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회복지사는 전문직인가?
2. 사회복지교육자의 정체성
3. 사회복지사는 과연 '사회'의 복지사인가?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사회복지사는 전문직인가?
2. 사회복지교육자의 정체성
3. 사회복지사는 과연 '사회'의 복지사인가?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 정체성을 확보하고 사회와 사회복지 소비자로부터 분명한 재가나 인가를 획득하려면 무엇보다도 사회복지 교육을 담당하는 여러 교수님들이 사회복지사로서의 자기 정체성을 분명히 가져야 할 것이다. 또한, 사회복지 교육현장에서 사회복지 학도와 일선 사회복지사에게 실천현장에서는 오로지 사회복지 실천만을 수행할 것을 강조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사회복지사 역시 우리 전문직의 고유영역과 실천한계를 명확히 인식하고 이에 근거한 사회복지 활동을 전개해야 할 것이다. 이 길만이 21세기 최고의 전문직으로서 한국 사회복지사가 위상을 차지하게 되는 지름길임을 본 필자는 주장하는 바이다.
[참고문헌]
서울대 사회복지실천연구외 역, 「사회복지실천 기법과 지침」, 나남, 2001.
오창순 외 역, 「사회복지실천론 -통합적 관점-」, 아시아미디어리서치, 2002.
이팔환 외 역, 「사회복지실천이론의 토대」, 나눔의집, 2000.
Hardcastle D. A., Wenocur S., & Powers P. R., Community Pratice: theories and skills for social workers,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참고문헌]
서울대 사회복지실천연구외 역, 「사회복지실천 기법과 지침」, 나남, 2001.
오창순 외 역, 「사회복지실천론 -통합적 관점-」, 아시아미디어리서치, 2002.
이팔환 외 역, 「사회복지실천이론의 토대」, 나눔의집, 2000.
Hardcastle D. A., Wenocur S., & Powers P. R., Community Pratice: theories and skills for social workers,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키워드
추천자료
문제해결모델의 개요, 개념, 특성, 단계와 주의할 점 및 사회복지 실천에의 적용 및 제한점
조사과정의 적용을 위해 기존은 연구논문 1편을 선정하여 검토한 후 아래의 내용에 대해 간...
통합적 방법 모델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환경속의 인간(PIE체계) 논술
통합적 방법 모델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사회복지실천론)사회복지실천의 관점, 통합적 접근
현재 사회복지사의 법적 지위와 권한 등의 문제점,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의 처우 실태를 바탕...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사의 권한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지 서술하시오 -...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접근, 통합적 접근의 주요 이론 및 관점(일반체계이...
THE 통합적 방법론
사회복지사가 다른 직업과 비교해 볼 때 전문가로서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는 사례소개(노인...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사회복지사의 역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