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배우자의 성격이 바뀌길 원할 때
2. 행복한 부부관계를 위한 묘약
3. 부부의 차이와 부부갈등 해결방법
4. 부부의 갈등
5. 부부싸움 요령
6. 지혜롭게 하는 부부싸움
2. 행복한 부부관계를 위한 묘약
3. 부부의 차이와 부부갈등 해결방법
4. 부부의 갈등
5. 부부싸움 요령
6. 지혜롭게 하는 부부싸움
본문내용
결혼생활에 도움이 될 만한 정보
1. 배우자의 성격이 바뀌길 원할 때
당신도 평소에는 남을 포용하며 살아야 한다고 진정으로 확신할 때가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가끔은 당신 과거의 어떤 태도나 말에 대해 정말 부끄러워하며 반성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당신의 부부 관계에 있어서도 되도록 배우자의 모든 결점들을 사랑으로 감싸주리라고 때론 다짐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아무리 당신 배우자의 잘못을 포용한다 해도 당신의 배우자가 자기의 결점을 고치기 위해 진심으로 노력할지의 여부는 불확실하다. 만약에 당신의 배우자가 당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자신의 결점을 고치려 하지 않는다면, 당신은 미래에 대해 아주 암담한 기분을 느낄 것이다. 가정학의 개척자인 머레이 박사는 \'가정이란 하나의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의 어느 한 부분을 변화시키면 나머지 부분들도 그만큼 변화되어야 한다\' 고 말했다. 20년이 넘게 가정과 가족의 문제들에 대해 연구해 온 그는, 가정에서 일어나는 문제는 결코 어느 한 사람만의 책임이 아니라고 말한다.
예를 들어, 어떤 남편이 일밖에 모르고 가정에 소홀한 사람이라면 이는 아마 아내에게 있는 어떤 문제가 그 원인이 되었을 수도 있다. 또 아내가 낭비벽이 심하다면, 남편이 가지고 있는 어떤 문제가 아내의 씀씀이를 부추키게 된 것인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우리들은 누구나 이러한 가정의 문제가 자기 때문에 생겼다고 시인하려 들지 않는다. 자신들의 약점을 타인의 탓으로 돌리는 것이 인간의 속성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어려운 문제에 봉착했을 때는 그 원인을 타인의 탓으로 돌리고 마는 오류를 범한다. 부부관계에서 남편과 아내는 종종 형식적인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만일 남편이 아무 연락도 없이 집에 늦게 들어왔다고 하자. 그러면, 아내는 굳은 표정으로 아무 대답도 하지 않은 채 잠자리에 들것이며, 성 관계도 거부할 것이다. 그러면 남편은 화를 내며 돌아 누워버리고 이들 부부 사이에는 차가운 기운이 감돌게 된다. 부부사이에 흔히 일어나는 이런 형식적인 반응들을 변화시키려면 좀 더 성숙한 사고를 갖도록 서로 노력해야 한다. 즉, 어느 한쪽의 행동에 기분이 나빠지면 즉시 짜증을 내거나 잔소리를 하는 단조롭고 형식적인 반응을 보이는 습관부터 서로 버려야 한다. 대신 상대가 그런 행동을 보이게 된 원인부터 생각해 보고 만일 자신이 상대의 입장이었다면 어떻게 행동했을까를 생각해 보는 게 좋다. 그렇다면 대부분의 문제들이 큰 갈등 없이 풀어질 수 있다.이와 같은 행동은 어떤 부부나 쉽게 할 수 있다. 다만 얼마나 습관화하느냐가 문제이다. 처음에는 잘 되지 않더라도 지속적으로 노력하다 보면 어느새 달라진 자신들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당신의 부부가 반드시 변화되어야만 한다고 확신할
1. 배우자의 성격이 바뀌길 원할 때
당신도 평소에는 남을 포용하며 살아야 한다고 진정으로 확신할 때가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가끔은 당신 과거의 어떤 태도나 말에 대해 정말 부끄러워하며 반성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당신의 부부 관계에 있어서도 되도록 배우자의 모든 결점들을 사랑으로 감싸주리라고 때론 다짐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아무리 당신 배우자의 잘못을 포용한다 해도 당신의 배우자가 자기의 결점을 고치기 위해 진심으로 노력할지의 여부는 불확실하다. 만약에 당신의 배우자가 당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자신의 결점을 고치려 하지 않는다면, 당신은 미래에 대해 아주 암담한 기분을 느낄 것이다. 가정학의 개척자인 머레이 박사는 \'가정이란 하나의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의 어느 한 부분을 변화시키면 나머지 부분들도 그만큼 변화되어야 한다\' 고 말했다. 20년이 넘게 가정과 가족의 문제들에 대해 연구해 온 그는, 가정에서 일어나는 문제는 결코 어느 한 사람만의 책임이 아니라고 말한다.
예를 들어, 어떤 남편이 일밖에 모르고 가정에 소홀한 사람이라면 이는 아마 아내에게 있는 어떤 문제가 그 원인이 되었을 수도 있다. 또 아내가 낭비벽이 심하다면, 남편이 가지고 있는 어떤 문제가 아내의 씀씀이를 부추키게 된 것인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우리들은 누구나 이러한 가정의 문제가 자기 때문에 생겼다고 시인하려 들지 않는다. 자신들의 약점을 타인의 탓으로 돌리는 것이 인간의 속성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어려운 문제에 봉착했을 때는 그 원인을 타인의 탓으로 돌리고 마는 오류를 범한다. 부부관계에서 남편과 아내는 종종 형식적인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만일 남편이 아무 연락도 없이 집에 늦게 들어왔다고 하자. 그러면, 아내는 굳은 표정으로 아무 대답도 하지 않은 채 잠자리에 들것이며, 성 관계도 거부할 것이다. 그러면 남편은 화를 내며 돌아 누워버리고 이들 부부 사이에는 차가운 기운이 감돌게 된다. 부부사이에 흔히 일어나는 이런 형식적인 반응들을 변화시키려면 좀 더 성숙한 사고를 갖도록 서로 노력해야 한다. 즉, 어느 한쪽의 행동에 기분이 나빠지면 즉시 짜증을 내거나 잔소리를 하는 단조롭고 형식적인 반응을 보이는 습관부터 서로 버려야 한다. 대신 상대가 그런 행동을 보이게 된 원인부터 생각해 보고 만일 자신이 상대의 입장이었다면 어떻게 행동했을까를 생각해 보는 게 좋다. 그렇다면 대부분의 문제들이 큰 갈등 없이 풀어질 수 있다.이와 같은 행동은 어떤 부부나 쉽게 할 수 있다. 다만 얼마나 습관화하느냐가 문제이다. 처음에는 잘 되지 않더라도 지속적으로 노력하다 보면 어느새 달라진 자신들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당신의 부부가 반드시 변화되어야만 한다고 확신할
추천자료
[결혼과가족]바람직한 부부관계의 모색
대학생의 결혼관 실태 분석
현대사회의 결혼과 이혼
국제 결혼과 다문화 가정.
다문화 사회의 국제결혼 이주가족의 문제점 및 지원 대책방안
[행정학방법론]대학생들의 결혼관 연구 보고서
성인기·중년기 정신건강 보고서(성인기결혼,직장,혼전관계 중년기우울증,가족,직장,혼외관계)
(프로그램개발과평가) 결혼 이주여성을 위한 한국 문화 적응 프로그램
<우리 결혼했어요>의 인기요인과 문제점 분석
다문화 가정의 여성교육PPT(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한국 결혼 현황
우리나라에서 시행되는 결혼준비 프로그램을 조사하고 그 필요성에 대해 토론.
‘결혼은 선택이다’ 라는 주제로 찬성과 반대의 입장을 적으시고 찬반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