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성매매여성의 인권보호를 기준으로 합법화 찬반논쟁에 대하여 자유롭게 논하시오
앞으로 우리나라 가정 및 사회의 변화를 고려할 때, 건강가정기본법의 관련법으로 어떠한 법률이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 2가지 이상 법률 명, 목적, 주요내용과 함께 필요근거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시오
행동주의 이론에서 제시하는 강화의 법칙중, 정적강화와 부적강화를 일상에서 현명하게 적용하여 행동을 개선 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서 설명하시오
앞으로 우리나라 가정 및 사회의 변화를 고려할 때, 건강가정기본법의 관련법으로 어떠한 법률이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 2가지 이상 법률 명, 목적, 주요내용과 함께 필요근거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시오
행동주의 이론에서 제시하는 강화의 법칙중, 정적강화와 부적강화를 일상에서 현명하게 적용하여 행동을 개선 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서 설명하시오
본문내용
부로 원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것은 토큰 프로그램과 동시에 사용할 때 더 효과적이다. 10분 동안 숙제를 마치면, 오락을 할 수 있게 해 주겠다던가 혹은 원하는 물건을 교환할 수 있는 토큰을 제공하는 것이다.
3. 정적 강화 Positive reinforcement
어떤 행동이 일어난 직후 그가 기분 좋아하는 것을 주어 그 행동의 빈도(행동 발생 확률)를 높이는 것을 말한다. 강화력을 가지는 자극은 사람이나 때(상황)에 따라 다르므로, 어떤 사태가 강화자극이 되느냐는 그것이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느냐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 것을 좋아하는 아이에게 초콜릿을 주는 것은 충분히 기분이 좋고 강화자극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아이는 그것을 얻기 위해 행동의 빈도가 높아진다. 하지만 다이어트 중인 여성에게 초콜릿을 주는 것은 강화자극이 될 수 없다. 그러니 강화자극을 선택할 때에는 사람이나 상황을 고려해 그 사람이 그 때 원하는 것으로 해야 하겠다.
- 정적 강화의 종류
① 소모강화 : 먹을 수 있는 것
② 활동강화 : 텔레비전 보기, 책 보기, 게임하기 등
③ 조작강화 : 장난감, 풍선 등 조작할 수 있는 것.
④ 소유강화 : 옷, 시계, 장난감 등 소유할 수 있는 것.
⑤ 사회적 강화 : 칭찬, 미소, 뽀뽀 등 언어적 자극이나 신체적 접촉.
3. 정적 강화를 통해 현명하게 적용하며 행동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
가치 있는 어떠한 것을 제공함으로써 바람직한 행동의 강도와 빈도를 증가 시키는 것을 의미. 즉 어떤 행동이 일어난 직후 또는 일어나는 상황에 가해 졌을 때, 장차 그 행동이 일어날 확률을 높이는 절차를 의미한다.
예) 노트 정리를 잘하는 학생에게 칭찬을 해줌으로써 더욱 노트정리를 잘하도록 유도 미술시간에 그림을 잘 그린 학생의 작품을 교실에 전시하여 그 학생이 미술에 더욱 흥미를 갖게 하는 것
방청소를 하면 착하다고 용돈(정적 강화물)을 줘서 계속 방청소를 하게 하는 것
수업 중 발표하는 학생에게 플러스 점수를 줘서(강화물) 발표를 많이 하게 하는 것
- 정적 강화물(positive reinforcers) : 좋은 성적, 교사의 웃는 표정, 칭찬과 인정, 게시판에 전시된 학생의 작품, 학생들이 보여 주는 성실한 수업태도나 질문 등
4. 부적 강화 Negative reinforcement
바라지 않는 어떠한 것을 제거하여 바람직한 행동의 강도와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 즉 어떤 행동이 일어난 직후에 제거했을 때, 또는 그 행동이 일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감해졌을 때 장차 그 행동이 일어날 확률을 높이는 절차이다.
5. 부적 강화를 통해 현명하게 적용하며 행동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
도피행동 : 행동의 결과 혐오자극을 중단시키는 것.
회피행동 : 행동의 결과 혐오자극을 지연시키는 것.
- 어떤 행동을 했을 때 그가 싫어하는 것을 제거해 주는 것.
- 어떤 자극이 조건부로 제거되었을 때(강해졌을 때), 반응을 강화하는 모든 자극을 말한다.
- 반응 후 어떤 자극이 감해져, 결과적으로 반응 빈도가 높아지는 것.
예)
- 쥐가 지렛대를 눌렀을 때, 흐르던 전기가 사라지는 경우
- 어질러진 장난감을 치우자, 부모가 잔소리를 멈추었을 때
- 목이 타는 갈증을 느껴서, 음료수를 마셨더니 갈증이 사라질 때
- 상처가 나고 아파서, 치료를 받았더니 상처도 낫고 아픔도 사라질 때
- 수업시간에 집중을 잘하고 좋은 질문을 하는 학생에게 청소를 면제 해주는 경우
- 마찬가지로, 수업 중 주어진 과제를 완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교사가 학생들에게
- "30분 이내에 산수문제 20개를 다 푼 학생에게는 오늘의 숙제를 면제해 주겠다."라고 해서 성취도가 높아졌다면, 여기에서 '숙제의 면제'는 과제의 성취도를 높이는 부적 강화물이다.
- 자동차를 운전하기 전에 안전벨트를 안 메면 표시등이 깜박깜박, 경보음이 삑삑 거리다가 벨트를 메고 나면 그 자극이 사라지는 경우 또한 부적강화의 예이다.
Ⅲ. 결론
심리학자들은 인간 행동이 강화제나 법칙에 의해 통제된다는 점에서 인간의 자주성을 무시한다고 오해하고 있다. 그러나 강화제는 부적강화보다는 정적강화의 사용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또한 행동을 통제하는 법칙이란 바람직한 학습의 효과를 위한 하나의 전략이지 인간의 자주성을 통제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아동이 바람직한 행동을 했을 때 칭찬을 하면서 어깨를 친다든지, 예쁜 스티커를 주었을 때 그러한 바람직한 행동은 계속적으로 일어나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법칙은 인간의 행동을 통제하기보다는 행동을 강화시키게 된다. Skinner의 강화전략은 정적 강화나 부적 강화뿐만 아니라 소거, 일반화, 변별, 계속적 강화 등이 있다. 우리들의 행동이 어떤 법칙에 의해 통제되는 법칙통제행동(rule-governed behavior)이라는 개념은 우리의 행동이 조언, 칭찬, 구두 자극 등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으로 쉽게 이해될 수 있다. 인간 행동은 법칙에 통제되는 것과 같이 그러한 행동 결과를 알게 되는 점진적 형성(contingency shaped)법과 관계된다. 자동차 운전을 예로 들어보자. 운전 교습자에게 운전 학원 강사가 구두로 운전에 필요한 핸들, 클라치, 브레이크, 엑서레이드 등을 설명하면, 교습자의 행동은 운전 방법의 설명으로 인해 강화된다. 따라서 사용 설명이나 과학 법칙 등도 행동의 연속이 일어나게 하는 강화제이다. 다음으로 핸들을 돌린다든지, 여러 장치를 밟는 등의 행동을 하게 된다. 즉, 강화제로 인해 행동의 결과가 일어나고 점진적인 형성으로 학습이 일어난다. 그래서 Skinner는 법칙에 의한 통제된 행동을 서술에 의한 지식이라고 하였고, 점진적으로 형성된 행동을 형성된 학습에 의한 지식이라고 하였다.
참고문헌
김영민 (2000, 봄호). 카오스적 사고가 필요한 현대교육. 교육개발, 124-129.
김용운 (1999). 카오스의 날갯짓. 서울 : 김영사.
김의철, 박영신(역) (1997). 문화와 사고. 서울 : 교육과학사.
민천식, 이애현 (1997). 특수교육 패러다임 이동성에 대한 연구. 특수교육학회지, 18(3), 25-37.
3. 정적 강화 Positive reinforcement
어떤 행동이 일어난 직후 그가 기분 좋아하는 것을 주어 그 행동의 빈도(행동 발생 확률)를 높이는 것을 말한다. 강화력을 가지는 자극은 사람이나 때(상황)에 따라 다르므로, 어떤 사태가 강화자극이 되느냐는 그것이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느냐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 것을 좋아하는 아이에게 초콜릿을 주는 것은 충분히 기분이 좋고 강화자극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아이는 그것을 얻기 위해 행동의 빈도가 높아진다. 하지만 다이어트 중인 여성에게 초콜릿을 주는 것은 강화자극이 될 수 없다. 그러니 강화자극을 선택할 때에는 사람이나 상황을 고려해 그 사람이 그 때 원하는 것으로 해야 하겠다.
- 정적 강화의 종류
① 소모강화 : 먹을 수 있는 것
② 활동강화 : 텔레비전 보기, 책 보기, 게임하기 등
③ 조작강화 : 장난감, 풍선 등 조작할 수 있는 것.
④ 소유강화 : 옷, 시계, 장난감 등 소유할 수 있는 것.
⑤ 사회적 강화 : 칭찬, 미소, 뽀뽀 등 언어적 자극이나 신체적 접촉.
3. 정적 강화를 통해 현명하게 적용하며 행동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
가치 있는 어떠한 것을 제공함으로써 바람직한 행동의 강도와 빈도를 증가 시키는 것을 의미. 즉 어떤 행동이 일어난 직후 또는 일어나는 상황에 가해 졌을 때, 장차 그 행동이 일어날 확률을 높이는 절차를 의미한다.
예) 노트 정리를 잘하는 학생에게 칭찬을 해줌으로써 더욱 노트정리를 잘하도록 유도 미술시간에 그림을 잘 그린 학생의 작품을 교실에 전시하여 그 학생이 미술에 더욱 흥미를 갖게 하는 것
방청소를 하면 착하다고 용돈(정적 강화물)을 줘서 계속 방청소를 하게 하는 것
수업 중 발표하는 학생에게 플러스 점수를 줘서(강화물) 발표를 많이 하게 하는 것
- 정적 강화물(positive reinforcers) : 좋은 성적, 교사의 웃는 표정, 칭찬과 인정, 게시판에 전시된 학생의 작품, 학생들이 보여 주는 성실한 수업태도나 질문 등
4. 부적 강화 Negative reinforcement
바라지 않는 어떠한 것을 제거하여 바람직한 행동의 강도와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 즉 어떤 행동이 일어난 직후에 제거했을 때, 또는 그 행동이 일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감해졌을 때 장차 그 행동이 일어날 확률을 높이는 절차이다.
5. 부적 강화를 통해 현명하게 적용하며 행동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
도피행동 : 행동의 결과 혐오자극을 중단시키는 것.
회피행동 : 행동의 결과 혐오자극을 지연시키는 것.
- 어떤 행동을 했을 때 그가 싫어하는 것을 제거해 주는 것.
- 어떤 자극이 조건부로 제거되었을 때(강해졌을 때), 반응을 강화하는 모든 자극을 말한다.
- 반응 후 어떤 자극이 감해져, 결과적으로 반응 빈도가 높아지는 것.
예)
- 쥐가 지렛대를 눌렀을 때, 흐르던 전기가 사라지는 경우
- 어질러진 장난감을 치우자, 부모가 잔소리를 멈추었을 때
- 목이 타는 갈증을 느껴서, 음료수를 마셨더니 갈증이 사라질 때
- 상처가 나고 아파서, 치료를 받았더니 상처도 낫고 아픔도 사라질 때
- 수업시간에 집중을 잘하고 좋은 질문을 하는 학생에게 청소를 면제 해주는 경우
- 마찬가지로, 수업 중 주어진 과제를 완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교사가 학생들에게
- "30분 이내에 산수문제 20개를 다 푼 학생에게는 오늘의 숙제를 면제해 주겠다."라고 해서 성취도가 높아졌다면, 여기에서 '숙제의 면제'는 과제의 성취도를 높이는 부적 강화물이다.
- 자동차를 운전하기 전에 안전벨트를 안 메면 표시등이 깜박깜박, 경보음이 삑삑 거리다가 벨트를 메고 나면 그 자극이 사라지는 경우 또한 부적강화의 예이다.
Ⅲ. 결론
심리학자들은 인간 행동이 강화제나 법칙에 의해 통제된다는 점에서 인간의 자주성을 무시한다고 오해하고 있다. 그러나 강화제는 부적강화보다는 정적강화의 사용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또한 행동을 통제하는 법칙이란 바람직한 학습의 효과를 위한 하나의 전략이지 인간의 자주성을 통제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아동이 바람직한 행동을 했을 때 칭찬을 하면서 어깨를 친다든지, 예쁜 스티커를 주었을 때 그러한 바람직한 행동은 계속적으로 일어나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법칙은 인간의 행동을 통제하기보다는 행동을 강화시키게 된다. Skinner의 강화전략은 정적 강화나 부적 강화뿐만 아니라 소거, 일반화, 변별, 계속적 강화 등이 있다. 우리들의 행동이 어떤 법칙에 의해 통제되는 법칙통제행동(rule-governed behavior)이라는 개념은 우리의 행동이 조언, 칭찬, 구두 자극 등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으로 쉽게 이해될 수 있다. 인간 행동은 법칙에 통제되는 것과 같이 그러한 행동 결과를 알게 되는 점진적 형성(contingency shaped)법과 관계된다. 자동차 운전을 예로 들어보자. 운전 교습자에게 운전 학원 강사가 구두로 운전에 필요한 핸들, 클라치, 브레이크, 엑서레이드 등을 설명하면, 교습자의 행동은 운전 방법의 설명으로 인해 강화된다. 따라서 사용 설명이나 과학 법칙 등도 행동의 연속이 일어나게 하는 강화제이다. 다음으로 핸들을 돌린다든지, 여러 장치를 밟는 등의 행동을 하게 된다. 즉, 강화제로 인해 행동의 결과가 일어나고 점진적인 형성으로 학습이 일어난다. 그래서 Skinner는 법칙에 의한 통제된 행동을 서술에 의한 지식이라고 하였고, 점진적으로 형성된 행동을 형성된 학습에 의한 지식이라고 하였다.
참고문헌
김영민 (2000, 봄호). 카오스적 사고가 필요한 현대교육. 교육개발, 124-129.
김용운 (1999). 카오스의 날갯짓. 서울 : 김영사.
김의철, 박영신(역) (1997). 문화와 사고. 서울 : 교육과학사.
민천식, 이애현 (1997). 특수교육 패러다임 이동성에 대한 연구. 특수교육학회지, 18(3), 25-37.
추천자료
2017년 2학기 언어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D형(언어기호의 특성)
2017년 2학기 대중영화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1(위대한 독재자)
2017년 2학기 대중영화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3(네멋대로 해라)
2017년 2학기 대중영화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4(양철북)
2017년 2학기 성사랑사회 중간시험과제물 B형(성폭력이나 성희롱이 빈발하는 이유)
2017년 2학기 국문학연습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경희와 진채선의 여성성격 비교 분석)
2017년 2학기 인권법 중간시험과제물 A형(국가인권위원회의 성격)
2017년 2학기 인권법 중간시험과제물 C형(사회권에 따른 국가의 의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