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가족사정
1. 가족사정의 개념
2. 가족사정의 틀
1) 가족 내 역동에 대한 사정
2) 가족 외부체계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사정
3. 가족사정의 방법
1) 인터뷰
2) 그림 그리기
3) 관찰
4) 검사지 및 질문지
1. 가족사정의 개념
2. 가족사정의 틀
1) 가족 내 역동에 대한 사정
2) 가족 외부체계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사정
3. 가족사정의 방법
1) 인터뷰
2) 그림 그리기
3) 관찰
4) 검사지 및 질문지
본문내용
가족사정의 방법
일반 사정에서와 마찬가지로 가족사정의 방법도 양적인 방법(quantitative methods)과 질적인 방법(qualitative methods)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가족사정을 위한 양적인 방법에는 표준화된 척도나 검사지, 질문지 등이 있다. 그리고 가족사정을 위한 질적인 방법에는 인터뷰, 그림 그리기, 가족관찰 등이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인터뷰
인터뷰는 가족사정을 위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방법이다. 그러나 반드시 인터뷰를 하기 전에 가족에 관한 기관 내의 기록과 의뢰, 그리고 의뢰에 대한 정보 등을 살펴보아야한다. 특히 편안하고 개방된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하고, 인터뷰의 목적이 피차간에 공유되어야 한다. 인터뷰의 목적은 인터뷰의 방법을 결정하는 대단히 중요한 요인이다.
인터뷰는 또한 그 자체로서만이 아니라 여러 가지 도구를 활용하여 진행될 수 이따. 예를 들면, 생태도나 가계도를 활용하거나 검사지나 질문지를 활용하는 것이 그것이다.
인터뷰는 사정 단계에서뿐만이 아니라 내담자와의 의사소통, 내담자에 관한 정보의 수집, 개입과 치료 등 사회복지실천의 전 과정에서 가장 빈번히 그리고 가장 중요한 방법으로 활용.
2) 그림 그리기
그림그리기(graphic measure)는 인터뷰를 통해 내담자와 그 가족의 상태나 문제를 그림으로 보여 주는 사정방법 중 하나다. 이는 특히 가족 내외의 역동을 한눈에 볼 수 있게 해 주는 효과를 가진다. 여기서는 가족사정에서 많이 사용되는 생태도와 가계도, 사회관계망 그리드에 한정하여 이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1) 생태도
생태도는 그 가족의 주요 환경이라고 갖게되는 체계를 그려서 가족체계의 요구자와 자원간의 균형을 보여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생태도에는 내담자를 둘러싼 각 체계와 가족 간의 관계 성격뿐만 아니라, 환경에서 가족으로의 자원의 흐름이 표시된다.
이러한 생태도는 사회복지사가 내담자와 함께 그리면, 사회복지사와 내담자 간의 연합을 진작시킬 뿐만 아니라 이들 간의 신뢰 형성이 강화된다.
P133(그림 4-3)생태도 참조
(2) 가계도
가계도는 가족 계보를 중심으로 그 가족의 3세대 이상에 관한 정보를 보여 주는 것으로서, 중요한 생활사건(결혼, 별거, 이혼, 질병, 사망 등)이나 사회인구학적 특성(인종, 사회계급, 민족, 종교, 직업, 거주지 등)을 알려 준다. 따라서 가계도를 그려보는 것은 그 가족의 가족 문제에 기여하는 중요 요인과 가족 유형을 알 수 있게 해 준다.
P 134 (그림 4-4) 앤 가족의 가계도 참조
(3) 사회관계망 그리드
Whittaker와 Tracy(1989)의 사회관계망 그리드에는 내담자의 관계망 내에 있는 사람들이 내담자와 어떤 관계에 있는 사람들이고, 이들이 내담자에게 주는 물질적. 정서적. 정보적 지원을 어느 정도 주고 있으며, 도움의 방향을 일방적인지 쌍방적인지 그리고 이들 관계망에 대한 정보는 주로 내담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얻는다.
P136(표4-3) 사회관계망 그리드 참조
Seed(1990)의 관계 다이어그램은 내담자에게 2주일 혹은 그 이상의 기간 동안 일지를 쓰게 하고, 그 일지의 내용을 근거로 하여 내담자가 누구와 어느 정도의, 어떤 내용의 교류가 있었는지를 파악하여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P137(그림 4-5) 잭의 관계망 다이어그램 참조
3) 관찰
가족내에서 가족원의 역할이 어떻게 수행되고 있고 가족 내 하위체계가 어떻게 기능하며, 가족원의 밀착 정도와 연합 등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사정하는 데 유용하다.
가족관찰의 대표적 방법에는 시연(試演,enactment)과 가족조각(family sculpture)이 있다. 시연이란 이전에 있었던 가족 상황을 재연하거나 역할연습을 하게 하는 것이고, 가족조각이란 가족원이 다른 가족원에 대해 인식하고 느낀 것을 특정 자세(position)를 취하게 함으로써 가족 내 역동을 표현하는 것이다. 이들 방법은 가족원이 자기 가족의 상호작용에 대한 통찰을 갖게 할 뿐만 아니라 가족 내 다양한 역동성을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Jordan &Franklin, 1995, p. 229).
특히 가족조각은 가족체계를 그려 내는 수단으로서 말이 없거나 어린아이처럼 말을 잘하지 못하는 내담자를 대할 때 효과적이다.
다음은 가족조각을 하는 절차다(Hertman &Laird, 1983, pp. 282).
사회복지사가 가족원에게 가족조각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가족원 중 누가 조각가 역할을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가능하면 가장 안정되고 표현적인 사람을 선택하도록 한다.
사회복지사가 조각가로 선택된 가족원에게 가족조각이 비언어적 과정임을 강조하면서 진행하는 방법을 지시한다.
가족조각이 그려지면서 가족원은 조각을 만드는 가족원의 조각도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사회복지사는 조각을 만드는 가족원을 지지하거나 도울 수 있다.
조각가가 조각을 다 완료하고 자신도 조각도의 어느 위치에 서고 난 후, 사회복지사는 모니터 역할을 한다. 조각도 안에 있는 가족원은 자신의 위치에서 서로 무엇을 느끼는지를 묻는다.
조각에 대한 가족원 간의 토론을 끝내거나 다른 가족원이 새로운 가족조각도를 만든다.
4) 검사지 및 질문지
이는 사정과정의 여러 단계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가족과 접촉하기 전에 사용될 수도 있고, 가족사정 과정에서 그 가족에 관한 객관적 정보와 주관적 정보를 파악하는 데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모역할에 문제가 있는 경우 부모역할의 효과성 측정을 위한 측정도구(예, parenting Stress Index: PSI)를 사용할 수 있고, 가족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의 수준을 사정하기 위해서는 FILE(Family Inventory of Life Events and Changes)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회관계망이나 사회적 지지의 평가가 필요할 경우에는 ‘지각된 사회지지척도(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 '사회지지행동척도(Social Support Behavior Scal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 사정에서와 마찬가지로 가족사정의 방법도 양적인 방법(quantitative methods)과 질적인 방법(qualitative methods)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가족사정을 위한 양적인 방법에는 표준화된 척도나 검사지, 질문지 등이 있다. 그리고 가족사정을 위한 질적인 방법에는 인터뷰, 그림 그리기, 가족관찰 등이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인터뷰
인터뷰는 가족사정을 위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방법이다. 그러나 반드시 인터뷰를 하기 전에 가족에 관한 기관 내의 기록과 의뢰, 그리고 의뢰에 대한 정보 등을 살펴보아야한다. 특히 편안하고 개방된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하고, 인터뷰의 목적이 피차간에 공유되어야 한다. 인터뷰의 목적은 인터뷰의 방법을 결정하는 대단히 중요한 요인이다.
인터뷰는 또한 그 자체로서만이 아니라 여러 가지 도구를 활용하여 진행될 수 이따. 예를 들면, 생태도나 가계도를 활용하거나 검사지나 질문지를 활용하는 것이 그것이다.
인터뷰는 사정 단계에서뿐만이 아니라 내담자와의 의사소통, 내담자에 관한 정보의 수집, 개입과 치료 등 사회복지실천의 전 과정에서 가장 빈번히 그리고 가장 중요한 방법으로 활용.
2) 그림 그리기
그림그리기(graphic measure)는 인터뷰를 통해 내담자와 그 가족의 상태나 문제를 그림으로 보여 주는 사정방법 중 하나다. 이는 특히 가족 내외의 역동을 한눈에 볼 수 있게 해 주는 효과를 가진다. 여기서는 가족사정에서 많이 사용되는 생태도와 가계도, 사회관계망 그리드에 한정하여 이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1) 생태도
생태도는 그 가족의 주요 환경이라고 갖게되는 체계를 그려서 가족체계의 요구자와 자원간의 균형을 보여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생태도에는 내담자를 둘러싼 각 체계와 가족 간의 관계 성격뿐만 아니라, 환경에서 가족으로의 자원의 흐름이 표시된다.
이러한 생태도는 사회복지사가 내담자와 함께 그리면, 사회복지사와 내담자 간의 연합을 진작시킬 뿐만 아니라 이들 간의 신뢰 형성이 강화된다.
P133(그림 4-3)생태도 참조
(2) 가계도
가계도는 가족 계보를 중심으로 그 가족의 3세대 이상에 관한 정보를 보여 주는 것으로서, 중요한 생활사건(결혼, 별거, 이혼, 질병, 사망 등)이나 사회인구학적 특성(인종, 사회계급, 민족, 종교, 직업, 거주지 등)을 알려 준다. 따라서 가계도를 그려보는 것은 그 가족의 가족 문제에 기여하는 중요 요인과 가족 유형을 알 수 있게 해 준다.
P 134 (그림 4-4) 앤 가족의 가계도 참조
(3) 사회관계망 그리드
Whittaker와 Tracy(1989)의 사회관계망 그리드에는 내담자의 관계망 내에 있는 사람들이 내담자와 어떤 관계에 있는 사람들이고, 이들이 내담자에게 주는 물질적. 정서적. 정보적 지원을 어느 정도 주고 있으며, 도움의 방향을 일방적인지 쌍방적인지 그리고 이들 관계망에 대한 정보는 주로 내담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얻는다.
P136(표4-3) 사회관계망 그리드 참조
Seed(1990)의 관계 다이어그램은 내담자에게 2주일 혹은 그 이상의 기간 동안 일지를 쓰게 하고, 그 일지의 내용을 근거로 하여 내담자가 누구와 어느 정도의, 어떤 내용의 교류가 있었는지를 파악하여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P137(그림 4-5) 잭의 관계망 다이어그램 참조
3) 관찰
가족내에서 가족원의 역할이 어떻게 수행되고 있고 가족 내 하위체계가 어떻게 기능하며, 가족원의 밀착 정도와 연합 등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사정하는 데 유용하다.
가족관찰의 대표적 방법에는 시연(試演,enactment)과 가족조각(family sculpture)이 있다. 시연이란 이전에 있었던 가족 상황을 재연하거나 역할연습을 하게 하는 것이고, 가족조각이란 가족원이 다른 가족원에 대해 인식하고 느낀 것을 특정 자세(position)를 취하게 함으로써 가족 내 역동을 표현하는 것이다. 이들 방법은 가족원이 자기 가족의 상호작용에 대한 통찰을 갖게 할 뿐만 아니라 가족 내 다양한 역동성을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Jordan &Franklin, 1995, p. 229).
특히 가족조각은 가족체계를 그려 내는 수단으로서 말이 없거나 어린아이처럼 말을 잘하지 못하는 내담자를 대할 때 효과적이다.
다음은 가족조각을 하는 절차다(Hertman &Laird, 1983, pp. 282).
사회복지사가 가족원에게 가족조각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가족원 중 누가 조각가 역할을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가능하면 가장 안정되고 표현적인 사람을 선택하도록 한다.
사회복지사가 조각가로 선택된 가족원에게 가족조각이 비언어적 과정임을 강조하면서 진행하는 방법을 지시한다.
가족조각이 그려지면서 가족원은 조각을 만드는 가족원의 조각도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사회복지사는 조각을 만드는 가족원을 지지하거나 도울 수 있다.
조각가가 조각을 다 완료하고 자신도 조각도의 어느 위치에 서고 난 후, 사회복지사는 모니터 역할을 한다. 조각도 안에 있는 가족원은 자신의 위치에서 서로 무엇을 느끼는지를 묻는다.
조각에 대한 가족원 간의 토론을 끝내거나 다른 가족원이 새로운 가족조각도를 만든다.
4) 검사지 및 질문지
이는 사정과정의 여러 단계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가족과 접촉하기 전에 사용될 수도 있고, 가족사정 과정에서 그 가족에 관한 객관적 정보와 주관적 정보를 파악하는 데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모역할에 문제가 있는 경우 부모역할의 효과성 측정을 위한 측정도구(예, parenting Stress Index: PSI)를 사용할 수 있고, 가족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의 수준을 사정하기 위해서는 FILE(Family Inventory of Life Events and Changes)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회관계망이나 사회적 지지의 평가가 필요할 경우에는 ‘지각된 사회지지척도(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 '사회지지행동척도(Social Support Behavior Scal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추천자료
치매노인가족 문제사정과 사회복지서비스개입계획 사회복지 문제분석사례 그리고 가족력,사회...
본인의 가족 혹은 친구 중 한명을 선정하여 사정도구(3개 이상)를 활용하여 사정하고 문제규...
가족중심 사회복지실천의 기본 개념과 사정
사정도구를 활용하여 우리 가족을 사정
가족관계 사정 중 가족구성원 각자가 가진 강점사정은 매우 중요하다. 현재의 본인을 포함하...
가족관계 향상과 가족기능회복을 위한 아동학대 사례에 대한 개입 (현황 및 실태, 사례개요, ...
[가족복지론] 아동학대에 대한 사정 및 개입(사회복지사의 요건, 기본적인 면접내용, 보호적 ...
부부갈등사례(가족복지, 부부갈등문제, 부부갈등사정, 부부갈등개입, 갈등부부사례개입)
[정신보건사회복지론 요약보고서] 03부.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 (가족과 정신건강, 심리사회적...
체계적 관점에서의 가족내 역동에 대한 가족 사정의 틀을 설명하고 본인 가족의 사정을 서술
가정사정도구, 가계도, 생태도, 외부체계도, 가족밀착도, 사회지지도, 가족연대기,
사회복지실천론)본인의 가족을 사정하여 보고서를 사회복지실천과정에 따라 작성하시오.본인...
가족복지론)사례관리이론에 근거한 실천대상자를 선정(주변 및 실제가족)하고 주요 문제를 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