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본문내용
한다.
V. 교회가 성장하는 유형
1. 생물학적 성장
2. 전입성장
3. 회심성장
VI. 성장을 위한 대가
A. 목회자가 치러야 할 대가:
1. 성장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이다.
2. 열심히 일하는 것이다.
3. 함께(더불어) 목회하는 것이다.
함께 일하지 못하는 이유(테드 엥스트롬):
1) 아랫사람들이 일을 잘 해 낼 수 없다고 생각한다.
2) 아랫사람들의 도전을 두려워한다.
3) 인정받는 것을 잃을까 두려워한다.
4) 자신의 약점이 노출되는 것을 두려워한다.
5) 일을 분담해 주고 훈련시킬 충분한 시간이 없다고 생각한다.
4. 보다 많은 성도를 꿈꾸는 비전이 있어야 한다.
5. 성장하지 못하는 신학을 개혁하는 것이다.
B. 교인들이 치러야 할 대가:
1. 성장시키고자 하는 목회 리더십에 순종하기로 동의해야 한다.
2. 재정적 희생을 감수해야 한다.
3. 자신들의 교제구조를 개혁해야 한다.
4. 기존의 교인들이 기득권을 포기하고 개방해야 한다.
VII. 교회성장 전략
A. 부정적 전략(피터 언립):
1. 다른 교회의 프로그램 도입을 지양할 것.
2. 목적 없는 교회행사를 많이 하려 하지 말 것.
3. 기도와 믿음만 있으면 성장한다고 생각하지 말 것.
4. 숫자적 성장에만 관심을 갖지 말 것.
B. 긍정적 전략(조지 피터스):
1. 명확한 장/단기적 목표를 설정할 것.
2. 설정된 목표를 위하여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시간표를 작성할 것.
3. 가능한 모든 자원을 발굴하고 활용할 것.
4. 적절한 훈련을 실시할 것.
5. 효과적인 방법을 채택할 것.
6. 적절한 조직을 형성할 것.
7. 성령의 역사를 기대할 것.
강의 10 - 평 신 도 학
하나님의 백성은 "왕 같은 제사장들이요 거룩한 나라요 그의 소유된 백성이니"
(벧전 2:9)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 말씀은 성직자와 평신도를 구분 진 것이 아니다.
평신도와 성직자간에 차별이 없다.
서론: 왜 평신도론을 공부하는가?
그 이유는 평신도들도 하나니의 백성으로서 하나님을 위해 적극적으로 선교하고
봉사하고 예배하고 교제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에는 목회자나 평신도나 구분이
있을 수 없다.
A. 원어적 고찰
'평신도'란 의미를 나타내는 '하나님의 백성'의 성경적 어원을 살펴본다.
1. 구약의 근거
구약에서 '암( )'이란 히브리어는 하나님의 백성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다. 반
면에 '고이'란 단어도 사용되었는데 이 단어는 '백성'이란 뜻으로 이방인 혹은 이교
도들을 지칭할 때 사용되었다.
1) 창세기 12:1-3: 아브라함과 이스라엘의 선교적 역할. 즉 이방인 구원사역을
위한 수단으로 쓰임 받을 것이 언약되었다.
2) 출 19:5-6: 하나님 백성에 대한 정체성과 신분에 대한 것과 구분된 백성임을
나타내고 있다.
2. 신약의 근거
신약에서 '라오스( )'란 헬라어 단어는 평신도란 의미를 가지고 있다. '라오
스'는 교회의 어떤 직분이나 역할들에 관계없이 모든 구원받은 남녀 그리스도인을
포함하는 말로서 하나님의 특별한 선택을 받은 언약 백성들을 가르키는 신약의 단
어이다.
1) 엡 4:11-12: 모든 성도의 사역론에 대하여 강조
2) 벧전 2:9-10: 평신도의 정체성과 신분 및 역할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 성경적 근거로 볼 때 '목회자와 평신도'라는 단어는 구분되어 사용되지 않았고,
모두가 하나님의 백성으로 각기 다른 기능과 역할로 쓰임 받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제는 평신도도 하나님사역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여야 할 것이다.
B. 역사적 기초
1. 초대교회의 평신도 활동
목회자와 평신도가 구분되어 있지 않았다. 모두가 하나님의 백성으로 섬김의 부
름을 받은 자들이다. 이들에게는 신분의 고하를 나타내는 계급적 구조가 존재하지
않았다. 단지 하나님으로부터의 부르심과 은사의 구분만 이들에게 있었다.
2. 콘스탄틴 칙녕 이후의 평신도 활동
2c경 초대교부 중 한 사람이었던 이그나시우스는 안디옥 감독으로서 교회의 삼
중적 교직계급을 주장하였다. 최고직에 감독, 그 다음 순에 장로, 그 다음에 집사의
직분을 놓았다. 그리고 325년 니케아 회의 이후, 감독이 성례전을 독점함으로 수직
적, 계층적 구조가 형성되었으며 중세기로 들어서면서 더욱 굳어져 갔다.
3. 중세시대(A.D. 590-1500)의 평신도 활동
중세기는 암흑기로서 성직자와 평신도들의 신분을 현격히 구분하던 시대였다.
4. 종교개혁시대(16세기) 이후의 평신도 활동
1517년 마틴루터의 종교개혁 - 95개 조항을 위텐베르그 대학에 부침. 그 중의
하나가 만인 제사장설이다. 이 설은 평신도의 지위와 역할을 회복하는 중대한 재발
견이다. 모든 신자는 모두 제사장들이다.
5. 20세기 평신도 운동
C. 신학적 기초
1. 만인 제사장설
1) 모든 성도는 예수 그리스도 이외의 어떤 중보자 없이도 하나님께 나아 갈
수 있다.
2) 모든 성도는 하나님께 직접 영적 제사를 드릴 수 있다.
3) 모든 성도는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치고 증거 할 수 있다.
4) 모든 성도는 다른 성도들을 위한 중보 기도를 할 수 있다.
2. 봉사활동
목회자는 유교적 전통아래서 평신도보다 계급적으로 위에 있다고 오해할 수
있다. 이러한 오해는 성도들 위에 군림하는 인상을 심어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비
효율적인 사역으로 이끌 수 있다. 그러나 목회자와 평신도의 관계 설정에 있어서
그 역할과 기능은 차별이 있을 수 있으나 신분에 있어서는 차별이 있을 수 없다.
평신도들도 하나님께서 받은 은사대로 각기 다른 섬김의 봉사를 할 수 있는 것이
다.
D. 결론
평신도 신학은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평신도를 깨우는데 있다. 평신도 사역의
장은 교회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교화와 세상과의 관계설정에 달려 있다.
교회가 세상 안에 있지만 세상에 속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평신도는 세상
에서 빛과 소금의 직분을 잘 감당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평신도의 두 가지 사역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하나는 모이는 교
회 안에서의 사역으로서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와 관련된 사역이며 다른 하나는 흩
어지는 교회에서 세상을 향한 하나님의 선교와 섬김에 참여하는 사역인 것이다
V. 교회가 성장하는 유형
1. 생물학적 성장
2. 전입성장
3. 회심성장
VI. 성장을 위한 대가
A. 목회자가 치러야 할 대가:
1. 성장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이다.
2. 열심히 일하는 것이다.
3. 함께(더불어) 목회하는 것이다.
함께 일하지 못하는 이유(테드 엥스트롬):
1) 아랫사람들이 일을 잘 해 낼 수 없다고 생각한다.
2) 아랫사람들의 도전을 두려워한다.
3) 인정받는 것을 잃을까 두려워한다.
4) 자신의 약점이 노출되는 것을 두려워한다.
5) 일을 분담해 주고 훈련시킬 충분한 시간이 없다고 생각한다.
4. 보다 많은 성도를 꿈꾸는 비전이 있어야 한다.
5. 성장하지 못하는 신학을 개혁하는 것이다.
B. 교인들이 치러야 할 대가:
1. 성장시키고자 하는 목회 리더십에 순종하기로 동의해야 한다.
2. 재정적 희생을 감수해야 한다.
3. 자신들의 교제구조를 개혁해야 한다.
4. 기존의 교인들이 기득권을 포기하고 개방해야 한다.
VII. 교회성장 전략
A. 부정적 전략(피터 언립):
1. 다른 교회의 프로그램 도입을 지양할 것.
2. 목적 없는 교회행사를 많이 하려 하지 말 것.
3. 기도와 믿음만 있으면 성장한다고 생각하지 말 것.
4. 숫자적 성장에만 관심을 갖지 말 것.
B. 긍정적 전략(조지 피터스):
1. 명확한 장/단기적 목표를 설정할 것.
2. 설정된 목표를 위하여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시간표를 작성할 것.
3. 가능한 모든 자원을 발굴하고 활용할 것.
4. 적절한 훈련을 실시할 것.
5. 효과적인 방법을 채택할 것.
6. 적절한 조직을 형성할 것.
7. 성령의 역사를 기대할 것.
강의 10 - 평 신 도 학
하나님의 백성은 "왕 같은 제사장들이요 거룩한 나라요 그의 소유된 백성이니"
(벧전 2:9)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 말씀은 성직자와 평신도를 구분 진 것이 아니다.
평신도와 성직자간에 차별이 없다.
서론: 왜 평신도론을 공부하는가?
그 이유는 평신도들도 하나니의 백성으로서 하나님을 위해 적극적으로 선교하고
봉사하고 예배하고 교제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에는 목회자나 평신도나 구분이
있을 수 없다.
A. 원어적 고찰
'평신도'란 의미를 나타내는 '하나님의 백성'의 성경적 어원을 살펴본다.
1. 구약의 근거
구약에서 '암( )'이란 히브리어는 하나님의 백성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다. 반
면에 '고이'란 단어도 사용되었는데 이 단어는 '백성'이란 뜻으로 이방인 혹은 이교
도들을 지칭할 때 사용되었다.
1) 창세기 12:1-3: 아브라함과 이스라엘의 선교적 역할. 즉 이방인 구원사역을
위한 수단으로 쓰임 받을 것이 언약되었다.
2) 출 19:5-6: 하나님 백성에 대한 정체성과 신분에 대한 것과 구분된 백성임을
나타내고 있다.
2. 신약의 근거
신약에서 '라오스( )'란 헬라어 단어는 평신도란 의미를 가지고 있다. '라오
스'는 교회의 어떤 직분이나 역할들에 관계없이 모든 구원받은 남녀 그리스도인을
포함하는 말로서 하나님의 특별한 선택을 받은 언약 백성들을 가르키는 신약의 단
어이다.
1) 엡 4:11-12: 모든 성도의 사역론에 대하여 강조
2) 벧전 2:9-10: 평신도의 정체성과 신분 및 역할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 성경적 근거로 볼 때 '목회자와 평신도'라는 단어는 구분되어 사용되지 않았고,
모두가 하나님의 백성으로 각기 다른 기능과 역할로 쓰임 받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제는 평신도도 하나님사역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여야 할 것이다.
B. 역사적 기초
1. 초대교회의 평신도 활동
목회자와 평신도가 구분되어 있지 않았다. 모두가 하나님의 백성으로 섬김의 부
름을 받은 자들이다. 이들에게는 신분의 고하를 나타내는 계급적 구조가 존재하지
않았다. 단지 하나님으로부터의 부르심과 은사의 구분만 이들에게 있었다.
2. 콘스탄틴 칙녕 이후의 평신도 활동
2c경 초대교부 중 한 사람이었던 이그나시우스는 안디옥 감독으로서 교회의 삼
중적 교직계급을 주장하였다. 최고직에 감독, 그 다음 순에 장로, 그 다음에 집사의
직분을 놓았다. 그리고 325년 니케아 회의 이후, 감독이 성례전을 독점함으로 수직
적, 계층적 구조가 형성되었으며 중세기로 들어서면서 더욱 굳어져 갔다.
3. 중세시대(A.D. 590-1500)의 평신도 활동
중세기는 암흑기로서 성직자와 평신도들의 신분을 현격히 구분하던 시대였다.
4. 종교개혁시대(16세기) 이후의 평신도 활동
1517년 마틴루터의 종교개혁 - 95개 조항을 위텐베르그 대학에 부침. 그 중의
하나가 만인 제사장설이다. 이 설은 평신도의 지위와 역할을 회복하는 중대한 재발
견이다. 모든 신자는 모두 제사장들이다.
5. 20세기 평신도 운동
C. 신학적 기초
1. 만인 제사장설
1) 모든 성도는 예수 그리스도 이외의 어떤 중보자 없이도 하나님께 나아 갈
수 있다.
2) 모든 성도는 하나님께 직접 영적 제사를 드릴 수 있다.
3) 모든 성도는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치고 증거 할 수 있다.
4) 모든 성도는 다른 성도들을 위한 중보 기도를 할 수 있다.
2. 봉사활동
목회자는 유교적 전통아래서 평신도보다 계급적으로 위에 있다고 오해할 수
있다. 이러한 오해는 성도들 위에 군림하는 인상을 심어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비
효율적인 사역으로 이끌 수 있다. 그러나 목회자와 평신도의 관계 설정에 있어서
그 역할과 기능은 차별이 있을 수 있으나 신분에 있어서는 차별이 있을 수 없다.
평신도들도 하나님께서 받은 은사대로 각기 다른 섬김의 봉사를 할 수 있는 것이
다.
D. 결론
평신도 신학은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평신도를 깨우는데 있다. 평신도 사역의
장은 교회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교화와 세상과의 관계설정에 달려 있다.
교회가 세상 안에 있지만 세상에 속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평신도는 세상
에서 빛과 소금의 직분을 잘 감당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평신도의 두 가지 사역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하나는 모이는 교
회 안에서의 사역으로서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와 관련된 사역이며 다른 하나는 흩
어지는 교회에서 세상을 향한 하나님의 선교와 섬김에 참여하는 사역인 것이다
추천자료
교회사회사업실천론(노인복지를 중심으로)
교회봉사로서의 사회선교에 대한 신학적인 고찰
신학에 있어 철학적 역사의 의미와 한국기독교 역사인식의 반성적 성찰
아동학대와 사회복지실천
장애인과 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개론) 의료사회사업(사례,과제) 전반에 관한 레포트
[성경신학 본질][성경신학 위치][구약신학 유형][구약신학 본질][신약신학 정의][신약신학 본...
[신학][군켈][칼빈][칼뱅][루터][캅][바르트][라드][어거스틴]헤르만 군켈의 신학, 존 칼빈(...
조직신학-그리스도론(A+)
조직신학- 성령론, 구원론, 교회론, 사역, 성례 (A+)
조직신학 - 신론(A+)
조직신학 - 창조론 (A+)
사회복지실천에 대하여 정리하시고 사회복지사로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사례를 들어서 ...
전도학][청소년전도학][전도학에세이] 특정상황에서의 전도학의 이론과 실제에 관하여 개인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