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정에서 언급해야 할 주제들
2. 가족의 인구학적 배경
3. 가계도
4. 생태도
5. 가족력(Family History)
6. 가족의 주요 욕구사정
2. 가족의 인구학적 배경
3. 가계도
4. 생태도
5. 가족력(Family History)
6. 가족의 주요 욕구사정
본문내용
. 남편의 나이 31살로 알고 있었는데 알고 보니 38살 이였음. 집에서 알고서 집으로 데리고 옴. 남편이 찾아와 구타하고 임신 중인 상태인데 배를 걷어참. 이런 문제들로 C.T의 어머니와 남편과 크게 싸움. 결국 작년 8월에 이혼함. 출산 후 아이는 남편에게 보냄.
▶ 대상자(C.T)의 부
평생 운동하며 살았고 육상감독의 퇴직으로 인해 무엇을 해야 할지 걱정하고 있음. 부는 C.T가 어릴 적 부터 운동선수로 감독으로 잦은 출장이 있었기 때문에 가족들과 함께 보내는 시간이 많지 않았음. 따라서 자녀들의 문제에서도 개입하기 힘들고 자녀들과의 관계형성이 잘 이뤄지지 않았음. C.T가 가출하고 집에 들어온 후로 크게 혼냈고 그 후로 ct는 생활에 적응하기 힘들어했고 대인관계를 어려워함.
▶ 대상자(C.T)의 모
남편의 잦은 출장으로 함께 있는 시간이 적고 결혼생활이 지나면 지날수록 부부관계의 횟수가 점점 줄어들면서 남편이 자신이 아닌 다른 여자가 있다고 생각함. 남편이 자녀들에게 큰 개입을 안 하기 때문에 더욱 아이들에게 에너지를 쏟음. C.T의 이혼으로 자신 때문에 ct의 인생이 잘못되었다고 죄책감을 가짐. ct를 매우 불쌍하게 여김.
▶ 대상자(C.T)의 오빠
한양대학교에 재학 중이며 군대가기 전에 만나던 여자친구(2살 연상)가 기다렸는데 군대제대 한달 앞두고 먼저 헤어지자고 했음. 군대에 있는 동안 동생이 결혼하고 아이까지 낳은 후 이혼했다는 사실에 대해서 자신의 가족을 창피하게 생각함.
6. 가족의 주요 욕구사정
1) 대상자(C.T)의 욕구
의존적인 성격으로 이혼이후로 자신의 대한 자존감을 잃어가고 있음. 가족들에게 죄책감을 느끼고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찾고 있고 자신의 상처를 이겨내고 새로운 출발을 하고 싶어한다. 또한 가족들이 자신을 이해하고 수용해주기를 원한다.
2) 대상자(C.T)가족의 욕구
C.T의 부는 그동안 자녀들과 친밀한 관계가 형성되지 않아 그 관계를 회복하길 원한다. 퇴직이후로 자신이 새롭게 할 수 있는 일을 찾는다. C.T는 모는 C.T에게 미안한 마음이 가득하고 어떻게든 새롭게 출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싶어한다. 남편과의 관계가 멀어졌다고 생각하며 자신이 아내로서 인정받기를 원한다. 우울증에 빠져있으며 현실로부터 벗어나길 원한다. C.T의 오빠는 동생을 창피하게 생각하며 어머니가 자신에게 간섭하는 것을 싫어한다. 가족들에 대해서 불편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
▶ 대상자(C.T)의 부
평생 운동하며 살았고 육상감독의 퇴직으로 인해 무엇을 해야 할지 걱정하고 있음. 부는 C.T가 어릴 적 부터 운동선수로 감독으로 잦은 출장이 있었기 때문에 가족들과 함께 보내는 시간이 많지 않았음. 따라서 자녀들의 문제에서도 개입하기 힘들고 자녀들과의 관계형성이 잘 이뤄지지 않았음. C.T가 가출하고 집에 들어온 후로 크게 혼냈고 그 후로 ct는 생활에 적응하기 힘들어했고 대인관계를 어려워함.
▶ 대상자(C.T)의 모
남편의 잦은 출장으로 함께 있는 시간이 적고 결혼생활이 지나면 지날수록 부부관계의 횟수가 점점 줄어들면서 남편이 자신이 아닌 다른 여자가 있다고 생각함. 남편이 자녀들에게 큰 개입을 안 하기 때문에 더욱 아이들에게 에너지를 쏟음. C.T의 이혼으로 자신 때문에 ct의 인생이 잘못되었다고 죄책감을 가짐. ct를 매우 불쌍하게 여김.
▶ 대상자(C.T)의 오빠
한양대학교에 재학 중이며 군대가기 전에 만나던 여자친구(2살 연상)가 기다렸는데 군대제대 한달 앞두고 먼저 헤어지자고 했음. 군대에 있는 동안 동생이 결혼하고 아이까지 낳은 후 이혼했다는 사실에 대해서 자신의 가족을 창피하게 생각함.
6. 가족의 주요 욕구사정
1) 대상자(C.T)의 욕구
의존적인 성격으로 이혼이후로 자신의 대한 자존감을 잃어가고 있음. 가족들에게 죄책감을 느끼고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찾고 있고 자신의 상처를 이겨내고 새로운 출발을 하고 싶어한다. 또한 가족들이 자신을 이해하고 수용해주기를 원한다.
2) 대상자(C.T)가족의 욕구
C.T의 부는 그동안 자녀들과 친밀한 관계가 형성되지 않아 그 관계를 회복하길 원한다. 퇴직이후로 자신이 새롭게 할 수 있는 일을 찾는다. C.T는 모는 C.T에게 미안한 마음이 가득하고 어떻게든 새롭게 출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싶어한다. 남편과의 관계가 멀어졌다고 생각하며 자신이 아내로서 인정받기를 원한다. 우울증에 빠져있으며 현실로부터 벗어나길 원한다. C.T의 오빠는 동생을 창피하게 생각하며 어머니가 자신에게 간섭하는 것을 싫어한다. 가족들에 대해서 불편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
추천자료
정신분석 이론으로 클라이언트 분석
분산 데이타베이스와 클라이언트-서버
상담과 관련하여 클라이언트의 강점의 개념을 설명하고 그 강점을 강화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
심리사회모델, 클라이언트중심모델(인간중심모델), 기능주의모델에 대한 서술
사회복지실천 모델 클라이언트중심모델 위기개입모델
사회복지사, 클라이언트
대학 동기를 클라이언트로 한 상담설명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의 클라이언트 폭력과 조직관리★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정신지체의 청소년클라이언트가 건강하지 않은 생활태도를 보일 때 (예...
통합방법론을 적용한 클라이언트 문제 해결을 위한 개입 방법을 설명.
행동수정모델, 클라이언트중심모델의 특성, 이론적 배경, 주요개념, 개입기법
사회복지사가 아동기의 클라이언트를 위해 해야 하거나 할 수 있는 일들을 논의해 봅시다., ...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간 변화를 방해하는 관계를 해소하기 위한 매...
지적장애를 가진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범위와 도움을 줄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