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상징과 모티브로서의 그리스로마신화
2. 미토스(신화)에서 로고스(논리)로의 이행이 갖는 의미
2. 미토스(신화)에서 로고스(논리)로의 이행이 갖는 의미
본문내용
4) 죽음의 연습이 바로 삶을 위한 시도
이제 은비학적 시각에서 다시 삶과 죽음의 문제를 바라본다면 그 둘의 일치됨은 별 무리 없이 인식될 수 있다. 즉 윤회가 진실하다는 것을 아는 사람들에게 현생에서의 죽음은 곧 다음 생에서의 새로운 삶을 의미하므로 삶과 죽음은 동전의 양면과 다를 바가 없게 된다. 항시 삶의 철학이라 할 수 있는 내용들을 논하면서 플라톤은 대변인으로 내세운 소크라테스를 통해 자신의 철학을 ‘죽음의 연습’이라고 정의했다. 그의 이런 주장은 곧, 우리가 ‘죽음을 연습하는’ 매 순간 순간이 새로운 삶을 살기 위한 시도와 같은 것임을 가르치고 있다. 은비학 전통 아래 삶과 죽음을 같은 것으로 보는 것처럼, 미토스를 로고스화하는 과정인 철학과 과학이 로고스를 미토스화하는 과정인 은비학과 또한 결코 다른 것이 될 수 없다는 것 역시 우리는 참된 은비학 전통에 입각해서 깨달을 수 있다. 모든 것이 결국은 비대립적이라는 이러한 은비학적 논리 체계는 과연 어떤 식으로 정형화될 수 있을까? 청년이면서 동시에 노인이라는 신 헤르메스의 존재가 지향하는 바는 대체 무엇일까? 그 의문에 답을 하는 것이 바로 우리 시대 은비학이 풀어야 할 과제이기도 하다.
이제 은비학적 시각에서 다시 삶과 죽음의 문제를 바라본다면 그 둘의 일치됨은 별 무리 없이 인식될 수 있다. 즉 윤회가 진실하다는 것을 아는 사람들에게 현생에서의 죽음은 곧 다음 생에서의 새로운 삶을 의미하므로 삶과 죽음은 동전의 양면과 다를 바가 없게 된다. 항시 삶의 철학이라 할 수 있는 내용들을 논하면서 플라톤은 대변인으로 내세운 소크라테스를 통해 자신의 철학을 ‘죽음의 연습’이라고 정의했다. 그의 이런 주장은 곧, 우리가 ‘죽음을 연습하는’ 매 순간 순간이 새로운 삶을 살기 위한 시도와 같은 것임을 가르치고 있다. 은비학 전통 아래 삶과 죽음을 같은 것으로 보는 것처럼, 미토스를 로고스화하는 과정인 철학과 과학이 로고스를 미토스화하는 과정인 은비학과 또한 결코 다른 것이 될 수 없다는 것 역시 우리는 참된 은비학 전통에 입각해서 깨달을 수 있다. 모든 것이 결국은 비대립적이라는 이러한 은비학적 논리 체계는 과연 어떤 식으로 정형화될 수 있을까? 청년이면서 동시에 노인이라는 신 헤르메스의 존재가 지향하는 바는 대체 무엇일까? 그 의문에 답을 하는 것이 바로 우리 시대 은비학이 풀어야 할 과제이기도 하다.
추천자료
그리스 로마 신화의 12신
<길 위에서 듣는 그리스 로마 신화>를 읽고
그리스 로마극의 특징,그리스 로마 신화와 기독교 전통에 나타난 신-악마-인간의 상관관계, ...
그리스 로마 신화 (e-Learning 정리 자료)
독후감 - 그리스 로마 신화를 읽고
거꾸로 읽는 그리스 로마 신화 독후감
그리스 로마 신화
[독후감]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
[서양 역사와 문화] 그리스 로마 신화와 한국 전설의 비교
그리스, 로마 신화에 관해서
[아동문학] 아동문학의 장르 - 신화 (신화에 대한 이해, 유아들이 신화에 흥미를 갖는 이유, ...
그리스 로마 신화 (다양한 사랑이야기, 그리스 신화에도 다양한 사랑이야기가 나온다.)
그리스 로마 신화 그림의 종류에 대해
그리스·로마 신화를 읽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