영숙譯(1992) / 胡小明(1987)체육미학. 서울:동문선.
백기수(1997). 미학.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안영길 외 6인 譯(1993) / 竹內敏雄(1961). 미학·예술학 사전. 서울: 미진사.
안용규(1999). 태권도 도복의 의미 고찰.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심포지움 발표문.
안용규(2000). 태권도(역사·정신·철학). 서울: 21세기교육사.
윤상화·임일혁(1997). 태권도의 미적 탐색. 용인대학교 무도연구소지 8(1).
윤종완(1998). 태권도의 세계화와 인지도 향상에 관한 실증적 연구. 경희대학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윤창내(1998). 합기도의 미학적 고찰. 용인대학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경명(1997). 태권도. 서울: 대원사.
이재봉(2000). 태권도 품새의 미학적 고찰. 한국체육대학교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이창후(2000). 태권도의 철학적 원리. 서울: 지성사.
임관인(2000). 태권도 태극 품새의 근본 원리. 한국체육대학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임일혁(1996). 태권도의 미학적 고찰.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일혁·하태은(1999). 태권도 미학 개론. 서울: 21세기교육사
胡小明(1991) / 신상성 譯(1993). 스포츠 미학론. 서울: 가람출판사.
Tatarkiewicz(1975) / 손효주 譯(1997). 미학의 기본개념사. 서울: 미진사.
Becker, G. B.(1982). Philosophical perspectives on the martial arts in America. Journal of the Philosophy of Sport, 9.
Fraleigh, W. P.(1970). Theory & design of philosophic research in physical education. Nation College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Men: Proceeding Manual Meeting.
Gowin, D. B.(1969). A method of the analysis of structure of knowledge. Itaca. New York: Cornell University. 1-5. Mimeographed.
MaCloy, Charles Harold(1940). Philosophical bases for physical education. New York. F.S. Crofts & Co.
WTF(1992). Taekwondo Handbook. The World Taekwondo Federation.
2. 태권도 격파 시범에서 체형이 작은 사람은 빠르고 복합적인 격파 시범을 수행하는데 장점이 있으며, 체형이 큰 사람은 회전반경이 넓은 단일동작을 수행하는데 장점을 가지고 있다. 비슷한 난이도의 여러 대형을 갖춘 공중격파 동작은 대칭적이지는 않지만, 관중들에게 균등감을 느끼게 하며, 신체의 균형을 잘 조절해야 하므로 동작과 동작의 연결과정에서 균형미가 표출된다.
3. 태권도 시범에서 수행동작이 멀고·가까움, 높고·낮음, 직선·회전, 단발과 다발 등의 격파 시범을 수행했을 때 차이는 반드시 두 가지 동작에서 한 동작의 특징을 뚜렷이 나타내주는 대비미를 나타낸다. 그리고 시범구성원 간의 동작과 호흡의 일치, 시범 프로그램의 리드미컬한 구성, 격파기술 난이도의 다양한 변화 등에서 조화미가 나타난다.
4. 태권도 시범에서 공중격파 동작은 단일격파와 다단계격파로 구분되며, 공중격파 동작의 아래에서 위로, 가까움에서 멀리, 천천히에서 빠르게 등 시범의 난이도에 따른 상·하·앞·뒤·좌·우 단계의 차이가 정확하게 구별되는 점층미를 나타낸다. 격파 시범에서 공중격파시범은 격파하는 발의 궤적은 물론 자세의 높낮이나 손동작의 궤적이 객관자로 하여금 곡선미를 느끼게 하기에 충분하며 특히 공중 몸돌아 차기는 뒤로 360도 돌아차는 예술적인 동작으로 태권도 시범의 진수를 느낄 수 있는 곡선미가 나타난다. 곡선미는 시범전체의 구성에서도 느끼게 되지만 특히 공중격파 동작에서 많이 나타난다.
5. 태권도 시범 중 기본 연합동작은 리듬의 흐름을 반드시 포착해야만 하며, 기본 연합동작을 수행함에 있어 뛰어난 동작의 발현은 리듬을 하나로 통일될 수 있는 것이어야 완전한 리듬미를 이룰 수 있다. 단일의 격파 동작들이 이루어져서 복합의 형식인 연속성을 갖게되고 격파의 완성단계에 이르게 되어 단일성의 미를 갖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태권도 시범은 전 세계에 많은 동호인을 가지고 있으며, 태권도 시범은 체육·스포츠 분야에서 예술적 표현의 정수라 할 수 있다.
6. 태권도 시범에는 후챠오밍의 운동의 형식미에 대한 논리적 근거를 밝힐 수 있는 부분이 많으므로 태권도 시범이나 경연대회의 평가기준으로 활용하는 것이 예술적 표현을 확충시킬 수 있을 것이며, 미적 평가를 위한 세부항목의 근거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7. 미래의 태권도와 관련된 미학적 연구는 후챠오밍의 운동의 형식미 외에도 순수 미학에서의 다른 학자들의 미적 범주를 대상으로 연구될 충분한 가치가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갑수·조석주(2002). 태권도 품새구성 의미와 문제점 고찰. 한국스포츠리서치 13(1).
김문환(1989). 미학의 이해. 서울: 문예출판사.
김영환(1985). 스포츠의 미학 가능성에 관한 연구. 연세논총 21.
김창룡(1986). 스포츠의 미학적 고찰. 서울대학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김창룡(1991). 스포츠의 미학적 개념 정립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김창룡(1999). 스포츠 미학의 시론. 서울: 21세기교육사.
김창룡·남종선(1992). 동양무예의 미학적 고찰. 대한체육과학대학 무도연구소지. 4(1).
문영숙譯(1992) / 胡小明(1987)체육미학. 서울:동문선.
백기수(1997). 미학.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안영길 외 6인 譯(1993) / 竹內敏雄(1961). 미학·예술학 사전. 서울: 미진사.
안용규(1999). 태권도 도복의 의미 고찰.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심포지움 발표문.
안용규(2000). 태권도(역사·정신·철학). 서울: 21세기교육사.
윤상화·임일혁(1997). 태권도의 미적 탐색. 용인대학교 무도연구소지 8(1).
윤종완(1998). 태권도의 세계화와 인지도 향상에 관한 실증적 연구. 경희대학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윤창내(1998). 합기도의 미학적 고찰. 용인대학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경명(1997). 태권도. 서울: 대원사.
이재봉(2000). 태권도 품새의 미학적 고찰. 한국체육대학교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이창후(2000). 태권도의 철학적 원리. 서울: 지성사.
임관인(2000). 태권도 태극 품새의 근본 원리. 한국체육대학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임일혁(1996). 태권도의 미학적 고찰.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일혁·하태은(1999). 태권도 미학 개론. 서울: 21세기교육사
胡小明(1991) / 신상성 譯(1993). 스포츠 미학론. 서울: 가람출판사.
Tatarkiewicz(1975) / 손효주 譯(1997). 미학의 기본개념사. 서울: 미진사.
Becker, G. B.(1982). Philosophical perspectives on the martial arts in America. Journal of the Philosophy of Sport, 9.
Fraleigh, W. P.(1970). Theory & design of philosophic research in physical education. Nation College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Men: Proceeding Manual Meeting.
Gowin, D. B.(1969). A method of the analysis of structure of knowledge. Itaca. New York: Cornell University. 1-5. Mimeographed.
MaCloy, Charles Harold(1940). Philosophical bases for physical education. New York. F.S. Crofts & Co.
WTF(1992). Taekwondo Handbook. The World Taekwondo Federation.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