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에 있어서도 지역사회자원의 개발 및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민간주민의 욕구는 정책이나 계획에 반영되도록 하는 참여성의 증대로 이어졌다. 지역사회 내에서 시·군·구·읍·면·동 사회복지담당 부서 및 사회복지 전담공무원, 보건소와 같은 공적 전달체계 외에도 다양한 기관, 단체들은 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고 있다. 그러나 지역사회 복지증진을 위해 민간참여를 보장하는 시스템도 미비하고, 시.군.구에 사회복지위원회가 구성되었으나 관주도로 운영되고 그 기능도 사실상 유명무실한 실정이다. 현재 지역사회 내에서 사회복지관사회복지시설, 자원봉사센터, 노동사무소, 보건소 등 다양한 기관단체들을 통해 보건과 복지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나 공공민간분야 및 보건복지 분야 상호 간 연계체계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이로 인해 각 기관에서는 고유의 소관 업무만을 수행하고 있어 일부 대상자에 대한 서비스 중복누락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또한 복지대상자가 보건복지고용 등의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해서 관련 기관을 수차례 방문해야 하는 문제점을 알 수 있었다. 지역사회복지협의체는 대표협의체, 실무협의체, 실무분과로 구성되는데, 대부분의 시군구에 실무협의체가 구성되어 있지만, 서울시의 5개 구에서는 아직 실무협의체가 구성되지 않았으며, 실무협의체를 구성하는 구성원에 대한 사항도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무협의체 구성원이 학계, 복지, 보건, 공익단체추천자등의 조항을 지켜야 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지역자치단체에서 이러한 조항들을 만족하지 못했다. (대전과 충남, 제주도를 제외한 대다수의 지역에서 40%의 수치를 보임)실질적으로 일을 진행하는 실무협의체를 구성하는 구성원이 지나치게 공무원에 의존해 있거나, 다양한 전문가를 참여시키지 않을 경우, 그 지방자치단체의 복지정책이 이전과 동일한 수준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고 전문적 시각을 통한 지역사회 복지정책의 완성을 위한 실무 중 첫 단계로서 지역사회복지 실무협의체의 구성의 보완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해결되어야 할 문제 중 하나인 것 같다.
증평군 지역사회복지협의체는 사회복지사업법에 근거 지역특성에 맞는 민.관.학이 협력하여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자 2005년도에 구성된 기관이다. 본기관의 운영을 보면 간사 한분이 네트워크 중심이 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다른 지역 같은 경우는 간사를 두고 있지 않은 기관이 대부분이며 증평군 또한 한분의 간사님이 적은 연봉을 받으시면서 꾸려가고 있는 실정이다. 간사의 경우 실질적이 기관의 실무자로써 지역의 자원중심 인물인데 많은 자원을 관리하는 인물이 없거나 한명이 관리는 운영체계는 문제점이 많다고 본다. 좋은 의도로 구성되었지만 형식적인 지역의 예산을 편성하는 부분에 대해 현실적인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어떻게 보면 지역사회의 물질적 자원을 잘 활용하여 해결한다고 할 수 있지만 그 이전에 정부의 지원이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보다 현실적인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역할과 발전을 모색하지 않을까 생각 한다.
증평군 지역사회복지협의체는 사회복지사업법에 근거 지역특성에 맞는 민.관.학이 협력하여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자 2005년도에 구성된 기관이다. 본기관의 운영을 보면 간사 한분이 네트워크 중심이 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다른 지역 같은 경우는 간사를 두고 있지 않은 기관이 대부분이며 증평군 또한 한분의 간사님이 적은 연봉을 받으시면서 꾸려가고 있는 실정이다. 간사의 경우 실질적이 기관의 실무자로써 지역의 자원중심 인물인데 많은 자원을 관리하는 인물이 없거나 한명이 관리는 운영체계는 문제점이 많다고 본다. 좋은 의도로 구성되었지만 형식적인 지역의 예산을 편성하는 부분에 대해 현실적인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어떻게 보면 지역사회의 물질적 자원을 잘 활용하여 해결한다고 할 수 있지만 그 이전에 정부의 지원이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보다 현실적인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역할과 발전을 모색하지 않을까 생각 한다.
추천자료
지방 분권화 시대의 지역사회복지
[지역복지운동]지역복지운동(지역사회복지운동)의 유형, 지역복지운동(지역사회복지운동)의 ...
[지역복지운동][지역사회복지운동]지역사회복지운동(지역복지운동)의 필요성, 지역사회복지운...
지역사회복지관의 개념, 지역사회복지관의 기능, 지역사회복지관의 인력개발, 지역사회복지관...
지역사회복지관의 필요성, 지역사회복지관의 기능, 지역사회복지관 가정폭력개입, 지역사회복...
지역사회복지관의 근거와 사업, 운영과 발전방향 및 지역자활센터의 기능과 지역사회복지실천...
지역사회복지실천의 대표적인 모델로 인정되고 있는 로스만의 세가지 유형을 설명하고 내가 ...
사회복지사업법 중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해당 법조항들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고 지역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와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의미와 학자들이 제시한 지역사회 기능과 유형들을 살펴...
[지역사회복지론] 한국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형에 대해 서술하시오 : 지역사회
사회복지사의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제시하고 본인이 살고 있는 지역의 ...
[지역사회복지론]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 역사와 관련하여 지역사회복지실천에 미친 긍정적...
지역사회복지 실천주체(지역사회복지실천기관 지역사회복지사의 역할 지역사회복지의 전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