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절이란 무엇이며, 일상 생활속에서 자신이 실천하고 있는 예절에 대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예절이란 무엇이며, 일상 생활속에서 자신이 실천하고 있는 예절에 대해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目 次


Ⅰ. 서론
Ⅱ. 본론
1. 사람과 사람의 만남
2. 인사예절
3. 절, 예의 기본
4. 관혼상제
5. 문상예절
6. 차례・조상과의 만남
7. 사회예절 (직장예절)
8. 직장에서 대화 예절
9. 전화예절
10. 식사예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있어서 꾸중이나 충고를 들었을 때는 즉석에서 변명을 하거나 이유를 대는 것은 예의가 아니다.
<상황>
여직원이 타이프를 쳐왔는데 상사가 봤더니 오자가 몇 군데 있었다. 이때 상사가 ‘여기 오자가 많은데...’라고 했을 때 ‘왜 오자가 있을까요. 그럴 수도 잇지요. 뭐. 주세요. 다시 칠께요!’한다면 예의가 아니다. 우선 사과부터 하는 것이 예의이다. ‘죄송합니다. 다시 치겠습니다.’하고 반성하는 태도를 보인다면 그 사람은 다시는 그와 같은 실수를 범하지 않는 발전적인 사람이 될 것이다. 변명이나 이유를 입버릇처럼 하는 것도 하나의 습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참고하기 바란다.
9. 전화예절
전화는 우리 현대 생활의 필수품이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직장에서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전화를 걸고 받는 예절은 우리의 기본 생활이 되었다. 전화는 특히 상대의 표정을 볼 수 없기 때문에 그 말씨나 태도가 보다 더 정중해야 한다. 특히 직장에서는 전화 한통이 그 회사의 이미지를 좌우하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 전화를 거는 예절
상대의 전화번호를 확인한다.
용건을 미리 정리해 짧은 통화가 되게 한다.
통화 중 신호가 나거나, 5회 이상 신호가 가도 받지 않으면 조용히 수화기를 내려놓고 잠시 후 다시 건다.
상대가 전화를 받으면 정확하게 접속 되었는지 상대를 확인한다.
상대가 확인되면 자기 소개를 한다.
상대가 이쪽을 알아차리면 먼저 인사부터 한다.
다른 사람이 받았으면 정중하게 바꿔주기를 청한다. 상대가 없으면 받는 사람에게 전해줄 수 있는 가를 정중하게 묻고 용건을 말한다.
통화가 길어질 경우는 상대의 시간 사정을 묻는다.
용건이 끝나면 인사를 하고 전화를 끊겠다고 예고한 다음에 끊는다.
전화가 잘못걸렸으면 정중하게 사과한다.
- 전화를 받는예절
전화 신호가 2번 정도 울리면 먼저 ‘예’라고 대답해 예비음을 보낸 다음 자기를 소개한다.
전화를 건 사람이 확인되면 먼저 인사부터 한다.
다른 사람을 찾으면 친절하게 기다리라고 하고 바꾼다.
받을 사람이 자리에 없으면 그 사실을 친절히 말하고, 전할 말이 있는지를 정중하게 물어본다.
남에게 온 전화일 때는 통화내용을 누가 언제 무슨 일로 전화했다고 기록해 두었다가 본인에게 전한다.
통화가 끝나면 정중하게 인사한다.
전화를 건 사람이 먼저 끊은 다음에 수화기를 내려놓는다.
상대가건 전화에 이쪽의 용건을 장황하게 말하지 않는다.
잘못 걸려온 전화라도 친절하게 응대한다.
10. 식사예절
음식은 우리의 기본 생활권의 의식주의 한가지다. 사람이 움직이고 사는데 없어서는 안될 가장 기본적인 생활 에너지를 갖기 위한 것이나, 또 한편 음식은 서로의 정을 나누게 하는 교량 역할을 한다는 데에 더 깊은 의미가 있다. 음식을 함께 나누어 먹으므로써 서로의 관계가 돈독해 지며 자연스럽게 가까워지는 계기도 된다. 우리는 모두가 화목화합하기를 바란다. 이 화(和)자를 보면 벼화(禾)변에 입구(口)자를 쓴다. 입에는 역시 먹을 것이 들어가야 화합도 쉽게 되나 보다. 그러므로 음식을 먹는 데에도 그에 따른 바른 절차와 태도 또는 행동 자세가 필요할 것이다.
Ⅲ. 결론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예는 무수히 많다. 그 밖에도 가족예절, 친척과의 항렬, 가족간의 호칭, 바른 효도, 어른을 모시는 예절, 부부예절, 시어머니와 며느리, 아랫사람에 대한 예절, 생활예절, 말의 예절, 방문예절, 방문객을 맞는 예절, 애국가에 대한 예절 등 우리가 지켜야 할 예절은 너무나도 많다. 우리는 항상 예를 갖추고 상대방을 배려하는 마음가짐으로 살아야 한다.
Ⅳ. 참고문헌
- 누구나 알아야 할 생활예절 (문학아카데미 출판)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27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