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목차
한수원 상식자료
본문내용
름이 필요하듯 이 E 메일에도 수신인과 E 메일 주소가 있다. E 메일은 전 세계 어느 누구에게도 편지를 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도 국내 기본 전화료 수준이어서 국제우편이나 팩스보다 유리한 점들이 많다.
E-Mail address(E 메일 주소) 보통 편지봉투에는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주소를 적는 공간이 있다. 이 주소를 정확하게 기입하지 않으면 편지가 받을 사람에게 제대로 도착하지 못하는 일이 생길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국제적으로 E 메일을 주고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E 메일 주소를 알아야 한다. E 메일 주소는 계정을 받은 사용자들에게는 자동으로 부여된다. 천리안이나 하이텔을 이용해 인터넷을 이용할 경우 E 메일 주소는 기존 도메인 앞쪽에 @표시를 붙인 후 자신의 계정을 그 앞에 덧붙이면 된다. 예를 들어 자신의 계정이 babo이고, 서버의 도메인이 hitel.kol.co.kr이라면 E 메일 주소는 babo@hitel.kol.co.kr가 된다.
Ethernet(이더넷) 랜으로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대표적인 방식으로 미국의 제록스, 인텔, 디지털이큅먼트사가 공동으로 개발했다. 이더넷은 거의 모든 종류의 컴퓨터에 사용할 수 있고, 전송 속도는 10Mbps 수준이다. 이더넷은 노드가 전송로의 신호를 감시해 다른 노드가 모두 신호를 보내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데이터를 보내는 CSMA/CD 방식으로 접근한다. 또 다른 랜 접속 방식인 토큰링과 비교할 때 이더넷은 노드 수가 적을 때는 토큰링보다 빠른 전송 속도를 자랑하지만, 노드 수가 많아지면 데이터간의 충돌이 많아져 토큰링의 전송 속도보다 떨어지게 된다.
Eudora(유도라) 인터넷 전자메일 사용자를 위한 대표적인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유닉스 워크스테이션, 매킨토시, IBM PC 등 다양한 기종에서 실행된다. 이 프로그램은 기본적인 인터넷 전자메일 기능에 음성, 풀모션 비디오, 애니메이션과 같은 멀티미디어적인 요소를 추가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단순한 텍스트 전자메일이 아니라 자신의 사진이나 음성을 담은 멋진 멀티미디어 전자메일을 보낼 수 있다. 또한 특정인만이 전자메일을 읽을 수 있도록 암호화하는 기능도 확장되었다.
FAQ(Frequently Asked Question) 하나의 사이트나 어떤 주제에 대해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질문하는 내용들과 이에 대한 답변을 모아놓은 목록이다. 다양한 주제들에 대한 질문과 응답이 있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FDDI) 광섬유 케이블로, 100Mbps의 속도로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 방식이다. FDDI를 이용한 토큰링 방식의 네트워크는 1000대의 워크스테이션을 연결할 수 있으며, 최대 250Km 거리도 무리없이 횡단할 수 있다.
Filter(필터) 전자메일을 통해 전세계인들과 편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는 것은 기쁜 일이지만, 가끔씩 원하지 않는 메일들이 쌓일 때가 있다. 이런 경우 자동으로 메일을 삭제해주는 것이 필터유틸리티이다.
Finger(핑거) 다른 이용자가 현재 인터넷에 접속해 있는지, 어떤 사이트를 방문하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인터넷 서비스, 요즘에는 인터넷 보안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면서 핑거 서비스를 차단한 호스트들도 늘고 있다. 핑거를 이용해 또 다른 인터넷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알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E 메일 주소를 알고 있어야 한다. 사용 방법도 간단하다. 핑거 명령을 입력하고, 상대방의 E 메일 주소를 뒤에 붙이면 된다. 예) finger rudolph@north.pole.com
Firewall(방화벽) 인터넷 보안 시스템의 일종, 해커나 사악한 사용자들이 네트워크에 침범해 중요한 정보를 빼가지 못하도록 방어하는 장치이다. 방화벽은 IP 패킷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보호한다. 방화벽은 네트워크 상의 지정된 호스트에 주소가 부여된 패킷만을 전달할 수 있도록 감시한다. 하지만 정보를 보호해주는 대신 네트워크를 이용할 때 아무래도 중간에 방화벽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장에선 불편할 수밖에 없다.
Forgery(포저리) 신원이 불확실한 사람에 의해 작성된 전자메일, 유즈넷 기사, 혹은 메일링 리스트 포스팅, 유즈넷이나 메일링 리스트는 한꺼번에 많은 사람들이 읽게 되기 때문에 잘못된 내용을 올렸을 때의 파급 효과는 엄청나다. 포저리를 만들기란 그리 어렵지 않다. 약간의 기술과 간단한 소프트웨어만 있으면 쉽게 포저리를 만들어낼 수 있다. 간혹 이러한 포조리들은 사용자들을 당황스럽게 한다.
Frame(프레임) HTML 확장 규약 중의 하나로 넷스케이프로만 볼 수 있다. 화면을 여러 개의 윈도우로 나누어 메뉴를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이다.
FreeAgent(프리에이전트) 인터넷에 올라오는 다양한 뉴스들을 편리하게 볼 수 있게 해주는 뉴스 읽기 프로그램, 바이너리 변환 기능이 우수하고, 속도가 빠르며, 화면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사용하기 편하게 구성되어 있어 널리 애용되고 있다.
FTP: File Transfer Protocol(파일 전송 프로토콜) 다른 시스템에서 파일을 가져오거나 갖다놓는 데 천부적인 재능을 가진 것이 FTP이다. 인터넷에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파일 전송 방식으로, 주로 파일을 주고받는 데 이용된다. FTP 프로그램으로는 FTP와 ncFTP가 있는데 ncFTP가 더 많이 쓰인다. 물론 파일을 송수신하는 다른 방법들도 있지만, FTP만큼 빠르게 파일을 올리고 다운받는 방식이 없기 때문에 인기를 끌고 있다.
Gateway(게이트웨이) 서로 다른 형태의 네트워크가 연결돼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일종의 중간 통역사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A라는 네트워크와 B라는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한다고 가정하자. 이때 A 네트워크가 B 네트워크의 데이터를 받거나 주고싶어도 서로 사용하는 언어가 달라 통신이 안 된다. 따라서 중간에서 A 와 B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조정해주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를 게이트웨이라고 부른다.
Gopher(고퍼) 파일 송수신, 전자메일, 유즈넷 등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를 한데 묶어
E-Mail address(E 메일 주소) 보통 편지봉투에는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주소를 적는 공간이 있다. 이 주소를 정확하게 기입하지 않으면 편지가 받을 사람에게 제대로 도착하지 못하는 일이 생길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국제적으로 E 메일을 주고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E 메일 주소를 알아야 한다. E 메일 주소는 계정을 받은 사용자들에게는 자동으로 부여된다. 천리안이나 하이텔을 이용해 인터넷을 이용할 경우 E 메일 주소는 기존 도메인 앞쪽에 @표시를 붙인 후 자신의 계정을 그 앞에 덧붙이면 된다. 예를 들어 자신의 계정이 babo이고, 서버의 도메인이 hitel.kol.co.kr이라면 E 메일 주소는 babo@hitel.kol.co.kr가 된다.
Ethernet(이더넷) 랜으로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대표적인 방식으로 미국의 제록스, 인텔, 디지털이큅먼트사가 공동으로 개발했다. 이더넷은 거의 모든 종류의 컴퓨터에 사용할 수 있고, 전송 속도는 10Mbps 수준이다. 이더넷은 노드가 전송로의 신호를 감시해 다른 노드가 모두 신호를 보내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데이터를 보내는 CSMA/CD 방식으로 접근한다. 또 다른 랜 접속 방식인 토큰링과 비교할 때 이더넷은 노드 수가 적을 때는 토큰링보다 빠른 전송 속도를 자랑하지만, 노드 수가 많아지면 데이터간의 충돌이 많아져 토큰링의 전송 속도보다 떨어지게 된다.
Eudora(유도라) 인터넷 전자메일 사용자를 위한 대표적인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유닉스 워크스테이션, 매킨토시, IBM PC 등 다양한 기종에서 실행된다. 이 프로그램은 기본적인 인터넷 전자메일 기능에 음성, 풀모션 비디오, 애니메이션과 같은 멀티미디어적인 요소를 추가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단순한 텍스트 전자메일이 아니라 자신의 사진이나 음성을 담은 멋진 멀티미디어 전자메일을 보낼 수 있다. 또한 특정인만이 전자메일을 읽을 수 있도록 암호화하는 기능도 확장되었다.
FAQ(Frequently Asked Question) 하나의 사이트나 어떤 주제에 대해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질문하는 내용들과 이에 대한 답변을 모아놓은 목록이다. 다양한 주제들에 대한 질문과 응답이 있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FDDI) 광섬유 케이블로, 100Mbps의 속도로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 방식이다. FDDI를 이용한 토큰링 방식의 네트워크는 1000대의 워크스테이션을 연결할 수 있으며, 최대 250Km 거리도 무리없이 횡단할 수 있다.
Filter(필터) 전자메일을 통해 전세계인들과 편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는 것은 기쁜 일이지만, 가끔씩 원하지 않는 메일들이 쌓일 때가 있다. 이런 경우 자동으로 메일을 삭제해주는 것이 필터유틸리티이다.
Finger(핑거) 다른 이용자가 현재 인터넷에 접속해 있는지, 어떤 사이트를 방문하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인터넷 서비스, 요즘에는 인터넷 보안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면서 핑거 서비스를 차단한 호스트들도 늘고 있다. 핑거를 이용해 또 다른 인터넷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알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E 메일 주소를 알고 있어야 한다. 사용 방법도 간단하다. 핑거 명령을 입력하고, 상대방의 E 메일 주소를 뒤에 붙이면 된다. 예) finger rudolph@north.pole.com
Firewall(방화벽) 인터넷 보안 시스템의 일종, 해커나 사악한 사용자들이 네트워크에 침범해 중요한 정보를 빼가지 못하도록 방어하는 장치이다. 방화벽은 IP 패킷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보호한다. 방화벽은 네트워크 상의 지정된 호스트에 주소가 부여된 패킷만을 전달할 수 있도록 감시한다. 하지만 정보를 보호해주는 대신 네트워크를 이용할 때 아무래도 중간에 방화벽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장에선 불편할 수밖에 없다.
Forgery(포저리) 신원이 불확실한 사람에 의해 작성된 전자메일, 유즈넷 기사, 혹은 메일링 리스트 포스팅, 유즈넷이나 메일링 리스트는 한꺼번에 많은 사람들이 읽게 되기 때문에 잘못된 내용을 올렸을 때의 파급 효과는 엄청나다. 포저리를 만들기란 그리 어렵지 않다. 약간의 기술과 간단한 소프트웨어만 있으면 쉽게 포저리를 만들어낼 수 있다. 간혹 이러한 포조리들은 사용자들을 당황스럽게 한다.
Frame(프레임) HTML 확장 규약 중의 하나로 넷스케이프로만 볼 수 있다. 화면을 여러 개의 윈도우로 나누어 메뉴를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이다.
FreeAgent(프리에이전트) 인터넷에 올라오는 다양한 뉴스들을 편리하게 볼 수 있게 해주는 뉴스 읽기 프로그램, 바이너리 변환 기능이 우수하고, 속도가 빠르며, 화면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사용하기 편하게 구성되어 있어 널리 애용되고 있다.
FTP: File Transfer Protocol(파일 전송 프로토콜) 다른 시스템에서 파일을 가져오거나 갖다놓는 데 천부적인 재능을 가진 것이 FTP이다. 인터넷에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파일 전송 방식으로, 주로 파일을 주고받는 데 이용된다. FTP 프로그램으로는 FTP와 ncFTP가 있는데 ncFTP가 더 많이 쓰인다. 물론 파일을 송수신하는 다른 방법들도 있지만, FTP만큼 빠르게 파일을 올리고 다운받는 방식이 없기 때문에 인기를 끌고 있다.
Gateway(게이트웨이) 서로 다른 형태의 네트워크가 연결돼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일종의 중간 통역사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A라는 네트워크와 B라는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한다고 가정하자. 이때 A 네트워크가 B 네트워크의 데이터를 받거나 주고싶어도 서로 사용하는 언어가 달라 통신이 안 된다. 따라서 중간에서 A 와 B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조정해주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를 게이트웨이라고 부른다.
Gopher(고퍼) 파일 송수신, 전자메일, 유즈넷 등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를 한데 묶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