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공조론의 올바른 이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민족공조론의 올바른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민족공조론의 주장내용
2. 민족공조론 주장배경
3. 민족공조론 주장목적
4. 민족공조론이 우리 안보에 미치는 영양
5. 대응방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 중요하고 한일관계도 방치할 수 없다. 또한 중국과 러시아와도 선린우호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적어도 통일은 국제사회의 협력과 공조가 절대적이다. 북한을 홍콩이나 싱가포르와 같은 전 세계 투자자들의 낙원으로 만든다는 구상도 민족의 힘만으로는 역부족이다. 행여 일부 정치인들의 정치적 의도와 대중인기영합주의 때문에 통일한국의 미래를 담보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될 것이다.
5. 대응방향
민족공조론은 미국의 대북정책에 반대하는 반미운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미국이 여전히 북한의 위협을 중시하는 것과 달리 상당수 한국인, 특히 젊은이들은 2000년 남북정상회담 이후 북한을 위협적인 존재로 생각하지 않는다. 오히려 미국의 대북강경정책이 한반도에 긴장을 조성한다고 생각한다. 한미공조보다 오히려 민족공조를 더 중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민족공조론은 한국인의 반전평화 정서, 그리고 미국의 일방주의적 대외정책에 반대하는 전 세계적 여론과 상승작용을 불러일으키며 한국의 반미운동을 고조시킨다. 따라서 북한에 대한 경계심과 반미운동에 대한 시견을 바로하여 젊은이들의 이상과 개념을 바로 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박상봉 (독일통일정보연구소(IUED) 대표, 서울장신대 외래교수
  • 가격4,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90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