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의 복지 - 결혼이주여성 중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다문화가정의 복지 - 결혼이주여성 중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Ⅲ. 조사 방법
IV. 조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열악한 노동환경으로 인하여 여가 시간이 거의 없는 이주노동자들이 최소한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의 사회복지관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음은 그 자체로 의미 있을 것이다. 사회복지사들이 그들에게 다가서는 작업은 프로그램의 성공 여부를 떠나 이들을 그 사회의 구성원으로 받아들이는 것 자체로 가치부여가 되기 때문이다.
그 사회의 가장 약자를 위해 최대한의 혜택을 부여하도록 노력하는 사회복지사의 실천이 여성이주노동자들을 차별적 상태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작은 동기가 될 수 있다고 본다. 늦었지만 지금부터라도 여성이주노동자를 위한 사회복지전문가들의 다양한 개입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면 열악한 노동조건을 개선하는데도 도전이 될 것이며 한국사회에의 적응 및 통합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참 고 문 헌
강수돌. 1997. “외국인근로자고용과 관리실태 및 정책 대안”.
한국노동연구원
강정숙. 2001. “독일의 이민자 동화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FES-Information-Series 2001-03
김미정. 1995. “외국인노동자의 복지대책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논문
김석호. 1998. “외국인 노동자의 한국사회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논문
김영종. 1999. 「사회복지조사방법론. 학지사
김유선. 2000. ‘비정규직 노동자 규모와 실태“.
한국노동사회연구소
남규현. 강수돌. 1996. “독일의 외국인 노동자정책과 그 시사점”
노동부. 2000. “불법 취업자 실태 조사”. 2000년 10월 4일자
보도자료
노동정책 연구소. 1995. “외국인력 정책과 인권보호대책”
법무부. 2001. 「법무부통계자료」
부산외국인노동자인권을 위한 모임, Asian workers News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5. “서울의 외국인 근로자 실태
조사 연구”
설동훈. 1998. 「외국인 노동자와 한국사회」. 서울대학교 출판부
성규탁외. 1997. 「한국외국인 노동자의 문제와 대책」. 집문당
성미영. 1997. “외국인 노동자 권익보호단체의 현황 및 역할”.
동국대 석사논문
송병준외. 1997. 「외국인 노동자의 현실과 미래」. 미래인력
연구센터
양옥경외. 1996. 「사회복지실천과 윤리」한울
외노협. 1998. “세계이주노동운동관련 최근번역자료집”
외노협. 1999. “외국인 노동자의 법적 지위에 관한 공청회
자료집”
외노협. 1999. “제4차 정기총회 자료집”
외노협. 2000. "Overview of Migrant Workers in South Korea"
외노협. 2000. “이주노동자인권과 외국인력도입정책의 근본적
개선을 위한 토론회 자료집”
외노협. 2000. 「외국인 산업기술 연수생 인권백서」
외노협. 2001. “2001년도 제 6 차 정기총회 자료집”
외노협. 2001. “외국인 노동자 보건복지향상을 위한 토론회”
유네스코한국위원회. 1999. “국내외 한국기업의 외국인 노동자
자료집”
유명기. 1995. “외국인노동자 차별의 구조”, 녹색평론 제 21호
이순희. 1997. "An Evaluation of the counselling Services of the Centers for Migrant workers in Korea". 필리핀 국립대학 석사논문
이연심. 1995. “국내 외국인 노동자의 산업 재해보상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 논문
이욱정. 1994. “국내 방글라데시 노동자들의 생활 실태와 적응전략에 관한 사례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이주여성인권연대. 2001. “국내 이주여성 및 국제결혼 가족의 문제와 대책”
이택규편저. 2000. 「신법전」. 법률신문사
이헤경외. 1998. 「한국사회와 외국인 노동자」. 미래인력연구
센터
이혜경외. 1998. 「한국사회와 외국인 노동자-그 종합적 이해를 위하여」
인권공대위. 2000. “인권활동가를 위한 인권위원회법안 토론회
자료집”
인권운동사랑방. 1999. 「인간답게 살 권리」. 사람생각
장안종합사회복지관. 2001. “외국인노동자욕구조사보고서”
정무성. 2000. 「프로그램 기획과 관리」. 나눔의 집
정수열. 1996. “국내 외국인노동자의 이주 및 적응 행태”.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정인섭. 2000. 「국제인권 조약집 . 사람생각
최봉영. 1994.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도서출판 느티나무
최일섭. 2000.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나남
최준식. 1997. “한국인에게 문화는 있는가”. 사계절
한국교회여성연합회. 1997. 「외국인 여성 노동자 무엇이 문제인가」
한국교회여성연합회. 1998. 「해바라기」
한국교회여성연합회. 1999. “현장실태조사 보고서”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2000. “2000 외국인 이주노동자 단체 조사 보고서”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2000. “외국인 이주노동자의 권익을 위해 활동하는 단체주소록“
한국사회복지대학교육협의회. 2001. “사회복지교육에 대한 도전과 대응”
한국여성학회. 1994. “한국여성학”. 한국여성학회 출판. 제 10집
한국여성연구소. 1999. “새 여성학 강의”. 학술 총서
함한희. 1995. “한국의 외국인 노동자유입에 따른 인종과 계급
문제”. 한국문화인류학 제 28집. 한국문화인류학회
함한희. 1997. “외국인 노동자의 갈등과 적응”, 노동문제논집
제 13집
허창수. 1998. 「환영받지 못한 손님」. 분도출판사
Asian Migrant Center. 1998. Asian Migrant Year book
Asian Migrant Center. 1999. Asian Migrant Year book
Asian Migrant Center. 2000. Asian Migrant Year book
Charles Zastrow. Introduction to Social Work and Social Welfare
IOM. 2000. World Migration Report 2000
Lelio Marmora. 1999. International Migration Policies and Programmes
Peter Stalker. 2000. Workers Without Frontiers
  • 가격5,000
  • 페이지수5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03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