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②건식법 건식 자분을 사용하여 검사하는 방법으로, 자분 적용에 있어서 습식법과 비교하면 국부적인 검사에 편리하다.
4) 자화전류의 종류에 따른 분류
적용하는 자화전류에 따라 직류, 맥류, 충격류, 교류법등으로 분류하는데 이는 예상되는 불연속의 형 태 및 위치에 따라 분류된 검사방법 중 목적에 부합하는 전류의 종류를 선택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전 류의 종류에 따라 직류법, 교류법 등으로 방법을 분류한다.
5) 자화 방법에 따른 분류
자화 방법은 시험체에 자속을 발생시키는 방법을 말하며, 형성되는 자장의 방향에따라서 선형자화법 과 원형자화법으로 분류된다.
① 선형자화법
시험체 주위를 코일로 감아 코일에 자화전류를 흐르게 하거나, 시험체의 크기가 그다지 크지 않은 경우는 미리 코일을 감은 장치에 시험체를 밀어 넣어 자화 시키는방법으로, 코일 안의 자장의 세기는 코일을 감은 횟수 및 사용 전류에 비례한다.
② 원형자화법
환봉이나 철선과 같은 전도체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전도체 주위에 자력선을 원형으로 형성하게 하는 방법으로, 자력선이 완전한 폐회로를 이루기 때문에 자극이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불연속 존재 시 지시의 형태가 선명하게 나타난다.
4) 자화전류의 종류에 따른 분류
적용하는 자화전류에 따라 직류, 맥류, 충격류, 교류법등으로 분류하는데 이는 예상되는 불연속의 형 태 및 위치에 따라 분류된 검사방법 중 목적에 부합하는 전류의 종류를 선택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전 류의 종류에 따라 직류법, 교류법 등으로 방법을 분류한다.
5) 자화 방법에 따른 분류
자화 방법은 시험체에 자속을 발생시키는 방법을 말하며, 형성되는 자장의 방향에따라서 선형자화법 과 원형자화법으로 분류된다.
① 선형자화법
시험체 주위를 코일로 감아 코일에 자화전류를 흐르게 하거나, 시험체의 크기가 그다지 크지 않은 경우는 미리 코일을 감은 장치에 시험체를 밀어 넣어 자화 시키는방법으로, 코일 안의 자장의 세기는 코일을 감은 횟수 및 사용 전류에 비례한다.
② 원형자화법
환봉이나 철선과 같은 전도체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전도체 주위에 자력선을 원형으로 형성하게 하는 방법으로, 자력선이 완전한 폐회로를 이루기 때문에 자극이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불연속 존재 시 지시의 형태가 선명하게 나타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