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2007년 부터 시행되고 있는 노인장기요양 보험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토론
2. 2005년 실시한 지역사회복지 실천 영역에서 지역사회복지 협의체가 가지는 역할과 기능의 필요성 및 장단점에 대해 토론하시오
3. 인간행동에 관한 주요이론에서 발달단계의 내용을 자신 또는 주변사람의 경험을 관찰하고 분석하여 토론
2. 2005년 실시한 지역사회복지 실천 영역에서 지역사회복지 협의체가 가지는 역할과 기능의 필요성 및 장단점에 대해 토론하시오
3. 인간행동에 관한 주요이론에서 발달단계의 내용을 자신 또는 주변사람의 경험을 관찰하고 분석하여 토론
본문내용
가 찾아와 잠깐의 반항과 저항 등에 사로잡혀 밖으로 돌았던 시기도 있었다. 하지만, 당시 내가 취미하고자 하는 것 흥미하고자 했던 것이 있었기에 반항은 오래 걸리지 않았고 부모님의 사랑과 관심으로 나는 학교로 돌아올 수 있었고 모든 것을 제자리로 돌릴 수 있었다. 나는 사춘기를 지나며 어른이 되어 가는 나의 모습에 만족해하며 청소년기를 보냈던 것 같다.
2) 청소년기의 특성
사춘기(puberty)란 초기 청소년기에 일어나는 생물학적 변화를 일컫는 말이다. 이러한 생물학적 변화와 더불어 추상적(abstract), 그리고 명제적(propositional) 사고 능력이 생긴다. 자신의 부모로부터 심리적 독립이 일어나서 친구 관계가 가족 관계보다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자기 자신에 대한 자아주체성(ego identity)를 확립하고 가족이외의 사람들과 사랑하는 관계를 만들어나가며 성적 혹은 공격적 충동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긴다.
4. 성인기
1) 나의 성인기
내가 정말 잘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하고 싶은 것은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을 하면서 돈의 가치를 부모님으로부터 잘 배워가고, 돈 계산 하는 것을 좋아하던 때를 떠올려 보니 내가 하고 싶었던 일은 은행 창구에서 일하는 것이었다. 대학을 졸업하면서 나는 학업을 마치고 농협에 취직하여 오랜기간 근무를 했다. 예쁜 아내와 결혼도 하였고 나는 안정적인 직장도 다니면서 나의 성인기의 출발을 시작하였다. 인생을 살면서 중요한 시기인 만큼 나는 항상 최선을 다하며 살았으며 정신적 스트레스와 육체적 피로를 적절히 조절하면서 성인기를 맞았던 것 같다. 직장에서의 스트레스는 가정에서 가족들과 모두 날려버렸고, 노동의 육체적 피로는 정신적 무장으로 모두 날려버릴 수 있었다. 근면한 자세와 모든 일에 최선을 다하려고 노력했던 나의 성인기는 이러한 정신무장으로 꾀나 좋은 정신건강 상태였던 것 같다.
2) 성인기의 특성
- 결혼
성인기는 신체적, 생산적, 그리고 인지적인 최고조의 상태에 도달한 시기다. 사랑하고 성적으로 만족스러운 대인관계를 통하여 친밀(intimacy)의 능력이 생긴다. 자녀의 탄생으로 인한 어버이 역할(parenthood)은 자기자신의 조기 갈등이나 가족내 역동을 다시 불러일으킨다. 장기간의 교육기간이 필요한 경우나 중류나 상류 사회 가족의 자녀에서 결혼을 연기하는 경향이 있다.
- 직업
성인으로서의 주체성은 자신이 하는 일에 영향을 받는다. 부모, 배우자, 그리고 직업인으로서의 시간과 에너지에 대한 경쟁적인 요구는 이 시기의 주요한 스트레스가 된다. 그러므로 실직은 그것이 어느 때에 일어나던 간에 심각한 생활사건이 된다. 정년 퇴직과 같이 계획된 경우보다 직업상실이 예상되지 않았고 개인의 통제를 벗어나서 발생한 경우에 정신건강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자존심(self-esteem)의 상실과 자기개념(self-concept)의 변화가 초래된다.
- 이혼
이혼한 부부는 여러 가지 수준에서 상실을 경험한다. 상대방, 결혼에 대한 기대(대개 지나치게 이상화된), 자신감, 경제적인 안정, 기혼이라는 상태, 정규적인 성 관계 상대, 자녀와의 규칙적이거나 지속적인 접촉 등을 잃게 된다. 부모의 이혼은 자녀의 성장에 영향을 주게 된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부부갈등을 겪으면서 살아가는 부모 밑에서 자라는 경우보다는, 이혼하여 따로 사는 부모와 함께 사는 아이들이 보다 괴로움을 덜 느끼고 문제발생이 적다.
- 불임(infertility)
약15%의 결혼한 부부가 아이를 가지지 못한다. 이 경우 자신이 결함이 있다는 느낌, 낮은 자존심, 우울을 유발한다. 자신에 대한 비난은 심리적 문제의 발생을 증가시킨다. 이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질병과 죽음에 대한 문제가 이 시기에 중요하게 떠오르기 시작한다. 직업과 배우자 관계에서 발생하는 급격한 변화가 중년의 위기(midlife crisis)를 불러와서 자신에 대한 회의, 스트레스, 불안, 초조 혹은 우울이 동반되기도 한다. 심각한 신체질환, 배우자의 사망, 부모봉양에 대한 책임, 실직이나 진급실패, 성인이 되어서도 의존적인 자녀 등이 이러한 중년의 위기 원인이 된다. 이 시기의 여성에서 빈 둥우리 증후군(empty nest syndrome)이 발생한다. 자녀가 가정을 떠났다, 배우자가 직업문제로 같이 있는 시간이 적어졌다, 폐경으로 생식능력이 상실되고 상징적으로 여성다움(womanhood)을 잃었다, 자신을 위한 일과 돈이 없다는 등의 문제가 원인이 된다. 현대에 이르러 생긴 사회적 변화, 예를 들어 직업적 성취 후에 나이 들어 임신하는 경향, 호르몬 대체요법, 남성의 실업 등으로 이러한 경향은 감소하는 추세이다.
5. 중년기
1) 나의 중년기
중년기에 접어들면서 나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접하게 되었다. 나의 미래에 대한 걱정, 나의 가족 나의 자식, 모든 것이 걱정과 근심에 사로잡혀 지금의 나는 무엇인가 하는 딜레마에 빠지게 되었다. 쉽게 풀리지 않는 문제들과 많은 걱정들은 나의 건강했던 정신건강 상태의 약간의 문제를 안겨준 시기이다. 하지만, 당면한 과제를 하나하나 풀어가면 결국 실타래 풀리듯 풀릴 것이라는 것을 중년의 삶의 경험으로 알고 있기에 크게 걱정은 하지 않지만, 막연한 생각들과 중년기에 오는 정신적 스트레스는 나의 몸과 마음에 약간의 변화를 가져왔다. 현재 이직을 하여 관리자로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모든 일에는 시작과 끝이 있으며 순리가 있다는 생각에 각종 나의 스트레스를 풀어가며 현재의 자리에서 충실하게 삶을 살아가고 있다.
2) 중년기의 특성
점차적으로 신체적, 인지적 능력이 감소함과 동시에 급성 및 만성 신체질환의 발생이 문제가 된다. 특히 퇴직은 인간 발달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된다. 자신이 더 이상 쓸모 없게 되었다는 느낌을 가지게 된다.
참고문헌
대한신경정신의학회 (1997): 인간의 발달. 신경정신과학, 하나의학사 35-54
Egan JH (1987): The life cycle. Behavioral Science. Wiener JM(ed), John Wiley & Sons, Inc., 105-116
2) 청소년기의 특성
사춘기(puberty)란 초기 청소년기에 일어나는 생물학적 변화를 일컫는 말이다. 이러한 생물학적 변화와 더불어 추상적(abstract), 그리고 명제적(propositional) 사고 능력이 생긴다. 자신의 부모로부터 심리적 독립이 일어나서 친구 관계가 가족 관계보다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자기 자신에 대한 자아주체성(ego identity)를 확립하고 가족이외의 사람들과 사랑하는 관계를 만들어나가며 성적 혹은 공격적 충동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긴다.
4. 성인기
1) 나의 성인기
내가 정말 잘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하고 싶은 것은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을 하면서 돈의 가치를 부모님으로부터 잘 배워가고, 돈 계산 하는 것을 좋아하던 때를 떠올려 보니 내가 하고 싶었던 일은 은행 창구에서 일하는 것이었다. 대학을 졸업하면서 나는 학업을 마치고 농협에 취직하여 오랜기간 근무를 했다. 예쁜 아내와 결혼도 하였고 나는 안정적인 직장도 다니면서 나의 성인기의 출발을 시작하였다. 인생을 살면서 중요한 시기인 만큼 나는 항상 최선을 다하며 살았으며 정신적 스트레스와 육체적 피로를 적절히 조절하면서 성인기를 맞았던 것 같다. 직장에서의 스트레스는 가정에서 가족들과 모두 날려버렸고, 노동의 육체적 피로는 정신적 무장으로 모두 날려버릴 수 있었다. 근면한 자세와 모든 일에 최선을 다하려고 노력했던 나의 성인기는 이러한 정신무장으로 꾀나 좋은 정신건강 상태였던 것 같다.
2) 성인기의 특성
- 결혼
성인기는 신체적, 생산적, 그리고 인지적인 최고조의 상태에 도달한 시기다. 사랑하고 성적으로 만족스러운 대인관계를 통하여 친밀(intimacy)의 능력이 생긴다. 자녀의 탄생으로 인한 어버이 역할(parenthood)은 자기자신의 조기 갈등이나 가족내 역동을 다시 불러일으킨다. 장기간의 교육기간이 필요한 경우나 중류나 상류 사회 가족의 자녀에서 결혼을 연기하는 경향이 있다.
- 직업
성인으로서의 주체성은 자신이 하는 일에 영향을 받는다. 부모, 배우자, 그리고 직업인으로서의 시간과 에너지에 대한 경쟁적인 요구는 이 시기의 주요한 스트레스가 된다. 그러므로 실직은 그것이 어느 때에 일어나던 간에 심각한 생활사건이 된다. 정년 퇴직과 같이 계획된 경우보다 직업상실이 예상되지 않았고 개인의 통제를 벗어나서 발생한 경우에 정신건강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자존심(self-esteem)의 상실과 자기개념(self-concept)의 변화가 초래된다.
- 이혼
이혼한 부부는 여러 가지 수준에서 상실을 경험한다. 상대방, 결혼에 대한 기대(대개 지나치게 이상화된), 자신감, 경제적인 안정, 기혼이라는 상태, 정규적인 성 관계 상대, 자녀와의 규칙적이거나 지속적인 접촉 등을 잃게 된다. 부모의 이혼은 자녀의 성장에 영향을 주게 된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부부갈등을 겪으면서 살아가는 부모 밑에서 자라는 경우보다는, 이혼하여 따로 사는 부모와 함께 사는 아이들이 보다 괴로움을 덜 느끼고 문제발생이 적다.
- 불임(infertility)
약15%의 결혼한 부부가 아이를 가지지 못한다. 이 경우 자신이 결함이 있다는 느낌, 낮은 자존심, 우울을 유발한다. 자신에 대한 비난은 심리적 문제의 발생을 증가시킨다. 이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질병과 죽음에 대한 문제가 이 시기에 중요하게 떠오르기 시작한다. 직업과 배우자 관계에서 발생하는 급격한 변화가 중년의 위기(midlife crisis)를 불러와서 자신에 대한 회의, 스트레스, 불안, 초조 혹은 우울이 동반되기도 한다. 심각한 신체질환, 배우자의 사망, 부모봉양에 대한 책임, 실직이나 진급실패, 성인이 되어서도 의존적인 자녀 등이 이러한 중년의 위기 원인이 된다. 이 시기의 여성에서 빈 둥우리 증후군(empty nest syndrome)이 발생한다. 자녀가 가정을 떠났다, 배우자가 직업문제로 같이 있는 시간이 적어졌다, 폐경으로 생식능력이 상실되고 상징적으로 여성다움(womanhood)을 잃었다, 자신을 위한 일과 돈이 없다는 등의 문제가 원인이 된다. 현대에 이르러 생긴 사회적 변화, 예를 들어 직업적 성취 후에 나이 들어 임신하는 경향, 호르몬 대체요법, 남성의 실업 등으로 이러한 경향은 감소하는 추세이다.
5. 중년기
1) 나의 중년기
중년기에 접어들면서 나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접하게 되었다. 나의 미래에 대한 걱정, 나의 가족 나의 자식, 모든 것이 걱정과 근심에 사로잡혀 지금의 나는 무엇인가 하는 딜레마에 빠지게 되었다. 쉽게 풀리지 않는 문제들과 많은 걱정들은 나의 건강했던 정신건강 상태의 약간의 문제를 안겨준 시기이다. 하지만, 당면한 과제를 하나하나 풀어가면 결국 실타래 풀리듯 풀릴 것이라는 것을 중년의 삶의 경험으로 알고 있기에 크게 걱정은 하지 않지만, 막연한 생각들과 중년기에 오는 정신적 스트레스는 나의 몸과 마음에 약간의 변화를 가져왔다. 현재 이직을 하여 관리자로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모든 일에는 시작과 끝이 있으며 순리가 있다는 생각에 각종 나의 스트레스를 풀어가며 현재의 자리에서 충실하게 삶을 살아가고 있다.
2) 중년기의 특성
점차적으로 신체적, 인지적 능력이 감소함과 동시에 급성 및 만성 신체질환의 발생이 문제가 된다. 특히 퇴직은 인간 발달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된다. 자신이 더 이상 쓸모 없게 되었다는 느낌을 가지게 된다.
참고문헌
대한신경정신의학회 (1997): 인간의 발달. 신경정신과학, 하나의학사 35-54
Egan JH (1987): The life cycle. Behavioral Science. Wiener JM(ed), John Wiley & Sons, Inc., 105-116
추천자료
(사회복지법제)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수급대상선정, 전문인력부재 문제점과 개선방향 보고서
복지거버넌스의 떠오르는 별 - 노인장기요양보험, 그 실태는 어떠한가?
[사회복지정책론]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대한 이해 및 개선방안
[사회복지법제] 의료보장제도로서 노인장기요양보험과 국민건강보험의 비교분석하고 차이점을...
사회보험법 중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고, 혹시 문제점이 있다면 무엇이며, ...
사회보험법 중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고, 혹시 문제점이 있다면 무엇이며, ...
뉴거버넌스관점에서 본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연구
현재 실시되고 있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살펴보고 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시오
1)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개요, 2) 시장화와 민영화의 장단점 비교, 3) 향후 시군구(지정권...
사회복지법제)노인장기요양보험의 역할과 문제점 알아보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