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각국의 학교사회복지 현황
2. 주요 국가의 학교사회복지 발달과 지원제도
1) 미국의 학교사회복지
2) 독일의 학교사회복지
3) 영국의 학교사회복지
4) 북유럽의 학교사회복지 - 스웨덴, 핀란드
5) 몽골의 학교사회복지
3. 학교사회복지의 국제적 전망
2. 주요 국가의 학교사회복지 발달과 지원제도
1) 미국의 학교사회복지
2) 독일의 학교사회복지
3) 영국의 학교사회복지
4) 북유럽의 학교사회복지 - 스웨덴, 핀란드
5) 몽골의 학교사회복지
3. 학교사회복지의 국제적 전망
본문내용
처음으로 욕구사정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들이 발견되었다.
첫째, 학교운영과 활동들을 지원했던 국가정책이 실패했으며, 교육부문에서의 재정압박이 학교의 정상운영에 큰 문제를 야기하였다.
둘째,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들에 대해 학교에 계속 다니게 하려는 교사들의 의지와 관심이 결여되었다. 그 결과 급격히 늘어난 학교중퇴 비율을 야기하였으며, 모니터체계를 약화시켰다.
셋째, 학교는 '어려운' 아동을 지원하고, 학교탈락을 막으며, 부모와 다른 가족 및 아동이 교육의 중요성을 이해하도록 할 전문가가 결여되었다고 느끼고 있었다.
넷째, 자녀를 많이 둔 빈곤, 극빈가정에서는 자녀에게 옷을 입히지 못하고 음식을 먹이지 못한 채 학교에 보내는 상황들이 학교 내에서 사회복지서비스가 크게 필요함을 드러냈다.
몽골은 1998년 두 번째로 평가 조사를 한 다음 도시와 농촌지역 13개 학교에서 학교중퇴예방 프로젝트를 실시하였다. 학교에서 사회사업가 고용을 법적으로 보장하는 것은 개정된 교육법에 규정되었으며, 학교사회사업가의 직무규정이 그에 따라 승인되었다. 그러나 나라의 사회, 경제적 상황 때문에 여전히 여러 문제들이 발생하였다. 즉, 이미 채용된 학교사회사업가가 전문적 지식과 기술, 정보 또한 결여하고 있어서 옛 방식으로 일하고 있었다. 몽골에서는 학교사회사업이 오늘날 학교활동 가운데 안정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전문적 기준을 충족하는 학교사회사업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고 말하기는 이르다. 몽골 학교사회사업가 협회는 다음과 같은 과제를 미래의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첫째, 사회복지서비스는 아동들의 교육의 권리를 지원하며, 학교에서 일어나는 문제 이슈들의 원인을 먼저 찾아내고 해결하는 방향으로 발전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국가와 지방의 특성을 고려하며, 서비스 수혜자의 자원과 기회를 발견하며, 그들의 참여와 자기 의사 결정을 증진하는 전문사회사업의 개발을 지향하는 사회사업체계가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학교사회사업서비스 원칙과 윤리기준을 정하고, 승인, 준수하며, 학사학위를 가진 학교사회사업가들을 훈련하고, 학교사회사업가들을 위해 지속 가능한 근무조건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현재의 학교사회사업가들의 능력을 강화하고 지방의 사회사업의 발달을 촉진하는 데 좀 더 관심을 집중해야 한다.
3. 학교사회복지의 국제적 전망
인터넷의 발달과 e-mail의 확산으로 세계적으로 학교사회복지사들이 다른 나라의 학교사회복지사들과 빈번히 접촉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학교사회복지의 정보공유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국제적인 네트워크와 컨퍼런스로 국제적인 모임은 보다 활성화될 것이며, 이로써 학교사회복지의 전문성 성장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현재는 나라마다 학교사회복지사의 활동영역과 내용, 방법 등이 비슷해 보인다. 그러나 나라마다 학교사회복지의 공통적인 영역을 발견하는 일과 전문성 고양을 위한 타 전문직과의 비교, 평가와 심층연구가 더욱 필요하며, 국제적인 정보교환이 더욱 필요한 시기라고 생각된다.
첫째, 학교운영과 활동들을 지원했던 국가정책이 실패했으며, 교육부문에서의 재정압박이 학교의 정상운영에 큰 문제를 야기하였다.
둘째,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들에 대해 학교에 계속 다니게 하려는 교사들의 의지와 관심이 결여되었다. 그 결과 급격히 늘어난 학교중퇴 비율을 야기하였으며, 모니터체계를 약화시켰다.
셋째, 학교는 '어려운' 아동을 지원하고, 학교탈락을 막으며, 부모와 다른 가족 및 아동이 교육의 중요성을 이해하도록 할 전문가가 결여되었다고 느끼고 있었다.
넷째, 자녀를 많이 둔 빈곤, 극빈가정에서는 자녀에게 옷을 입히지 못하고 음식을 먹이지 못한 채 학교에 보내는 상황들이 학교 내에서 사회복지서비스가 크게 필요함을 드러냈다.
몽골은 1998년 두 번째로 평가 조사를 한 다음 도시와 농촌지역 13개 학교에서 학교중퇴예방 프로젝트를 실시하였다. 학교에서 사회사업가 고용을 법적으로 보장하는 것은 개정된 교육법에 규정되었으며, 학교사회사업가의 직무규정이 그에 따라 승인되었다. 그러나 나라의 사회, 경제적 상황 때문에 여전히 여러 문제들이 발생하였다. 즉, 이미 채용된 학교사회사업가가 전문적 지식과 기술, 정보 또한 결여하고 있어서 옛 방식으로 일하고 있었다. 몽골에서는 학교사회사업이 오늘날 학교활동 가운데 안정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전문적 기준을 충족하는 학교사회사업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고 말하기는 이르다. 몽골 학교사회사업가 협회는 다음과 같은 과제를 미래의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첫째, 사회복지서비스는 아동들의 교육의 권리를 지원하며, 학교에서 일어나는 문제 이슈들의 원인을 먼저 찾아내고 해결하는 방향으로 발전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국가와 지방의 특성을 고려하며, 서비스 수혜자의 자원과 기회를 발견하며, 그들의 참여와 자기 의사 결정을 증진하는 전문사회사업의 개발을 지향하는 사회사업체계가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학교사회사업서비스 원칙과 윤리기준을 정하고, 승인, 준수하며, 학사학위를 가진 학교사회사업가들을 훈련하고, 학교사회사업가들을 위해 지속 가능한 근무조건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현재의 학교사회사업가들의 능력을 강화하고 지방의 사회사업의 발달을 촉진하는 데 좀 더 관심을 집중해야 한다.
3. 학교사회복지의 국제적 전망
인터넷의 발달과 e-mail의 확산으로 세계적으로 학교사회복지사들이 다른 나라의 학교사회복지사들과 빈번히 접촉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학교사회복지의 정보공유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국제적인 네트워크와 컨퍼런스로 국제적인 모임은 보다 활성화될 것이며, 이로써 학교사회복지의 전문성 성장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현재는 나라마다 학교사회복지사의 활동영역과 내용, 방법 등이 비슷해 보인다. 그러나 나라마다 학교사회복지의 공통적인 영역을 발견하는 일과 전문성 고양을 위한 타 전문직과의 비교, 평가와 심층연구가 더욱 필요하며, 국제적인 정보교환이 더욱 필요한 시기라고 생각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