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재래시장 활성화 정책과 경쟁력 강화 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부의 재래시장 활성화 정책과 경쟁력 강화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정부의 재래시장 활성화 정책과 경쟁력 강화 방안

본문내용

보다는 실제 시장에서 효과를 거두고 있는 우수한 마케팅 기법중에서 재래시장에 알맞는 마케팅 기법을 가이드북이나 비디오를 청취를 통하여 시장상인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3. 정보화 능력과 금전등록기 사용법에 대한 교육실시
카드 사용을 장려하기 위하여 소득공제를 실시하고 있는 현실에서 재래시장에서도 카드 결제가 가능하도록 상인들의 정보화 능력 향상 및 인터넷 영업기업 도입을 위한 상설교육 및 재래시장 인터넷 네트워크에 온라인 교육과정을 신설하는 것도 권장할 만하다.
VI. 상인조직 활성화
1. 상인회 정책적 지원
재래시장이 활성화 하려면 상인들의 힘을 하나로 모으는 응집력이 필수적이지만 현재 대부분 시장의 상인조직은 엉성하고, 상인회나 번영회를 이끌어 가는 리더십 또한 부족하기 짝이 없다. 따라서 기존의 번영회 등 상인조직으로는 극히 제한적인 관리업무 밖에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시장 내의 수많은 개별 점포들의 힘을 하나로 이끌어 갈 수 없는 실정이다.
상인회의 활성화와 조직화를 위해 일률적인 지원혜택 방식을 지양하고 자구노력이 우수한 시장을 우선 지원하는 등 상인회를 육성하고 활성화 된 상인회를 지속적으로 벤치마킹해야 할 것이다.
2. 청년상인의 육성
대부분의 재래시장 상인들은 침체일로를 걷고 있는 재래시장을 살리고자 하는 노력이 부족하다. 재래시장 상인의 과반수 이상이 50대 이상인 고령층이기 때문에 새로운 경영기법 도입의 소극적 대응, 변화에 대한 거부 또는 회피 등의 행태로 나타나고 있다. 청년층의 신규인력이 지속적으로 시장에 유입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장별 청년(3~40대) 상인을 발굴조직화하여 리더십 혁신교육, 워크솝 및 선진 사례 현장연수 등을 실시하여 재래시장의 지도자로 육성한다.
VII. 공정경쟁 여건 조성
1. 제도적 장치 마련
대형마트의 무분별한 확산보다는 각 지자체 실정에 맞는 입점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기 위한 법적 장치로 도시계획심의회 규정 또는 지자체 조례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매장면적 3,000㎡이상 출점시 인접 재래시장, 중소상인의 의견을 수렴하고 설명회, 공청회 개최를 정례화 한다.
2. 중소유통기업과 대형마트간 협약체결
중소유통기업과 대형마트간 “유통업상생발전협의회”를 설치운영하여 상호간 갈등을 해소하고 상생하는 협력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대형마트와 재래시장간 협력사업으로 공동판매촉진행사를 개최하고 특화상품 코너 등을 개설한다(끝).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09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