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고 한다.
소아기호증 치료는 약물로 남성 호르몬 수치를 떨어뜨려 비정상적인 성적 욕구를 억제하는 방법, 우리나라가 오는 10월부터 도입 예정인 전자발찌 감시법, 격리, 인지행동 치료 등 여러가지가 있다.
스웨덴의 경우 2000년 재범률이 높은 성범죄자를 대상으로 전자팔찌 및 보호관찰을 시행한 후 해당 범죄 발생이 10∼30% 감소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또 워싱턴 등 미국 16개 주에서는 재범 위험이 높은 사람은 형기가 끝난 뒤에도 별도 감호시설에 수용해 치료를 받게 하고 있다.
출소 뒤 바로 같은 범죄를 저지르는 것으로 보아 소아기호증 환자의 범죄는 계획적이라기보다는 충동적이다. 따라서 유괴방지 대책 및 아동교육, CCTV 설치, 단순 격리 및 수용을 넘어선 국가 차원의 체계적 평가 및 치료 감호 대책이 필요하다.
김경란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정신과 교수
2008.04.06
부 록 2
오이드푸스 콤플렉스
그리스 신화 오이디푸스에서 딴 말로서 S.프로이트가 정신분석학에서 쓴 용어이다. 오이디푸스는 테베의 왕 라이오스와 이오카스테(에피카스테)의 아들인데 숙명적으로 아버지를 살해하고 스핑크스의 수수께끼를 풀어 테베의 왕이 되었다. 어머니인 줄 모르고 결혼한 그들은 그 사실을 알자 이오카스테는 자살하고 오이디푸스는 자기 눈을 뺀다.
프로이트는 이러한 경향은 남근기(男根期:3∼5세)에서 분명하게 나타나며 잠재기(潛在期)에는 억압된다고 한다. ‘아버지처럼 자유롭게 어머니를 사랑하고 싶다’는 원망(願望)은 ‘아버지와 같이 되고 싶다’는 원망으로 변하여 부친과의 동일시(同一視)가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초자아(超自我)가 형성된다.
프로이트는 유아는 이 오이디푸스콤플렉스를 극복하고서야 비로소 성인(成人)의 정상적인 성애가 발전하는 것이지만 이를 이상적으로 극복한다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며, 일반적으로 신경증환자는 이 극복에 실패한 사람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이 콤플렉스는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생물학적인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1929년 말리노프스키의 문화인류학상(文化人類學上)의 발견으로 이 콤플렉스는 로마법과 그리스도교의 도덕에 의하여 지지되고, 부르주아와의 경제조건에 의하여 강화된 아리안족의 부계제 가족(父系制家族)에서만 볼 수 있는 것으로 보편적인 것도 아니며 생리학적인 것도 아니라는 사실이 판명되었다.
엘렉트라 콤플렉스
정신분석학에서 오이디푸스콤플렉스와 대비되는 개념이다. 프로이트가 이론을 세우고 융이 이름을 붙였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3~5세의 남근기(男根期)에 여자아이들은 자신에게는 남동생이나 아버지가 갖고 있는 성기(penis)가 없다는 사실을 알고 남성을 부러워 하는 한편 자신에게 남성 성기를 주지 않은 어머니를 원망한다고 한다. 프로이트는 이와 같은 음경선망(penis envy)이 여자아이로 하여금 엘렉트라콤플렉스를 갖게 하는 적극적인 원인으로 보았다. 이러한 욕구는 어머니의 여성적 가치를 자기와 동일시하고 초자아(超自我)가 형성되면서 사라진다.
오이디푸스콤플렉스와 대비되지만 그만큼 중요시되지는 않는데, 이는 최악의 상황이라도 어머니가 딸을 거세(去勢)할 수는 없으므로 남자아이들만큼 거세콤플렉스를 느끼지 않는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프로이트는 여성의 초자아가 남성보다 약하다고 믿었다. 명칭은 그리스신화에서 아가멤논의 딸 엘렉트라가 보여 준 아버지에 대한 집념과 어머니에 대한 증오에서 유래하였다. 미케네 왕 아가멤논은 10년 동안의 트로이전쟁을 마치고 귀국한 날 밤에 아내인 클리타임네스트라와 간부(姦夫) 아이기스토스에게 살해당하였다. 엘렉트라는 동생인 오레스테스와 힘을 합쳐 어머니와 간부를 죽이고 복수하였다.
소아기호증 치료는 약물로 남성 호르몬 수치를 떨어뜨려 비정상적인 성적 욕구를 억제하는 방법, 우리나라가 오는 10월부터 도입 예정인 전자발찌 감시법, 격리, 인지행동 치료 등 여러가지가 있다.
스웨덴의 경우 2000년 재범률이 높은 성범죄자를 대상으로 전자팔찌 및 보호관찰을 시행한 후 해당 범죄 발생이 10∼30% 감소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또 워싱턴 등 미국 16개 주에서는 재범 위험이 높은 사람은 형기가 끝난 뒤에도 별도 감호시설에 수용해 치료를 받게 하고 있다.
출소 뒤 바로 같은 범죄를 저지르는 것으로 보아 소아기호증 환자의 범죄는 계획적이라기보다는 충동적이다. 따라서 유괴방지 대책 및 아동교육, CCTV 설치, 단순 격리 및 수용을 넘어선 국가 차원의 체계적 평가 및 치료 감호 대책이 필요하다.
김경란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정신과 교수
2008.04.06
부 록 2
오이드푸스 콤플렉스
그리스 신화 오이디푸스에서 딴 말로서 S.프로이트가 정신분석학에서 쓴 용어이다. 오이디푸스는 테베의 왕 라이오스와 이오카스테(에피카스테)의 아들인데 숙명적으로 아버지를 살해하고 스핑크스의 수수께끼를 풀어 테베의 왕이 되었다. 어머니인 줄 모르고 결혼한 그들은 그 사실을 알자 이오카스테는 자살하고 오이디푸스는 자기 눈을 뺀다.
프로이트는 이러한 경향은 남근기(男根期:3∼5세)에서 분명하게 나타나며 잠재기(潛在期)에는 억압된다고 한다. ‘아버지처럼 자유롭게 어머니를 사랑하고 싶다’는 원망(願望)은 ‘아버지와 같이 되고 싶다’는 원망으로 변하여 부친과의 동일시(同一視)가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초자아(超自我)가 형성된다.
프로이트는 유아는 이 오이디푸스콤플렉스를 극복하고서야 비로소 성인(成人)의 정상적인 성애가 발전하는 것이지만 이를 이상적으로 극복한다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며, 일반적으로 신경증환자는 이 극복에 실패한 사람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이 콤플렉스는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생물학적인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1929년 말리노프스키의 문화인류학상(文化人類學上)의 발견으로 이 콤플렉스는 로마법과 그리스도교의 도덕에 의하여 지지되고, 부르주아와의 경제조건에 의하여 강화된 아리안족의 부계제 가족(父系制家族)에서만 볼 수 있는 것으로 보편적인 것도 아니며 생리학적인 것도 아니라는 사실이 판명되었다.
엘렉트라 콤플렉스
정신분석학에서 오이디푸스콤플렉스와 대비되는 개념이다. 프로이트가 이론을 세우고 융이 이름을 붙였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3~5세의 남근기(男根期)에 여자아이들은 자신에게는 남동생이나 아버지가 갖고 있는 성기(penis)가 없다는 사실을 알고 남성을 부러워 하는 한편 자신에게 남성 성기를 주지 않은 어머니를 원망한다고 한다. 프로이트는 이와 같은 음경선망(penis envy)이 여자아이로 하여금 엘렉트라콤플렉스를 갖게 하는 적극적인 원인으로 보았다. 이러한 욕구는 어머니의 여성적 가치를 자기와 동일시하고 초자아(超自我)가 형성되면서 사라진다.
오이디푸스콤플렉스와 대비되지만 그만큼 중요시되지는 않는데, 이는 최악의 상황이라도 어머니가 딸을 거세(去勢)할 수는 없으므로 남자아이들만큼 거세콤플렉스를 느끼지 않는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프로이트는 여성의 초자아가 남성보다 약하다고 믿었다. 명칭은 그리스신화에서 아가멤논의 딸 엘렉트라가 보여 준 아버지에 대한 집념과 어머니에 대한 증오에서 유래하였다. 미케네 왕 아가멤논은 10년 동안의 트로이전쟁을 마치고 귀국한 날 밤에 아내인 클리타임네스트라와 간부(姦夫) 아이기스토스에게 살해당하였다. 엘렉트라는 동생인 오레스테스와 힘을 합쳐 어머니와 간부를 죽이고 복수하였다.
키워드
추천자료
[심리학][심리학이론][분트][에릭슨][프로이드]심리학의 정의, 발달, 심리학의 필요성, 관점,...
인간발달을 이해하는 기준지표와 패러다임, 프로이드의 인간발달이론(정신분석적성격이론), ...
프로이드의 인간발달이론(성격발달이론), 융의 인간발달이론(분석심리학적성격이론), 에릭슨...
에릭슨 심리사회적발달이론의 자아정체감 정의와 자아정체감 필요성, 에릭슨 심리사회적발달...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 이론적 배경,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 성격발달단계, 정신분석이론(...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의 성격발달원리, 성격발달요소, 성격발달단계,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
에릭슨 심리사회적발달이론의 기본전제와 특성, 에릭슨 심리사회적발달이론의 자아정체감과 ...
학자별 정리 리포트 (프로이드의 심리성욕 이론,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이론,피아제의 인지발달...
창신-아동발달-프로이드의 심리적 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적 이론의 유사점과 차이점
프로이드Freud, 분석심리이론, 자아심리이론, 인지발달이론, 행동주의이론, 행동주의적 성격...
교육심리학 프로이드와 에릭슨의 발달이론을 비교 설명하고, 프로이드와 에릭슨이 말하는 발...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유아기(걸음마기)의 발달 - 신체적 발달, 심리적 발달, 사회적 발달, ...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 에릭슨의 심리사회 이론, 피아제의 인지 발달이론의 인간발달단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