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들어와 광고의 몰락과 PR의 부상(The fall of advertising and the rise of PR)이라는 제목의 책을 내 놓으며 “이젠 PR의 시대가 왔다”고 선언했다. 물론 앞으로 광고가 쓸모 없으리라는 이야기가 아니다. 광고와 PR의 차이를 비유적으로 이야기해보자. 자랑에는 두 가지가 있다. 자기가 직접 하는 자랑과 남이 해주는 자랑이다. 물론, 남이 해주는 자랑이 훨씬 파워풀하다. 직접 하는 자랑은 내가 메시지나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따라서 필요할 때 사람들의 주의를 끌 수 있다. 반면, 남이 해주는 자랑은 메시지나 타이밍을 마음껏 조절할 수는 없으나, 사람들에게 미치는 신뢰도나 그 영향력은 더 크다. 직접 하는 자랑이 광고이고 남이 해주는 자랑이 바로 PR이다. 진정한 브랜딩은 광고와 PR의 역할을 구분하고, 적절히 배분했을 때 이루어진다. PR하면 막연하게 광고와 동일시하거나, 아니면 ‘기자 관리’ 정도로 생각하는 CEO나 기업은 PR을 어떻게 활용해서 기업의 가치를 높여 나갈 것인지, 그리고 글로벌 기업들이 제안하는 PR의 패러다임을 어떻게 적용해나갈 것인지를 고민해보아야 할 것이다. 김호(에델만 코리아 사장)
추천자료
21세기 한국기업의 경영전략
연봉제의 허와 실
[기업경영]한국의 대표기업 성공사례분석-민들레영토, 레인콤, 싸이월드
호텔기업경영의 조직유형과 부분별 업무범위에 대해 알아보자
한국의 펀딩매개기관의 특징
삼성, GE, Toyota의 경영전략 비교 평가와 한국기업의 나아갈 방향 제언
[IMF경제위기][한국경제][한국경제정책][한국경제개혁]IMF경제위기를 통해 본 한국경제의 문...
전략경영론기업사명기업목적에대해
[산업경영의 이해] KT&G 담배산업 <정밀화학>
한국기업을 살리는 9인(人)의 경영학 읽고 요약정리 및 감상문
[경영,경제] 한국기업의 FTA 효과적인 활용방안
공기업공공기간-한국거래소사례,한국전력공사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
세계추세로 미루어 볼 때 한국기업이 조직차원에서 가장 시급하게 개선하여야 할 점 3가지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