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일상화된 조직생활
1) 소년단 입단과 청년동맹 가맹
2) 노동당과 근로단체 조직
3) 인민반의 가두조직
2. 명절과 세시풍속
1) 북한의 명절개념
2) 북한의 국가적 명절과 민속명절
3) 민족명절과 세시풍속의 변화
3. 종교생활의 실태
1) 종교에 대한 북한당국의 관점
2) 종교정책
4. 의식주 생활과 배급제도의 변화
1) 배급제도의 운영원리와 현실
2) 배급제도하의 의식주 생활
Ⅲ. 결론
Ⅱ. 본론
1. 일상화된 조직생활
1) 소년단 입단과 청년동맹 가맹
2) 노동당과 근로단체 조직
3) 인민반의 가두조직
2. 명절과 세시풍속
1) 북한의 명절개념
2) 북한의 국가적 명절과 민속명절
3) 민족명절과 세시풍속의 변화
3. 종교생활의 실태
1) 종교에 대한 북한당국의 관점
2) 종교정책
4. 의식주 생활과 배급제도의 변화
1) 배급제도의 운영원리와 현실
2) 배급제도하의 의식주 생활
Ⅲ. 결론
본문내용
신들의 뜻에 맞게 행동시키기 위해 북한의 모든 생활에 선전(Propaganda)을 빼놓지 않고 활용하고 있고 이것이 지금까지 잘 먹혀든 것으로 본다. 그러나 향후 급변하는 정세에서 언제까지 선전효과가 계속 지속될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경제난과 7.1 조치 이후 북한 주민들의 의식도 변화하고 있다. 국가 배급제의 약화는 국가에 대한 주민들의 ‘조직화된 의존관계’를 약화시켰다. 시량 구입을 위한 주민 이동의 급증과 이에 따른 주민 상호 간 정보 유통의 증대, 배급제의 사실상 붕괴, 무상교육제와 무상의료제의 유명무실화는 사회 통제의 약화와 공식적 이데올로기로부터의 이탈을 초래했다. 최근 북한 주민들 사이에는 북한이 추구하는 공식적인 가치관인 집단주의적 가치관에 위배되는 개인주의적, 물질주의적 가치관이 확산되고 있다. 뇌물수수, 물자유용 등의 부정부패 행위, 절도, 암거래 등의 생계형 범죄, ‘황색바람’이라 불리는 비사회주의적 문화의 확산 등이 그러한 예에 해당한다.
북한주민의 일상생활을 알아보면서 그들의 일상 행동양식 하나하나가 북한의 사회주의 체제와 주체사상에 있어서 큰 틀이고 지금까지 유지되고 변화하는데 있어 가장 큰 원동력이고 버팀목이라 생각된다.
북한주민의 일상생활을 알아보면서 그들의 일상 행동양식 하나하나가 북한의 사회주의 체제와 주체사상에 있어서 큰 틀이고 지금까지 유지되고 변화하는데 있어 가장 큰 원동력이고 버팀목이라 생각된다.
추천자료
[심리학] 일상생활에서의 심리학 적용사례
심리학 개론-한국인의 사회적 규범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방어기제의 종류에 대해 논하고 일상생활인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신이 주로 사용하는
작업치료 개요 와 일상생활 동작 훈련
선생님의 학급 아동들의 일상생활문제의 예를 한 가지 제시하고, 지도방법을 제시해 보세요
자원봉사 모집에 대한 유인방법을 일상생활과 직무와 연계하여 구체적인 자신의 생각을 제시...
거시사에서 미시사로 - 일상생활의 역사
거시사에서 미시사로 - 일상생활의 역사
[케어기술론] 일상생활 케어, 활력징후 (침상의 정비, 활력징후 Vital sign).PPT자료
[인간관계론]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우리들의 심리적 작용의 측면에 대해 이론과 접목시켜 ...
[심리학] 일상생활에 나타나는 여러가지 심리적 현상에 대해
[스마트폰] 스마트폰이 일상생활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중독에 대한 본인의 생각을 기술하세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