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을 이용하여 꺼낸다.
* 그러나 이물질이 깊숙이 들어가 있는 경우 머리와 몸의 상체를 하체보다 낮게 하고, 이 물질이 나올 때까지 등을 손바닥으로 세게 친다.
*유아의 몸을 함부로 움직이면 이물질이 더 깊숙이 들어가거나 기도의 일부를 막을 수 있으므로 주의를 하여야 한다.
*하임리크 방법을 사용한다. 필요하면 인공호흡을 사용하기도 한다.
*구급차를 기다리는 동안 유아가 의식을 잃으면 유아를 한쪽으로 엎어 누이고 입을 바닥으로 향하게 하고, 만약 호흡을 멈추면 즉시 인공호흡을 하도록 한다.
<의식이 있는 경우>
⑴ 복부 밀쳐 올리기(Abdominal Thrusts) ♠원명:상복부압박(하임리크법 Heimlich)
복부 밀쳐 올리기(Abdominal Thrusts)는 복부, 흉부 수술이나 심장 이상, 탈장이 있는 사 람을 대상으로 연습해서는 안된다. 또 정상적인 사람이라도 식사 후 2시간 이내이거나 임 신부, 소아, 영아에게 실행해서는 안되고 가능하면 마네킨으로 연습해야 한다. 동료를 대상으로 한다면 약하게 하고 제시된 절차와 방법으로 안전하게 연습한다. 또 여기서 제시되 는 모든 절차는 현장 안전과 감염 차단 조치의 전제하에 진행되고 있음을 밝힌다.
환자가 대답을 하지 못하거나, 기침이 잘 되지 않고 공기교환이 잘 되지 않는 증상을 보인다면 상복부 압박을 실시한다.
기도가 막혔으나 의식이 있는 성인 환자가 서있거나 앉아 있다면 다음의 절차를 따른다.
① 완전 폐쇄인가, 부분 폐쇄인가를 확인하기 위한 징후를 살피면서 "목이 막혔습니까?" 물어보고 응급 처치원임을 밝히고 환자에게 돕겠다고 말한다.
② 기도폐쇄환자는 앉을 수도 있고 서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
㉮ 서 있다면 처치원의 한 발은 환자의 옆에 두고 다른 발은 환자 뒤에 둔다.
㉯ 이 위치는 환자의 몸을 지탱하면서 상복부압박을 실시할 수 있는 자세이다.
③ 팔은 환자의 허리에 두루고 환자의 복부에 주먹의 엄지 쪽이 향하도록 주먹을 댄다.
㉮ 배꼽 바로 위와 검상돌기사이에 주먹이 오도록 하고 다른 손으로 그 주먹을 쥔다.
④ 주먹으로 복부를 상방으로 재빨리 5회를 압박한다.
㉮ 복부 밀쳐 올리기는 배꼽과 흉골 끝 사이의 배의 한 중간을 빠르게 5회 밀쳐 올려 폐 ㉯ 이 상복부압박법은 기도폐쇄를 해결하는 데 상당히 효과가 있다.
⑤ 손이 정확하게 놓여야 늑골 골절과 내장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⑥ 환자의 자세를 유지하기 위하여 의자등받이나 처치원의 몸을 이용한다.
⑦ 압박을 할 때는 손(주먹)으로 하여야 한다.
㉮ 팔로 늑골을 누르지 않도록 조심한다.
⑧ 기도폐쇄가 해결되거나 산소부족으로 환자의 의식이 없어질 때까지 신속하게 압박법을 실시한다.
⑨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밀쳐 올리기는 한번씩 확실하게 시도하여야 함을 유념하라.
㉮ 계속적으로 반복하지 말고 한번씩하고 그때마다 이물질이 제거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⑩ 밀쳐 올리기는 이물질이 제거되었거나 환자가 의식이 없어졌을 때까지 반복한다.
(2) 가슴압박
환자가 매우 비만하거나 임신말기여서 환자의 복부를 팔로 감쌀 수 없는 경우는 복부 밀쳐올리기 대신 가슴 누르기 방법(가슴압박 : 흉부압박)도 있다. 서있는 환자가 임신했거나 아주 뚱뚱하다면
① 환자를 서게 하거나 앉힌 뒤, 환자 뒤에 서서 팔을 환자의 양 겨드랑이에 끼고 가슴을 감싸쥔다.
② 주먹의 엄지손가락 쪽을 흉골 중앙 부위(검상돌기로부터 손가락 2-3개 굵기 위의 흉골)
위에 갖다 대고 주먹이 늑골 위나 흉골 아래 끝 가까이 놓이지 않도록 주의한다.
③ 다른 손으로 주먹을 잡고 빠르게 뒤쪽으로 압박을 한다.
④ 기도장애가 제거되거나, 환자의 의식을 잃는 경우에는 중단한다.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가슴압박은 한 번씩 확실하게 (계속적으로 반복하지 말고) 시도해야 함을 유념해야 한다.
(3) 혼자 있을 때 기도폐쇄가 일어날 경우
기도가 막혔을 때 주위에 도와줄 사람이 없으면 혼자서 복부 밀쳐 올리기를 실시한다.
① 한 손은 주먹을 쥐고 엄지손가락 부분이 배꼽 바로 위와 흉골 아래 끝 사이의 복부중앙에 오도록 한다.
② 다른 손으로 주먹을 잡고 빨리 밀쳐 올린다.
③ 상기 ②항의 경우 외에 몸을 앞으로 숙이고 의지등받이, 씽크대 난간과 같이 딱딱한 것으로 복부를 누를 수도 있다.
④ 상기 ③항의 경우 주의할 점은 끝이 뾰족한 것이나 모서리에 몸을 숙이면 상처를 입을 수 있으니 잘 살펴보아야 한다.
(4) 기도폐쇄 환자가 의식이 없어졌을 때
① 환자가 의식이 없어졌다면 환자를 조심스럽게 미끄러지도록 하면서 등이 땅바닥에 닿도록 똑바로 눕히고 도움을 청한다.
② 환자는 무의식이 되면서 근육이 자동적으로 이완되므로 이때 이물질이 밖으로 빠져 나올 수 있다.
㉮ 혀ㆍ턱들기를 하여 입을 벌린 다음 손가락으로 입안을 훑어서 기도의 이물질제거를 시도한다.
㉯ 그러나 환자가 소아라면 맹목적인 손가락훑기를 하여서는 안된다.
㉰ 기도의 이물질을 반드시 눈으로 확인한 뒤에 제거하도록 한다.
③ 기도를 확보하여 인공호흡을 시도한다.
④ 아직도 기도가 막혀있다면 의식이 없는 기도폐쇄환자의 단계적 처치법을 이용한다.
-예방방법
* 가정에서나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의 기도를 막을 만한 크기의 사탕을 주지말고, 유아들이 알사탕을 가지고 있는 지 관심을 가지고 지켜본다.
* 기도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은 생명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므로, 유아들에게 사전 교육을 시키도록 한다.
* 유아들끼리 있을 때 위와 같은 상황이 벌어지면 큰소리로 선생님이나 부모, 어른들에게 알리도록 유아들에게 교육을 한다.
- 생각 : 유아 질식사 사고는 해마다 끊이지 않고 출현한다. 그 이유는 무엇보다 부모, 교사의 부주의로 인한 것이다. 유아는 유치원이나 가정에서 쉽게 알사탕, 젤리, 떡 등과 같은 간식을 먹는다. 이 때 교사가 조금만 세심히 관찰하여 유아의 기도보다 작게 잘라 제시해 주었더라면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 유아는 성인보다 모든 면에서 작고 아직 덜 발달하였다. 그러므로 무엇보다 유아의 안전과 관련된 것에는 좀 더 세심한 주의와 관심이 필요하다.
* 그러나 이물질이 깊숙이 들어가 있는 경우 머리와 몸의 상체를 하체보다 낮게 하고, 이 물질이 나올 때까지 등을 손바닥으로 세게 친다.
*유아의 몸을 함부로 움직이면 이물질이 더 깊숙이 들어가거나 기도의 일부를 막을 수 있으므로 주의를 하여야 한다.
*하임리크 방법을 사용한다. 필요하면 인공호흡을 사용하기도 한다.
*구급차를 기다리는 동안 유아가 의식을 잃으면 유아를 한쪽으로 엎어 누이고 입을 바닥으로 향하게 하고, 만약 호흡을 멈추면 즉시 인공호흡을 하도록 한다.
<의식이 있는 경우>
⑴ 복부 밀쳐 올리기(Abdominal Thrusts) ♠원명:상복부압박(하임리크법 Heimlich)
복부 밀쳐 올리기(Abdominal Thrusts)는 복부, 흉부 수술이나 심장 이상, 탈장이 있는 사 람을 대상으로 연습해서는 안된다. 또 정상적인 사람이라도 식사 후 2시간 이내이거나 임 신부, 소아, 영아에게 실행해서는 안되고 가능하면 마네킨으로 연습해야 한다. 동료를 대상으로 한다면 약하게 하고 제시된 절차와 방법으로 안전하게 연습한다. 또 여기서 제시되 는 모든 절차는 현장 안전과 감염 차단 조치의 전제하에 진행되고 있음을 밝힌다.
환자가 대답을 하지 못하거나, 기침이 잘 되지 않고 공기교환이 잘 되지 않는 증상을 보인다면 상복부 압박을 실시한다.
기도가 막혔으나 의식이 있는 성인 환자가 서있거나 앉아 있다면 다음의 절차를 따른다.
① 완전 폐쇄인가, 부분 폐쇄인가를 확인하기 위한 징후를 살피면서 "목이 막혔습니까?" 물어보고 응급 처치원임을 밝히고 환자에게 돕겠다고 말한다.
② 기도폐쇄환자는 앉을 수도 있고 서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
㉮ 서 있다면 처치원의 한 발은 환자의 옆에 두고 다른 발은 환자 뒤에 둔다.
㉯ 이 위치는 환자의 몸을 지탱하면서 상복부압박을 실시할 수 있는 자세이다.
③ 팔은 환자의 허리에 두루고 환자의 복부에 주먹의 엄지 쪽이 향하도록 주먹을 댄다.
㉮ 배꼽 바로 위와 검상돌기사이에 주먹이 오도록 하고 다른 손으로 그 주먹을 쥔다.
④ 주먹으로 복부를 상방으로 재빨리 5회를 압박한다.
㉮ 복부 밀쳐 올리기는 배꼽과 흉골 끝 사이의 배의 한 중간을 빠르게 5회 밀쳐 올려 폐 ㉯ 이 상복부압박법은 기도폐쇄를 해결하는 데 상당히 효과가 있다.
⑤ 손이 정확하게 놓여야 늑골 골절과 내장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⑥ 환자의 자세를 유지하기 위하여 의자등받이나 처치원의 몸을 이용한다.
⑦ 압박을 할 때는 손(주먹)으로 하여야 한다.
㉮ 팔로 늑골을 누르지 않도록 조심한다.
⑧ 기도폐쇄가 해결되거나 산소부족으로 환자의 의식이 없어질 때까지 신속하게 압박법을 실시한다.
⑨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밀쳐 올리기는 한번씩 확실하게 시도하여야 함을 유념하라.
㉮ 계속적으로 반복하지 말고 한번씩하고 그때마다 이물질이 제거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⑩ 밀쳐 올리기는 이물질이 제거되었거나 환자가 의식이 없어졌을 때까지 반복한다.
(2) 가슴압박
환자가 매우 비만하거나 임신말기여서 환자의 복부를 팔로 감쌀 수 없는 경우는 복부 밀쳐올리기 대신 가슴 누르기 방법(가슴압박 : 흉부압박)도 있다. 서있는 환자가 임신했거나 아주 뚱뚱하다면
① 환자를 서게 하거나 앉힌 뒤, 환자 뒤에 서서 팔을 환자의 양 겨드랑이에 끼고 가슴을 감싸쥔다.
② 주먹의 엄지손가락 쪽을 흉골 중앙 부위(검상돌기로부터 손가락 2-3개 굵기 위의 흉골)
위에 갖다 대고 주먹이 늑골 위나 흉골 아래 끝 가까이 놓이지 않도록 주의한다.
③ 다른 손으로 주먹을 잡고 빠르게 뒤쪽으로 압박을 한다.
④ 기도장애가 제거되거나, 환자의 의식을 잃는 경우에는 중단한다.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가슴압박은 한 번씩 확실하게 (계속적으로 반복하지 말고) 시도해야 함을 유념해야 한다.
(3) 혼자 있을 때 기도폐쇄가 일어날 경우
기도가 막혔을 때 주위에 도와줄 사람이 없으면 혼자서 복부 밀쳐 올리기를 실시한다.
① 한 손은 주먹을 쥐고 엄지손가락 부분이 배꼽 바로 위와 흉골 아래 끝 사이의 복부중앙에 오도록 한다.
② 다른 손으로 주먹을 잡고 빨리 밀쳐 올린다.
③ 상기 ②항의 경우 외에 몸을 앞으로 숙이고 의지등받이, 씽크대 난간과 같이 딱딱한 것으로 복부를 누를 수도 있다.
④ 상기 ③항의 경우 주의할 점은 끝이 뾰족한 것이나 모서리에 몸을 숙이면 상처를 입을 수 있으니 잘 살펴보아야 한다.
(4) 기도폐쇄 환자가 의식이 없어졌을 때
① 환자가 의식이 없어졌다면 환자를 조심스럽게 미끄러지도록 하면서 등이 땅바닥에 닿도록 똑바로 눕히고 도움을 청한다.
② 환자는 무의식이 되면서 근육이 자동적으로 이완되므로 이때 이물질이 밖으로 빠져 나올 수 있다.
㉮ 혀ㆍ턱들기를 하여 입을 벌린 다음 손가락으로 입안을 훑어서 기도의 이물질제거를 시도한다.
㉯ 그러나 환자가 소아라면 맹목적인 손가락훑기를 하여서는 안된다.
㉰ 기도의 이물질을 반드시 눈으로 확인한 뒤에 제거하도록 한다.
③ 기도를 확보하여 인공호흡을 시도한다.
④ 아직도 기도가 막혀있다면 의식이 없는 기도폐쇄환자의 단계적 처치법을 이용한다.
-예방방법
* 가정에서나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의 기도를 막을 만한 크기의 사탕을 주지말고, 유아들이 알사탕을 가지고 있는 지 관심을 가지고 지켜본다.
* 기도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은 생명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므로, 유아들에게 사전 교육을 시키도록 한다.
* 유아들끼리 있을 때 위와 같은 상황이 벌어지면 큰소리로 선생님이나 부모, 어른들에게 알리도록 유아들에게 교육을 한다.
- 생각 : 유아 질식사 사고는 해마다 끊이지 않고 출현한다. 그 이유는 무엇보다 부모, 교사의 부주의로 인한 것이다. 유아는 유치원이나 가정에서 쉽게 알사탕, 젤리, 떡 등과 같은 간식을 먹는다. 이 때 교사가 조금만 세심히 관찰하여 유아의 기도보다 작게 잘라 제시해 주었더라면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 유아는 성인보다 모든 면에서 작고 아직 덜 발달하였다. 그러므로 무엇보다 유아의 안전과 관련된 것에는 좀 더 세심한 주의와 관심이 필요하다.
추천자료
건설안전관리(건축안전관리)의 개념, 건설안전관리(건축안전관리)의 특성, 건설안전관리(건축...
[식품안전관리][식품안전관리 문제점][덴마크 식품안전관리 사례][식품안전관리 방안]식품안...
실내환경의 안전관리
어린이집 일과 활동계획을 세우고 각 활동 중에 예상되는 위험상황을 각 3가지 이상 제시하여...
유아교육기관의 안전교육과 안전관리
아동안전교육에 접근할 때 안전지식, 안전기술, 안전태도가 무엇인지 정의하고, 구체적으로 ...
아동안전교육에 접근할 때 안전지식, 안전기술, 안전태도가 무엇인지 정의하고, 구체적으로 ...
지금까지 학습한 아동안전의 여러 유형을 참고로 하여 ‘아동을 위한 동식물 안전교육’의 개...
보육기관에서의 영유아 안전에 관련된 사안들이 대두되고 있는 요즘 입니다.보육기관에서의 ...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D형) 영유아교육기관의 연간 안전계획 및 안전점검을 계획하여 구성해...
영유아를 위한 어린이집 실내외 안전관리를 위한 시설설비와 영유아 권리존중 차원에서 실내...
영유아를 위한 어린이집 실내외 안전관리를 위한 시설설비와 영유아 권리존중 차원에서 실내...
영유아를 위한 어린이집 실내외 안전관리를 위한 시설설비와 영유아 권리존중 차원에서 실내...
아동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우리나라의 아동안전관련법령 중 아동복지법에서 부적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