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용 에어컨 제조 공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동차용 에어컨 제조 공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자동차 에어컨의 원리
2. compressor(압축기)
3. condenser(응축기)
4. receiver tank(리시버 탱크)
5. expansion valve(확장 밸브)
6. evaporator(증발기)

본문내용

nator)아래쪽에 compressor가 있습니다.제 차의 경우, compressor바로 오른편에 receiver tank가 있는데 사진에는 보이지 않습니다. evaporator는 엔진룸이 아닌 조수석 앞의 수납공간 쪽에 있으므로 보이지 않습니다. 참고로, 히터의 히터코어와 마찬가지로, 이 evaporator에 곰팡이가 생기거나 먼지등의 이물질이 붙게 되면, 에어컨에서 안좋은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에는 에어컨 필터를 교환해도 냄새가 없어지지 않기도 합니다. 이 경우 근본적인 해결책은 evaporator를 청소하는 것입니다. 보통 evaporator는 엔진룸 깊숙이 들어가 있어서 찾기도 힘들거니와, 깨끗하게 청소하기 위해서는 evaporator를 떼어내야 하는데, 이렇게 떼어내는 경우 냉매가 새어 나오게 되므로 장비없이는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evaporator를 개인이 깨끗하게 청소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며, 업자에게 부탁한다고 해도 비용이 적지 않게 발생하게 됩니다. 참고로, 이 receiver tank의 최상부에는 sight glass라고 불리는 냉매점검용 창이 있어서, 액체상태의 냉매가 통과하는 모습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sight glass가 receiver tank위가 아닌, 에어컨 파이프 상에 존재하기도 합니다.
(아래 그림 참조)
이것으로 냉매의 양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에어컨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가장 먼저 이 sight glass를 통해 냉매의 양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1) 냉매가 적정량의 경우
공회전시에 극히 소량의 기포가 흐르며, 엔진 회전수를 올리면 (1500 RPM 이상) 기포가 없어지며 냉매가 투명하게 보인다.
(2) 냉매가 부족한 경우
엔진 회전수를 올려도 기포가 보이며, 탁한 흰색을 띤다.
(3) 냉매가 과충전된 경우
공회전시 기포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
(언뜻 점검방법이 간단해 보이지만, 실제 경험없는 사람이 판단하기는 어렵다고 합니다)
제 차의 경우에는 receiver tank 위쪽에 sight glass가 있으며, 차량의 메뉴얼에 "エアコン冷媒量点窓(에어컨 냉매량 점검창)"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메뉴얼에 언급될 정도라면 일반 사용자도 점검이 가능하다는 것 같기도 합니다.
실제로 본네트를 열어서 찾아보았는데, sight glass위에 먼저가 쌓여 있어서 대충 닦아냈더니 창 같은 것이 실제 있더군요.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10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