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로이 인격이 형성이 되는 것이다. 즉 아이가 죽자 그 고통을 이겨내지 못하고 아이의 흉내를 내는 것이다.
22) 저항(Resistance) - 원치않는 억압된 내용들이 나오려고 할 때 다른 방법으로 나오려고 하는것을 막는 경우이다. 즉 정신분석에서 저항은 당황하거나, 불안하거나, 침묵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23) 반복강박(Repratition) - 실패를 하는 데도 불구하고 같은 병적인 행동을 지속적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의식적으로 싫어도 무의식적으로 그 행동을 지속적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들면) 알콜중독자와 결혼에 실패한 데에도 불구하고 또 알콜중독자와 재혼을 하는 것.
24) 자신에게 향함 - 어떤 대상에게 용납할 수 없는 공격적 충동이 생길때 이를 자신에게 돌려 자신을 해치는 것을 말한다. 엄마에게 야단으 맞은 어린이가 자신의 머리를 쥐어 박는 것을 말한다.
25) 공상 - 현실에서는 이룰수 없는 소원, 욕구를 상상속에서 만족시키는 것이다. 백일몽등이다. 10년동안 실업자로 있는 의존적인 청년이 훌륭한 실업가가 되어 예쁜 여자와 결혼하는 것이다.
26) 취소- 용납할 수 없거나 죄책감을 불러 일으키는 충동이나 행동을 없는 것처럼 하려는 것이다. 여비서에게 성적으로 끌리는 남자가 부인에게 비싼 선물을 사 주는 경우
27) 차단 - 불쾌한 생각이나 느낌을 의식하지 않을려고 하는 것이다.
28) 전환 - 억압된 충동이나 기타 욕구에 의한 무의식적인 갈등을 신체증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글을 쓰는데 갈등을 느낀 소설가가 원고를 쓰는 오른팔에 마비가 오는 경우등이다.
29) 신체화 - 심리적인 갈등이 감각기관을 제외한 신체에 증상이 오는 것을 말한다.
30) 주지화 - 정서와 충동을 누르기 위해 그것들을 경험하는 대신에 그것들에 관해 생각을 많이 하는 것을 말한다.
31) 유머 - 자신이 가진 욕구나 느낌을 자신이나 타인에게 불쾌하게 않게 하면서 공개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32) 이타주의 - 타인의 본능적인 욕구를 건설적인 방법으로 도와주는 것을 말한다.
33) 승화 - 가장 건강한 방어기제로 각종 예술, 문화, 종교, 과학, 직업을 통해 자신의 해결하지 못한 욕구를 사회적으로 인정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34) 꿈 - 방어기제를 가장 잘 이해하는 도구이며, 꿈은 4가지 근원에서 나온다.
① 과거의 아픈 기억이나 환상을 가진다. 시험에 탈락하는 아픈 기억을 가진 사람은
22) 저항(Resistance) - 원치않는 억압된 내용들이 나오려고 할 때 다른 방법으로 나오려고 하는것을 막는 경우이다. 즉 정신분석에서 저항은 당황하거나, 불안하거나, 침묵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23) 반복강박(Repratition) - 실패를 하는 데도 불구하고 같은 병적인 행동을 지속적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의식적으로 싫어도 무의식적으로 그 행동을 지속적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들면) 알콜중독자와 결혼에 실패한 데에도 불구하고 또 알콜중독자와 재혼을 하는 것.
24) 자신에게 향함 - 어떤 대상에게 용납할 수 없는 공격적 충동이 생길때 이를 자신에게 돌려 자신을 해치는 것을 말한다. 엄마에게 야단으 맞은 어린이가 자신의 머리를 쥐어 박는 것을 말한다.
25) 공상 - 현실에서는 이룰수 없는 소원, 욕구를 상상속에서 만족시키는 것이다. 백일몽등이다. 10년동안 실업자로 있는 의존적인 청년이 훌륭한 실업가가 되어 예쁜 여자와 결혼하는 것이다.
26) 취소- 용납할 수 없거나 죄책감을 불러 일으키는 충동이나 행동을 없는 것처럼 하려는 것이다. 여비서에게 성적으로 끌리는 남자가 부인에게 비싼 선물을 사 주는 경우
27) 차단 - 불쾌한 생각이나 느낌을 의식하지 않을려고 하는 것이다.
28) 전환 - 억압된 충동이나 기타 욕구에 의한 무의식적인 갈등을 신체증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글을 쓰는데 갈등을 느낀 소설가가 원고를 쓰는 오른팔에 마비가 오는 경우등이다.
29) 신체화 - 심리적인 갈등이 감각기관을 제외한 신체에 증상이 오는 것을 말한다.
30) 주지화 - 정서와 충동을 누르기 위해 그것들을 경험하는 대신에 그것들에 관해 생각을 많이 하는 것을 말한다.
31) 유머 - 자신이 가진 욕구나 느낌을 자신이나 타인에게 불쾌하게 않게 하면서 공개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32) 이타주의 - 타인의 본능적인 욕구를 건설적인 방법으로 도와주는 것을 말한다.
33) 승화 - 가장 건강한 방어기제로 각종 예술, 문화, 종교, 과학, 직업을 통해 자신의 해결하지 못한 욕구를 사회적으로 인정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34) 꿈 - 방어기제를 가장 잘 이해하는 도구이며, 꿈은 4가지 근원에서 나온다.
① 과거의 아픈 기억이나 환상을 가진다. 시험에 탈락하는 아픈 기억을 가진 사람은
추천자료
인간행동과사회환경_사회환경의변화가개인에게미치는영향
(인간행동과사회환경) 가족과 인간행동 발표 보고서
인간행동과사회환경 3B) 스키너의 행동주의 이론과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
인간행동과사회환경1E) 행동발달에 대한 행동주의와 인본주의의 비교(인간관, 견해,기본전제)
“행동주의 심리학의 초석을 놓았던 심리학자들”- 왓슨(John Broadus Watson)과 손다이크(Edwa...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성격이론의 이해와 사회복지실천 - 정신분석이론, 자아심리이론, 인지...
[인간행동과사회환경]개인주의 심리학이론 - 아들러 생애와 이론의 특징 및 주요 개념, 아들...
인간행동과사회환경 1D)행동발달에 대한 스키너(B. Skinner)이론의 특징과 장단점을 설명하시...
방통대 인행사 가정학과 D형 고전적 조건형성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아들러 이론과 프로이드 이론을 비교하고 이론적 공통점과 상이점에 대...
[2017 인간행동과사회환경E형] 아들러 이론과 매슬로 이론의 이론적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
인간행동과사회환경 C형)사회적 학습이론의 행동주의적 요소와 차별화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