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를 가져와 지역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의미한다(이희연, 1989: 721). 지역의 자주성을 강조하여 생산요소의 외부유입을 선별적으로 차단하는 선택적 공간폐쇄전략은 지역개발이론에서 실효성 측면에서 이상적인 이론으로 비판을 받았지만, 관광개발은 지역의 고유한 자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검토될 수 있는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관광개발의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농어촌 지역과 같은 자연지역에는 저밀도의 개발과 규모를 소규모로 하여 개발과정에 지역의 주민참여를 유도하고, 시설 및 공간을 관광객과 주민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궁극적으로는 방문객과 주민간의 인간적인 우정이 생겨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관광에 의한 관광소득승수의 결정은 지역경제구조에 의한 소득의 누출정도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관광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지역실정을 고려한 관광개발전략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 한다. 이러한 점에서 지방의 관광개발은 지역의 사회·문화 및 경제적 여건과 주민의 심리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주민참여를 바탕으로 소규모의 점진적 개발전략으로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추천자료
지역활성화를 위한 지역관광개발 전략
컨벤션 산업
우리나라농어촌관광활성화에있어 축제
월드컵과 한국경제
이벤트 산업과 컨벤션 산업
지역사회 관광개발의 개념체계에 관한 연구
[국내관광산업]국내관광서비스의 현황
금융환경의 변화와 지역금융의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도시사회문화적 입장에서 바라본 세방화, 세계화, 지방화, FTA
관광활성화를 위한 소프트경쟁력 강화방안 -경주지역을 중심으로v
해양 관광산업의 이해와 발전전략
지속가능한 관광의 활성화 정책
농어촌 관광(농어촌관광의문제점, 농촌자원, 농촌자원활용, 농촌경제활성화, 농어촌관광사례,...
관광법규 관광기본법 개정이 이루어질 경우 꼭 포함되어야 할 사항을 조문형식으로 작성하고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