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목차
1.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내용 및 범위
1.3 연구방법
1.4 연구동향
2장 엘리베이터 구조 및 소음진동 전달 경로
2.1 엘리베이터 구조
2.2 소음 진동의 발생원과 전달경로 분석
3장 방음ㆍ방진 이론 및 설계방법
3.1 방음설계
3.1.1 소음 용어 및 기본이론
3.1.2 차음설계 방법
3.1.3 흡음설계 방법
3.2 방진 설계
3.2.1 진동 용어 및 기본이론
3.2.2 진동 예측방법
4장 소음ㆍ진동 설계 기준(안)
4.1 소음의 영향 및 평가기준
4.1.1 소음의 영향
4.1.2 실내소음 평가기준
4.2 진동의 영향 및 평가기준
4.2.1 진동의 영향
4.2.2 건물 내 진동 평가기준
4.3 소음ㆍ진동 설계기준(안)
4.3.1 승강기 설계, 제작시 소음진동 설계기준
4.3.2 세대내 소음 진동 설계목표치(안)
5장 소음ㆍ진동 실태측정
5.1 측정대상 승강기
5.2 승강기 운행소음 실태
5.2.1 측정개요
5.2.2 기계실 내에서의 소음레벨
5.2.3 세대 내에서의 소음레벨
5.2.4 전달경로상에서의 소음레벨 변화량 분석
5.2.5 승강기 내에서의 소음레벨
5.3 승강기 운행진동 실태
5.3.1 측정 개요
5.3.2 진동 측정결과
6장 설계요소별 소음ㆍ진동 특성 분석
6.1 세대와 인접한 승강로 벽체구조별 차음성능 평가
6.1.1 측정 개요
6.1.2 측정결과
6.1.3 평가 및 활용
6.2 기계실 내부마감재에 의한 흡음효과 분석
6.2.1 측정 개요
6.2.2 측정결과
6.2.3 평가 및 활용
6.3 승강기 운행속도에 따른 소음특성
6.3.1 측정 개요
6.3.2 측정 결과
6.3.3 평가 및 활용
6.4 기계실 출입문 유형에 따른 소음전달
6.4.1 측정 개요
6.4.2 측정결과
6.4.3 평가 및 활용
7장 소음 진동 저감을 위한 실무지침
7.1 설계ㆍ시공ㆍ유지관리시의 유의사항
7.2 시방서 보안(안)
8장 결론
참 고 문 헌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내용 및 범위
1.3 연구방법
1.4 연구동향
2장 엘리베이터 구조 및 소음진동 전달 경로
2.1 엘리베이터 구조
2.2 소음 진동의 발생원과 전달경로 분석
3장 방음ㆍ방진 이론 및 설계방법
3.1 방음설계
3.1.1 소음 용어 및 기본이론
3.1.2 차음설계 방법
3.1.3 흡음설계 방법
3.2 방진 설계
3.2.1 진동 용어 및 기본이론
3.2.2 진동 예측방법
4장 소음ㆍ진동 설계 기준(안)
4.1 소음의 영향 및 평가기준
4.1.1 소음의 영향
4.1.2 실내소음 평가기준
4.2 진동의 영향 및 평가기준
4.2.1 진동의 영향
4.2.2 건물 내 진동 평가기준
4.3 소음ㆍ진동 설계기준(안)
4.3.1 승강기 설계, 제작시 소음진동 설계기준
4.3.2 세대내 소음 진동 설계목표치(안)
5장 소음ㆍ진동 실태측정
5.1 측정대상 승강기
5.2 승강기 운행소음 실태
5.2.1 측정개요
5.2.2 기계실 내에서의 소음레벨
5.2.3 세대 내에서의 소음레벨
5.2.4 전달경로상에서의 소음레벨 변화량 분석
5.2.5 승강기 내에서의 소음레벨
5.3 승강기 운행진동 실태
5.3.1 측정 개요
5.3.2 진동 측정결과
6장 설계요소별 소음ㆍ진동 특성 분석
6.1 세대와 인접한 승강로 벽체구조별 차음성능 평가
6.1.1 측정 개요
6.1.2 측정결과
6.1.3 평가 및 활용
6.2 기계실 내부마감재에 의한 흡음효과 분석
6.2.1 측정 개요
6.2.2 측정결과
6.2.3 평가 및 활용
6.3 승강기 운행속도에 따른 소음특성
6.3.1 측정 개요
6.3.2 측정 결과
6.3.3 평가 및 활용
6.4 기계실 출입문 유형에 따른 소음전달
6.4.1 측정 개요
6.4.2 측정결과
6.4.3 평가 및 활용
7장 소음 진동 저감을 위한 실무지침
7.1 설계ㆍ시공ㆍ유지관리시의 유의사항
7.2 시방서 보안(안)
8장 결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동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2.4.2 승강로 주로프”의 경우 현행에는 언급이 되어있지 않으나, 유지관리상 중요하며, 소음진동 발생을 작게 하기 위하여 로프의 장력은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한다는 항목을 신설하였다. 현재 로프의 장력은 설치자의 경험에 의해 적당히 유지되고 있으나, 만약 로프의 장력이 다를 경우 로프의 편마모가 발생하게 되며 마찰에 의한 소음이 크게 될 수 있으므로 설치시 뿐 아니라 유지관리시에 항상 모든 로프의 장력이 일정하도록 유지할 필요가 있다. “3.4.3 레일 브라켓의 설치”는 2.4.1의 마항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2.6m 간격으로 설치하여 승강로 벽체와 슬래브가 만나는 강성이 강한 부분에 고정하도록 한다. “3.4.4 레일설치”의 경우 단차가 없도록 하기 위해서 현장에서 시공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며, 카 레일의 경우 승차감을 체크함에 의해 쉽게 레일의 단차 정밀시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나, 균형추용 레일의 경우 품질 체크가 어려워 소홀히 할 수 있으므로 시공관리에 만전을 기할 필요가 있다.
<표 7.2> 시방서 보완(안)
8장 결론
본 연구에서는 승강기 운행에 따른 소음진동 발생 및 전달실태를 측정ㆍ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발생원에서부터 효율적으로 소음진동을 저감하기 위하여 기계실권상기 및 주행레일에 대한 적정 방진설계방안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또한 건축적 측면에서 현재 반영하고 있는 세대와 인접한 승강로 벽체구조, 승강기 기계실의 내부마감 방안에 대해 소음진동 저감효과를 분석하고 설계 개선방안을 검토ㆍ제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음ㆍ진동 전달경로 분석 ㆍ기계실 및 승강로 주행레일을 통한 고체전달음이 주요 전달경로가 됨. ㆍ기계대의 이중 방진처리, 주행레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차단 요구 ㆍ공기전달음에 의한 전달은 현행 승강로 벽체구조, 기계실 출입문의 차음성능 및 기계실과 세대와의 이격거리 등을 감안할 때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 2) 소음ㆍ진동 설계목표치 및 실태 ㆍ승강기 운행소음ㆍ진동 설계목표치(안)
ㆍ소음 실태
ㆍ진동 실태
3) 설계요소별 소음ㆍ진동 특성 분석 (1) 승강기 운행속도에 따른 소음도 ㆍ측정결과
ㆍ활용방안 심야시간대(23:00~05:00)에 정숙운행시스템 채용 : 105m/분→60m/분 ㆍ- 세대 내에서 약 2dB(A)이상의 소음저감효과 기대 - 유지관리자가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어반에 프로그램 입력 (승강기 시방서에 반영 건의) (2) 기계실 내부마감재에 의한 흡음효과 분석 ㆍ내부마감 개요 - 설치부위 : 기계실 천장 및 벽면 - 설치방법 : 목재틀 위에 발포폴리스틸렌(t=20㎜)과 흡음텍스(t=15㎜) 시공 ㆍ측정결과 및 활용
ㆍ기계실 마감공법별 성능비교
(3) 세대와 인접한 승강로 벽체구조별 차음성능 평가 ㆍ측정개요 : 승강기 운행에 의해 발생한 소음이 세대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 단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세대와 인접한 승강로 벽체구조별 차음성능 비교ㆍ평가 ㆍ측정대상 벽체구조
(4) 기 타 ○ 기계실 출입문 유형에 따른 소음전달 ㆍ개요: 기계실 바닥면적의 1/20이상의 환기면적 확보요구(승강기 검사기준) ㆍ부분적으로 그릴형 철재문 채용 사례 발생 ㆍ차음성능(기계실 내외부 음압레벨차: 출입문 경계) 평가결과 ː - 일반형 철재문 : 17~18 dB(A), - 그릴형 철재문 : 4~13 dB(A) ※ 그릴형 철재문 사용시 계단실을 통하여 세대로 소음전달 우려 ㆍ활용방안: 설계단계에서 별도의 충분한 환기면적을 확보하고, 기계실 출입 문은 반드시 일반형 철재문 활용 ○ 주행레일로부터 소음전달 저감기법 ㆍ가이드 슈 (현행)ㆍ가이드롤러 (개선) ㆍ기대효과 : 소음저감효과 약 2~3 dB, 유지관리 용이, 승강기 구입/설치비 약 3% 상승 4) 설계 및 시공지침 보완(안) ㆍ승강기시방서 (대한주택공사, 2000.4 기준)
ㆍ기타 : 턴키 등 관련 설계지침 소음ㆍ진동 설계목표치(안) 적용, 그릴형 출입문 사용 규제 등
참 고 문 헌
대한주택공사, , PC주택의 엘리베이터 운행소음 저감방안 연구 1993
대한주택공사, , 설비기계실의 방음방진 설계지침에 관한 연구 1999
조관배, 승강기 소음ㆍ진동대책, ElevatorㆍParking System 1997
대한주택공사, , 승강기 시방서 2000
전자신문, , 테마특강-엘리베이터 기술동향 1995
杉山美樹 外, エリベㆍタㆍの振動解析-居室騷音低減への應用, 三菱電氣技報 vol.57, no.6, pp.40-43, 1993
橫田達 外, エリベㆍタㆍの騷音, 三稜電氣技報 pp.50-55, 田坂茂樹 外, 集合住宅の室內における吸音力の變化と室間音壓差, 日本建築學會 大會便覽集 p25, 1984
エリベㆍタㆍハイテク技術, オㆍム社, 1995
後蘇剛史 外, 高速エリベㆍタㆍの乘り心地に關する硏究, 日本建築學會大會學 術講演梗槪集 關東, 1979
Yoshiaki TERUMICHI 外, Lateral Oscillation of a Moving Elevator Rope, 日本建築學會大會論文集 pp.17-24, 1992-1
Yoshiaki TERUMICH 外, Lateral Oscillation of a Moving Elevator Rope and Cab in High-Rise Building, 日本建築學會大會論文集 pp.58-65, 1993-3
Madan Metha, , Architectural Acoustics (Principle & Design) Prentice Hall Inc., 1999
C.M. Harris, , Handbook of Noise Control pp.18-11, 1979
L. R. Al-Sharif, Electrical Noise Control Techniques in Elevator Controllers, ELEVATOR TECHNOLOGY pp.1-9,
T. Takahashi, High Efficiency and Low Noise Traction Machines for Low and Medium-Speed Inverter Elevators, ELEVATOR TECHNOLOGY pp.253-262,
<표 7.2> 시방서 보완(안)
8장 결론
본 연구에서는 승강기 운행에 따른 소음진동 발생 및 전달실태를 측정ㆍ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발생원에서부터 효율적으로 소음진동을 저감하기 위하여 기계실권상기 및 주행레일에 대한 적정 방진설계방안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또한 건축적 측면에서 현재 반영하고 있는 세대와 인접한 승강로 벽체구조, 승강기 기계실의 내부마감 방안에 대해 소음진동 저감효과를 분석하고 설계 개선방안을 검토ㆍ제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음ㆍ진동 전달경로 분석 ㆍ기계실 및 승강로 주행레일을 통한 고체전달음이 주요 전달경로가 됨. ㆍ기계대의 이중 방진처리, 주행레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차단 요구 ㆍ공기전달음에 의한 전달은 현행 승강로 벽체구조, 기계실 출입문의 차음성능 및 기계실과 세대와의 이격거리 등을 감안할 때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 2) 소음ㆍ진동 설계목표치 및 실태 ㆍ승강기 운행소음ㆍ진동 설계목표치(안)
ㆍ소음 실태
ㆍ진동 실태
3) 설계요소별 소음ㆍ진동 특성 분석 (1) 승강기 운행속도에 따른 소음도 ㆍ측정결과
ㆍ활용방안 심야시간대(23:00~05:00)에 정숙운행시스템 채용 : 105m/분→60m/분 ㆍ- 세대 내에서 약 2dB(A)이상의 소음저감효과 기대 - 유지관리자가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어반에 프로그램 입력 (승강기 시방서에 반영 건의) (2) 기계실 내부마감재에 의한 흡음효과 분석 ㆍ내부마감 개요 - 설치부위 : 기계실 천장 및 벽면 - 설치방법 : 목재틀 위에 발포폴리스틸렌(t=20㎜)과 흡음텍스(t=15㎜) 시공 ㆍ측정결과 및 활용
ㆍ기계실 마감공법별 성능비교
(3) 세대와 인접한 승강로 벽체구조별 차음성능 평가 ㆍ측정개요 : 승강기 운행에 의해 발생한 소음이 세대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 단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세대와 인접한 승강로 벽체구조별 차음성능 비교ㆍ평가 ㆍ측정대상 벽체구조
(4) 기 타 ○ 기계실 출입문 유형에 따른 소음전달 ㆍ개요: 기계실 바닥면적의 1/20이상의 환기면적 확보요구(승강기 검사기준) ㆍ부분적으로 그릴형 철재문 채용 사례 발생 ㆍ차음성능(기계실 내외부 음압레벨차: 출입문 경계) 평가결과 ː - 일반형 철재문 : 17~18 dB(A), - 그릴형 철재문 : 4~13 dB(A) ※ 그릴형 철재문 사용시 계단실을 통하여 세대로 소음전달 우려 ㆍ활용방안: 설계단계에서 별도의 충분한 환기면적을 확보하고, 기계실 출입 문은 반드시 일반형 철재문 활용 ○ 주행레일로부터 소음전달 저감기법 ㆍ가이드 슈 (현행)ㆍ가이드롤러 (개선) ㆍ기대효과 : 소음저감효과 약 2~3 dB, 유지관리 용이, 승강기 구입/설치비 약 3% 상승 4) 설계 및 시공지침 보완(안) ㆍ승강기시방서 (대한주택공사, 2000.4 기준)
ㆍ기타 : 턴키 등 관련 설계지침 소음ㆍ진동 설계목표치(안) 적용, 그릴형 출입문 사용 규제 등
참 고 문 헌
대한주택공사, , PC주택의 엘리베이터 운행소음 저감방안 연구 1993
대한주택공사, , 설비기계실의 방음방진 설계지침에 관한 연구 1999
조관배, 승강기 소음ㆍ진동대책, ElevatorㆍParking System 1997
대한주택공사, , 승강기 시방서 2000
전자신문, , 테마특강-엘리베이터 기술동향 1995
杉山美樹 外, エリベㆍタㆍの振動解析-居室騷音低減への應用, 三菱電氣技報 vol.57, no.6, pp.40-43, 1993
橫田達 外, エリベㆍタㆍの騷音, 三稜電氣技報 pp.50-55, 田坂茂樹 外, 集合住宅の室內における吸音力の變化と室間音壓差, 日本建築學會 大會便覽集 p25, 1984
エリベㆍタㆍハイテク技術, オㆍム社, 1995
後蘇剛史 外, 高速エリベㆍタㆍの乘り心地に關する硏究, 日本建築學會大會學 術講演梗槪集 關東, 1979
Yoshiaki TERUMICHI 外, Lateral Oscillation of a Moving Elevator Rope, 日本建築學會大會論文集 pp.17-24, 1992-1
Yoshiaki TERUMICH 外, Lateral Oscillation of a Moving Elevator Rope and Cab in High-Rise Building, 日本建築學會大會論文集 pp.58-65, 1993-3
Madan Metha, , Architectural Acoustics (Principle & Design) Prentice Hall Inc., 1999
C.M. Harris, , Handbook of Noise Control pp.18-11, 1979
L. R. Al-Sharif, Electrical Noise Control Techniques in Elevator Controllers, ELEVATOR TECHNOLOGY pp.1-9,
T. Takahashi, High Efficiency and Low Noise Traction Machines for Low and Medium-Speed Inverter Elevators, ELEVATOR TECHNOLOGY pp.253-26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