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복합 애트리뷰트
2. 다치 애트리뷰트
3. ACID
1) ACID 특성
2) lock과 commit에 연결지어서 ACID의 내용을 설명
참고문헌
2. 다치 애트리뷰트
3. ACID
1) ACID 특성
2) lock과 commit에 연결지어서 ACID의 내용을 설명
참고문헌
본문내용
DB들은 대부분 ACID를 보장하기 위해 락(lock)에 의존했다. 이것은 데이터 처리전에 언제나 락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많은 수의 락을 관리하게 되면 동시작업 수행이 어렵고 성능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A유저가 특정 테이블을 읽고 있다면 B유저는 A의 트랜잭션이 끝나기를 기다려야 한다. 락의 대안으로 수정되는 모든 데이터를 별도 복사본으로 관리하는 MCC(multiversion concurrency control)가 있다. 방금 전 언급한 A,B 유저의 예를 들면 A가 트랜잭션을 시작할 때 가지고 있던 복사본을 B에 제공하여 동시에 수행이 가능하다. 이 방식은 사용자들이 데이터 처리하는 데 있어 많은 유연성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환경에서 ACID특성을 보장하는 것은 어렵다. 연결이 끊길 수도 있고 두 사용자가 동시에 DB의 동일한 부분을 접근할 수도 있다. 트랜잭션의 commit 여부를 각 사용자로부터 확인하기 위해 2단계 commit이 분산 트랜잭션에 적용된다. 트랜잭션이 병렬 수행되는 경우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2단계 락은 완전한 독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참고문헌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총론, 이재호, 정일 2002
네이버 백과
위키 백과
참고문헌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총론, 이재호, 정일 2002
네이버 백과
위키 백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