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해일, 방사능 유출시 발생가능한 응급상황 및 응급처치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진, 해일, 방사능 유출시 발생가능한 응급상황 및 응급처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지진 시 발생 가능한 응급 상황

1) 화상
2) 출혈성 쇼크
6) Cardiac temponade (심장 압전)
7) Flail Chest(동요가슴)
8) Acute myocardial infarction (급성심근경색증)/흉통
15) 척추손상
16) 사지가 불완전하게 절단된 환자
17) 골반골, 대퇴골의 개방성 골절 및 다발성 골절
19) 두경부 손상
21) 다발성 손상, 골절, 손의 손상
23) 자상

II. 해일 시 발생 가능한 응급 상황

2) 출혈성 쇼크
6) Cardiac temponade (심장 압전)
7) Flail Chest(동요가슴)
8) Acute myocardial infarction (급성심근경색증)/흉통
15) 척추손상
16) 사지가 불완전하게 절단된 환자
17) 골반골, 대퇴골의 개방성 골절 및 다발성 골절
19) 두경부 손상
21) 다발성 손상, 골절, 손의 손상
23) 자상
* 기타 : Near Drowning(익수 사고)에 대한 대처는 대증 치료로써 CPR시행 등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 시행.

III. 방사능 유출 시 발생 가능한 응급 상황

1) 화상
2) 출혈성 쇼크
...중략

본문내용

본문의 일부분임.

1. 화상

A. Major burn, 중증의 화상인 경우
1. Airway 확보(조기 Intubation도 고려!!)
lower face, neck or chest wall burn의 경우
2. O2(2-10L) supply after ABGA
smoke inhalation인 경우 face mask or endotracheal tube를 통해 O2 supply
3. IV line 확보 : 2nd degree 이상
body surface의 15% 이상 burn 존재시
→ IV fluid resuscitation
non-burned skin에 insertion
단, central line는 감염률이 높아 가급적 시행하지 않는다.
4. Blood sampling
(1) routine CBC, BC, ABGA, UA c micro
(2) CarboxyHb, MetHb 등도 check
5. Fluid resuscitation
: Lactated Ringer's sol(HS) 1L IV 우선 시작
; Parkland 방식(Ringer Lactate sol.)을 사용하고 있다.
(1) 24시간 수액 투여용량 = 4mL(소아는 3mL) X 체중 X BSA(%)
(2) 화상 후 처음 8시간동안 반을 투여
→ 다음 16시간동안 남은 양 투여
(3) 투여시간 기준이 내원 시각이 아닌 수상시각 기준임
(4) 필요하면, IV line을 2개 이상 확보한다.
(5) fluid loss는 burn 후 첫 6-8hr에 최고에 도달, infusion rate는 urine output을 유지하면서 조절
(6) U/O : 0.5-1ml/kg/hr(성인) 1-1.5ml/kg/hr(소아)
중략...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기타(docx)
  • 자료번호#8138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