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대수(relational algebra) - 자연조인(natural join), 외부조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관계대수(relational algebra) - 자연조인(natural join), 외부조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공통'된 속성을 매개로 하는 연산인만큼 공통이 아닌 것은 당연히 연산의 결과에 나타나지 않습니다. 위의 경우를 보면 4번 부서인 총무부는 공통이 아니므로 결과에 나타나지 않고 있지요.

다른 예를 하나 더 볼까요.

Query “Employee릴레이션과 Department릴레이션을 동등조인(equi join), 자연조인
(natural join), 세미조인(semi join)하라”




2. 외부조인(outer join)

외부조인(outer join)은 확장된 조인연산(extended join operation)입니다.
자연조인(natural join)으로는 뭔가 부족한 것이 있어서 ‘확장(extension)’을 했겠지요.
무엇이 부족했을까요.

릴레이션의 하나의 투플은 보존하고 관리할 가치가 있는 정보의 집합체입니다.
하나라도 그냥 버릴게 없는, 우리에게 꼭 필요한 ‘정보’들인 것입니다.
그러나 자연조인 등의 일반조인연산을 하면, 공통된 속성을 매개로 하지 않는 투플들은 모두 버려집니다. 경우에 따라서 공통된 속성은 아니더라도 이 정보를 남기고 싶을 경우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바로 이 해결책을 외부조인(outer join)이 가져다 줍니다.
공통된 속성을 매개로 하는 정보는 아니더라도 버리지 않고 연산의 결과 릴레이션에 정보를 남겨 두는 것이지요.

외부조인에는 왼쪽 외부조인(left outer join), 오른쪽 외부조인(right outer join), 완전 외부조인(full outer join) 등이 있습니다. 각각 왼쪽의 정보를 남길 것인가, 오른쪽의 정보를 남길 것인가, 둘 다 남길 것인가에 대한 구분입니다. 해당 정보가 없는 컬럼은 null값으로 채우게 됩니다.

예를 한번 보도록 하지요.

<자연조인, 왼쪽 외부조인, 오른쪽 외부조인, 완전 외부조인>




연산자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데이터를 다루는 것이 훨씬 더 자유스럽고 섬세해지겠죠. 물론 공부해야 할 양은 그만큼 더 늘어나 머리는 아프겠지만요. 잽기술만 가지고 있는 복서보다 잽, 스트레이트, 어퍼컷, 훅 등을 모두 가진 복서의 공격기술이 훨씬 다양해지는 것과 마찬가지 이치입니다. 그러면 어디까지 확장시키는 것이 좋을까요. ^^...

☞ Inner Join vs Outer Join
inner join : 두 릴레이션의 공통 속성을 가지는 투플만 가져 옴(natural join)
outer join : 공통 속성을 가지는 투플 + 공통 속성이 없는 투플


3. 나누기(division) &배정(assignment) 연산

나누기(division)연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배정(assignment)연산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의 배정과 비슷합니다. 관계대수의 능력을 확장시키는 새로운 연산이라기보다는 복잡한 질의를 단순하고 간편하게 표현하는 방법이죠.
배정연산은 ← 로 나타냅니다. 배정연산을 이용하여 r ÷ s 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계속해서 집계함수(aggregation function)등 확장된 관계대수를 좀 더 공부해보도록 하죠.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32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