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과 호스피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죽음과 호스피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죽음과 호스피스

본문내용

최상의 대처전략 수립 / 지역사회 자원 사정
죽음 준비 / 건강 케어 체계의 효과적인 이용
성직자
환자와 가족의 믿음과 일치하는 영적 상담과 종교적 서비스
지역사회에 있는 성직자나 영적 상담가에 의한 지지와 의사소통
분야별 전문요원팀과 환자와 가족을 위한 의뢰교육
약사
모든 약무 업무 감독 / 호스피스의 일원
자원봉사자
환자와 가족들을 지지하고 우정을 나누며 실제적인 도움
프로그램 관리와 발전에 보조적인 업무
영양사
교육과 훈련이 잘된 직원이 환자, 가족들을 돌보고 영양 상담
(2) 호스피스의 영역별 역할
< 호스피스 서비스 영역별 분류 >
서비스 내용
담당영역
말기환자
사정
신체사정, 정서상태 사정, 죽음인지사정, 활력증상측정, 통증사정, 영적상태사정, 가족문제 사정, 유가적 첫사정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자원봉사자, 교역자
투약 및 처치
처방(통증조절, 증상완화), 투약 및 관리, 마약전달, 환자사망 후 마약수거 및 관리
의사, 간호사, 자원봉사자, 가족
신체 케어
비치료적 신체케어, 개인위생, 구강간호 등 간호, 온냉찜질, 체위변경, 침상정리, 식사제공, 수면돕기, 배변ㆍ배뇨관리, 좌욕, Kismo 적용, 치료적 신체케어, 욕창치료, IV(5%, 영양제), 신체 마사지, 자연배뇨유도, 회음부관리, 드레싱, 관장, 도뇨, 산소요법, 복막투석 등
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자원봉사자, 가족
상담 및 교육
사회지원 상담, 신앙상담, 교육, 시범교육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자원봉사자, 교역자
정서적
지지
경청, 산책, 위로, 곁에 있어줌, 감정표현 격려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자원봉사자, 교역자, 정신과 의사
영적 케어
신앙정보제공, 임종준비 지지(신앙으로 격려, 책 읽어줌)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자원봉사자, 교역자
가족관리
정서적 지지, 역할 조정, 경제적 문제, 사별관리
간호사, 사회복지사, 자원봉사자, 교역자, 정신과 의사
10) 호스피스 대상자의 특성
⑴ 신체적 특성
<임종 시에 나타나는 신체적인 증상>
· 활력상태의 변화
· 소변량 감소
· 그르렁거림
· 사라져 가는 의식
· 극도의 불안
· 음식과 수분의 섭취량 감소
· 불규칙적인 호흡의 변화
· 느린 순환 작용(심장의 박출량 감소)
· 기억력 상실
· 청각과 시력 감퇴
(2) 사회ㆍ경제적 특성
직업의 중단ㆍ상실에 따른 수입의 감소 막대한 치료비 등의 지출로 경제적인 어려움에 처하게 된다. 이러한 경제적 고통은 자신으로 인해 일어나는 또 다른 파생적 어려움 예컨대, 자신으로 인한 이사, 자녀의 학업중단, 바라던 일의 중단 등과 같은 가족 내의 문제에 등에 대한 가중된 부담으로 작용하기도 하여 환자를 고립시킬 수 있다.
(3) 심리ㆍ정서적 특성
- 스위스의 정신의학자 퀴블러 로스의 “죽음을 맞는 다섯 단계”
① 부정(Denial)과 고립(Isolation)의 단계
자신의 죽음이 임박했다는 진단을 받으면 이 사실을 믿으려 하지 않고 부인하는 단계이다. 환자는 진단을 잘못 내렸다는 생각과 좀 더 나은 진단이 내려지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여러 의사와 병원을 찾아다니기도 한다. 이 단계에 있는 환자를 돕기 위해서는 임박해 오는 죽음이나 위중하다는 의학적 증거를 믿지 않는 환자에게 자신의 질병을 수용하고 현실적인 생각을 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② 분노(Anger)의 단계
더 이상 자신의 죽음을 부정할 수 없게 됨으로써 자신은 불가피하게 죽어야 하는 데도 다른 사람들은 건강하게 살아남는다는 사실에 분노를 느끼는 단계이다. 분노와 사나움, 시샘과 원망의 감정으로 “왜 하필 내가 죽어? 라는 물음이 되고 부인과 거부의 단계와는 달리, 이 분노의 단계는 분노가 아무데로나, 때로는 닥치는 대로 폭발하기 때문에 가족과 의료진이 감당하기 대단히 어렵다. 이때는 환자가 분노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 환자가 존중, 이해, 관심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게 하여 아직 스스로 가치 있고 보살핌을 통해 혼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게 한다.
③ 타협(Bargaining)의 단계
죽음에 대한 부정과 분노의 단계에서 현실을 외면하려던 태도가 지나가면 피할 수 없는 죽음을 점차적으로 수용하면서 현실을 바라보고 적응하기 시작한다. 이 단계는 ‘어쩔 수 없지, 하지만’의 반응을 보이며 생명 연장과 며칠이라도 좋으니 통증 없이, 신체적 불편 없이 보냈으면 하는 소망을 갖고 타협하게 된다. 이때 환자는 과거의 경험으로 미루어 착실한 행동을 보이고 특별한 헌신을 하기로 맹세함으로써 그 보상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④ 우울(Depression)의 단계
환자 자신이 여러 가지 일들 즉, 자신의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지위를 상실하게 됨에 따라 생기게 되는 단계이다. 더 이상 자신의 병을 부인하지 않으며 증상이 악화, 쇠약해지면서 극도의 상실감을 겪게 되면서 우울증에 빠지게 된다. 이 시기의 환자는 거의 말이 없고, 사람을 만나려하지 않고, 가족에 대한 걱정 등으로 조용히 있거나 울기도 한다.
⑤ 순응(Acceptance)의 단계
죽음을 수용하게 되는 단계이다. 자신의 운명에 분노하거나 우울해하지 않으며 지나간 감정들을 이야기 하거나 사랑했던 사람들을 잃게 될 것에 대해 말하는 여유를 갖는다. 이 시기는 가족의 도움과 이해와 격려가 필요한 시기이며 환자 스스로 사랑을 받고 있으며 자신이 소중한 존재임을 느낄 수 있도록 사랑을 표현해야한다.
* 호스피스에 관한 동영상
가.
http://netv.sbs.co.kr/sbox/sbox_index.jsp?uccid=10000430523&st=0&cooper=NAVER
나.http://wizard2.sbs.co.kr/resource/template/contents/44_netv.jsp?vProgId=1000126&vVodId=V0000311936&vMenuId=1008786&uccid=10000042660&st=0&cooper=NAVER
* 참고문헌
- 이상욱 외, 2004, 호스피스 수가개발-호스피스 이용현황과 비용을 중심으로, 관동대학교 의과대학·보건복지부.
-가천의과대학교 간호 대학원/ 최영순 / 호스피스환자 주 수발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호스피스 환자의 삶의 질과의 관계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58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