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피터 드러커의 비즈니스 성공 노하우
1. 청년 피터 드러커의 비전과 실천의 양 날개?
2. 강점위에 자신을 세워라(Build on your strength)
3. 피터 드러커의 원 포인트 성공비결
4. 비즈니스의 유일한 목적은 고객 창출이다.(고객No! 비즈니스 No!)
5. 사례 : 피터 드러커의 고객 창출을 실천한 유니클로 야나이 다다시 회장
6. 피터 드러커의 젊은 비즈니스맨을 위한 다섯 가지 충고
7. 피터 드러커의 비즈니스 정의
1. 청년 피터 드러커의 비전과 실천의 양 날개?
2. 강점위에 자신을 세워라(Build on your strength)
3. 피터 드러커의 원 포인트 성공비결
4. 비즈니스의 유일한 목적은 고객 창출이다.(고객No! 비즈니스 No!)
5. 사례 : 피터 드러커의 고객 창출을 실천한 유니클로 야나이 다다시 회장
6. 피터 드러커의 젊은 비즈니스맨을 위한 다섯 가지 충고
7. 피터 드러커의 비즈니스 정의
본문내용
잘 생각해보아야 한다.
advice 5 : 새로운 교양인(new educated person)이 되어야 한다.
말과 아이디어와 개념으로 이루어진 지식 세계에서의 "지식인"과 일과 활동과 인간관계로 이루어진 경영의 세계에서의 "경영인" 이 두 가지가 내부에서 균형을 이룬 사람이 새로운 교양인(new educated person)이다. 그러한 사람들은 현실적인 지식인이자 사물을 종합적으로 볼 수 있는 비즈니스맨이며, 세계적인 교양을 갖춘 행동하는 사람이어야만 한다. 또한 그들은 사회인이며 현실성 있는 "문화인(文化人)"이라고 할 수도 있다. 새로운 교양인은 자신이 갖고 있는 지식을 현실과 결부시키고 더 나아가서는 미래를 창조하는 데에도 사용하지 않으면 안 된다. 과거의 문화유산 즉, 동서양의 문화와 종교, 예술 및 전통을 이해하고, 배울 점이 있으면 배우며 그를 나름대로 소화할 수 있는 세계화된 인간이 되어야 한다.
7. 피터 드러커의 비즈니스 정의
비즈니스는 '사업' 또는 '기업'으로 번역되거나 그대로 '비즈니스'로 사용되고 있다.
사전적 의미와 공정거래법상을 살펴보면 사업(事業), 곧 비즈니스(business)는 물건이나 용역을 고객이나 다른 사업체에 판매할 수 있을 만큼의 경제적 자유를 누릴 수 있는 국가 안에 존재하는 법적으로 인식되는 조직체나 활동이다.(위키백과) 공정거래법 상 사업자라 함은 제조업, 서비스업, 기타 사업을 행하는 자를 말한다.(제2조 제1호)
물건(物件)이란 민법 상 물권의 객체가 되는 유체물 및 전기 기타 관리할 수 있는 자연력을 말한다.(대한민국 민법 제98조)
서비스(Service) 또는 용역(用役)은 물질적 재화 이외의 생산이나 소비에 관련한 모든 경제활동을 일컫는다.
고객(顧客)은 경제에서 창출된 재화와 용역을 구매하는 개인이나 가구를 일컫는다.
드러커가 주장하는 비즈니스(business)는 무엇인가?
비즈니스 목적은 고객 창조(창출)이며 그 기능으로 마케팅과 혁신의 두 가지를 든다. 조직체로서는 교회나 군대 혹은 학교나 국가와는 달리, 재화와 서비스를 마케팅한다는 점에서 독창성을 지닌다. 그리고 비즈니스의 혁신 기능은 '과거와는 다른 경제적 만족을 제공하는 것'이며, 그를 위해서는 부를 낳는 여러 자원의 생산적 활용이 필요하다.
비즈니스는 하나의 판단이며 순수한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과제이다.
비즈니스에서의 이윤은 비즈니스의 목적이 아니라 비즈니스의 결과물이다.
advice 5 : 새로운 교양인(new educated person)이 되어야 한다.
말과 아이디어와 개념으로 이루어진 지식 세계에서의 "지식인"과 일과 활동과 인간관계로 이루어진 경영의 세계에서의 "경영인" 이 두 가지가 내부에서 균형을 이룬 사람이 새로운 교양인(new educated person)이다. 그러한 사람들은 현실적인 지식인이자 사물을 종합적으로 볼 수 있는 비즈니스맨이며, 세계적인 교양을 갖춘 행동하는 사람이어야만 한다. 또한 그들은 사회인이며 현실성 있는 "문화인(文化人)"이라고 할 수도 있다. 새로운 교양인은 자신이 갖고 있는 지식을 현실과 결부시키고 더 나아가서는 미래를 창조하는 데에도 사용하지 않으면 안 된다. 과거의 문화유산 즉, 동서양의 문화와 종교, 예술 및 전통을 이해하고, 배울 점이 있으면 배우며 그를 나름대로 소화할 수 있는 세계화된 인간이 되어야 한다.
7. 피터 드러커의 비즈니스 정의
비즈니스는 '사업' 또는 '기업'으로 번역되거나 그대로 '비즈니스'로 사용되고 있다.
사전적 의미와 공정거래법상을 살펴보면 사업(事業), 곧 비즈니스(business)는 물건이나 용역을 고객이나 다른 사업체에 판매할 수 있을 만큼의 경제적 자유를 누릴 수 있는 국가 안에 존재하는 법적으로 인식되는 조직체나 활동이다.(위키백과) 공정거래법 상 사업자라 함은 제조업, 서비스업, 기타 사업을 행하는 자를 말한다.(제2조 제1호)
물건(物件)이란 민법 상 물권의 객체가 되는 유체물 및 전기 기타 관리할 수 있는 자연력을 말한다.(대한민국 민법 제98조)
서비스(Service) 또는 용역(用役)은 물질적 재화 이외의 생산이나 소비에 관련한 모든 경제활동을 일컫는다.
고객(顧客)은 경제에서 창출된 재화와 용역을 구매하는 개인이나 가구를 일컫는다.
드러커가 주장하는 비즈니스(business)는 무엇인가?
비즈니스 목적은 고객 창조(창출)이며 그 기능으로 마케팅과 혁신의 두 가지를 든다. 조직체로서는 교회나 군대 혹은 학교나 국가와는 달리, 재화와 서비스를 마케팅한다는 점에서 독창성을 지닌다. 그리고 비즈니스의 혁신 기능은 '과거와는 다른 경제적 만족을 제공하는 것'이며, 그를 위해서는 부를 낳는 여러 자원의 생산적 활용이 필요하다.
비즈니스는 하나의 판단이며 순수한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과제이다.
비즈니스에서의 이윤은 비즈니스의 목적이 아니라 비즈니스의 결과물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