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빙축열 시스템 별 장단점
(1) Ice On Coil 방식 (PE Type)
(2) Ice Capsule 방식
(3) Ice Slurry 방식
2. 블록선도 [block diagram]
3. 자동제어 블록선도 증명
(1) Ice On Coil 방식 (PE Type)
(2) Ice Capsule 방식
(3) Ice Slurry 방식
2. 블록선도 [block diagram]
3. 자동제어 블록선도 증명
본문내용
블록선도 증명
우선 자동제어에서 피드벡이 있을때의 전달함수 T는입니다. 왜 마이너스플러스인가하면 동그라미에서 피드벡이 마이너스이면 전달함수식에서는 플러스이고 피드벡이 플러스이면 전달함수식에서는 마이너스로 서로 반대이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G는 전방경로 즉 입력에서 출력으로의 직선방향의 함수이고 H는 피드벡되는 함수입니다.
G가 G1, G2, ... , Gn으로 다중으로 있는경우 그냥 서로 곱해주시면 됩니다. (원래 s-영역에서의 컨볼루션이죠) 위의 공식으로 첫번째것을 정리해보면
이것을 정리하면
두번째것을 같은 방식으로 정리해보면
입니다.
이건 제어공학에서 아주 중요한 공식이므로 외워두시는것이 좋겠습니다. 제어공학에서는 위의 전달함수와 라플라스, 부분분수전개 이 세가지는 절대 빼놓을수 없는 공식입니다.
우선 자동제어에서 피드벡이 있을때의 전달함수 T는입니다. 왜 마이너스플러스인가하면 동그라미에서 피드벡이 마이너스이면 전달함수식에서는 플러스이고 피드벡이 플러스이면 전달함수식에서는 마이너스로 서로 반대이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G는 전방경로 즉 입력에서 출력으로의 직선방향의 함수이고 H는 피드벡되는 함수입니다.
G가 G1, G2, ... , Gn으로 다중으로 있는경우 그냥 서로 곱해주시면 됩니다. (원래 s-영역에서의 컨볼루션이죠) 위의 공식으로 첫번째것을 정리해보면
이것을 정리하면
두번째것을 같은 방식으로 정리해보면
입니다.
이건 제어공학에서 아주 중요한 공식이므로 외워두시는것이 좋겠습니다. 제어공학에서는 위의 전달함수와 라플라스, 부분분수전개 이 세가지는 절대 빼놓을수 없는 공식입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