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미국의 한반도정책의 군사동맹지속과 강화의 논리
2. 주한미군의 세력균형역할론과 그 문제점
2. 주한미군의 세력균형역할론과 그 문제점
본문내용
주한미군의 역할이 근본적으로 바뀌는 것은 아니다. 주한미군이 상징적 수준으로 축소되거나 철수하지 않는 한, 주한미군의 한반도에서의 역할은 한반도의 군비통제와 실질적인 군축과정에 장애요인으로 남을 가능성은 항시 존재한다. 주한미군의 주둔지속은 남북간의 군사적 상호신뢰구축과 상호군비통제 및 군축의 문제를 남북이 주체적으로 적극성을 띠게 하는데 장애요인으로 남아있다. 북한은 주한미군이라는 외세의 존재를 이유로 들어 남한과의 군사문제대화에 소극적이며, 남한은 미군의 존재에 의존해 안보의 허상속에서 군축을 통한 진정한 남북간 군사적 긴장완화에 소극성을 띠는 악순환이 지속되는 것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주한미군을 이름과 내용 모두에서 명실상부한 유엔평화유지군체제로 대체하는 방안도 적극적으로 생각해볼만한 일이다.
추천자료
대남정책의 특징과 문제
대북정책 - 북핵사태 이후 햇볕정책
[러시아 대북정책][북러정상회담][러시아의 북핵문제에 대한 입장][러시아의 북한에 대한 평...
[북한환경문제][환경법][북한환경정책 방향][북한환경정책 제언]북한환경문제와 환경법, 북한...
[남북관계][북핵문제][중국의 영향][남북통일외교정책][남북통일정책][대북외교전략]남북관계...
[미국 대북정책][북미관계][남북관계]미국 대북정책의 변화과정, 북미관계의 역사, 현황, 전...
[김대중정부][노무현정부][대북정책][남북관계]김대중정부의 대북정책, 남북화해협력정책, 대...
참여정부의 대북정책과 북핵문제
남북관계와 대북정책,북한의 대남전략,북한의 대남전략,대북정책의 역사
미국의 대한정책 (주한미군 감축, 베트남 파병, 이라크 파병, 북한 핵문제, 부시행정부 대북...
[남북화해협력, 통일정책, 통일교육, 통일환경, 남북접촉, 언론]남북화해협력과 통일정책, 남...
미일대한정책(미국과 일본의 대한국정책), 미일방위협력, 미일안전보장조약, 미일군사동맹(미...
[★★평가우수자료★★][한중閑中 수교정상화 의의,전망] 한중 수교정상화 개요, 한중 수교정상화...
미국외교정책 - 미국의 동북아 정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