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아방어기제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아방어기제에 대하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사례로 살펴본 방어기제의 이해
2. 일상생활에서 발견할 수 있는 방어기제 - 사랑의 방어기제

본문내용

특이한 성질이어서 그 증세 자체를 진단하기가 쉽지 않다. 사랑이 갈등을 일으키고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면 사람들은 불안해 하고, 고통을 느끼게 된다. 그 결과 그들은 불합리한 사고와 행동으로 나아가게 된다. 그의 행동은 예측가능하지 못하고 통제력을 상실하게 된다. 심한 경우 그는 광장공포증이나 사회공포증을 경험하게 되고 대인기피증세를 보이기도 한다. 심지어 후외상성 장애를 초래하기도 한다. 보편적 우울증세인 정동장애현상과 극단의 경우 정신분열증까지 진행되기도 한다. 사랑하는 사람이 자신의 사랑을 받아주지 않는 경우, 현실적인 여건이 서로 사랑을 이룰 수 없는데도 사랑하지 않은 수 없는 경우, 상호간에 이해가 부족하여 사랑이 일시적으로 갈등을 일으킨 상태에서 그 갈등이 해소되지 않고 있는 경우, 정말 사랑하는 사람을 잃게 된 경우, 믿었던 사랑이 거짓말을 일삼는 위선자였음이 탄로나는 경우, 한쪽은 진정 사랑했는데 상대방은 다른 목적을 가지고 사랑을 가장했던 경우 등이다. 사랑은 두 사람 사이의 특수한 관계에서 시작되고 유지되며 변화한다. 그러므로 사랑은 반드시 상대방과의 관계에서만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고 치료와 해결책이 제시되어야 한다. 사랑의 갈등을 겪고 사랑의 위기에 처한 사람들은 자아가 극도로 약해진다. 공황상태에 빠진다. 때문에 정상적인 사람들이 본능적 욕구, 환경의 요구, 초자아(superego)의 명령을 그대로 인정하여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합리적인 방법을 선택할 수 있지만, 사랑의 위기에 빠진 사람들은 그렇지 못하고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부분적이나마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일종의 적응기술인 방어기제를 사용하려고 한다. 사랑의 갈등이나 위기에 처한 사람들이 보여주는 방어기제에는 어떠한 것이 있을까?
① 어떤 사람들은 사랑을 거부하는 단순한 방식을 취하기도 한다. 사랑 때문에 자신이 고통을 받고 힘이 들기 때문에 사랑의 존재와 가치를 부정하는 것이다. 사랑은 결코 해서는 안 될 것이라도 단정하는 것이다.
② 억압하기도 한다. 자신이 받아들일 수 없는 충동이나 생각을 봉쇄해 버리는 것이다. 사랑의 욕구를 거세하고 사랑하고 싶은 생각을 사전에 억압하면서 살아가는 것이다. 성적 욕구는 통제되고 사랑의 본능은 억압됨으로써 왜곡된 삶을 살게 된다.
③ 전치라는 방어기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전치라 함은 에너지를 만족되지 않는 욕구로부터 다른 대상으로 바꿈으로써 긴장을 완화시키려는 방법이다. 사랑의 에너지를 억제하고 그 에너지를 거꾸로 사랑을 하지 않는 이성과의 성관계에 탐닉함으로써 발산하는 것이다.
④ 승화라 함은 원래의 욕구나 충동을 사회적으로 용납할 수 있는 형태로 전환시킴으로써 만족을 얻고자 하는 방법을 말한다. 사랑을 포기하고 대신 공부에 열중하거나 스포츠에 전념하는 것이다. 종교활동에 자신의 모든 것을 바치기도 한다.
⑤ 자신이 경험하고 있는 사랑의 실패를 다른 사람에게 전가시키고 다른 사람들의 사랑의 실패를 비난함으로써 자신의 긴장상태의 불안감을 경감시키려는 투사의 방법도 사용된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13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