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맞춤법 오용사례와 개선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글맞춤법 오용사례와 개선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방송 언어와 인터넷 용어의 이론적 고찰
Ⅲ. 방송 언어와 인터넷 언어의 오용 사례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언어 교육을 하고 있다는 점을 자각해야 한다. 국어 교사의 언어보다 사회자나 아나운서나 희극인의 언어가 더 언어 교본으로 영향을 끼친다는 점에서 전파 교사로서의 자각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현대 대학생들도 잘못된 언어가 난무하는 방송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기 보다는 비판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면서 대학생들의 주 무대인 활발한 인터넷 활동을 통해 오용 언어에 대한 날카로운 지적을 아끼지 않아야 할 것이다. 대학생들이 이러한 문화를 만들어 가는데 앞장 서 더 이상 방송이 시청률에 치우쳐 오용 언어의 남발을 웃음으로 넘기지 않고 방송에 대한 책임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4.2 인터넷 언어 오용 문제에 대한 개선방안
인터넷 언어의 사용을 사실 법적인 통제 대상이 되기 어렵다. 심각한 수준의 욕설 사용은 어느 정도 인터넷 이용 규칙 등으로 규제할 수 있겠지만 맞춤법을 어겼다고 인터넷 이용에 제재를 가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인터넷 이용자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대학생들은 인터넷 이용 시에 단어를 잘못 적거나 문법에 어긋나게 문장을 구성하는 일을 부끄럽게 생각하고 본인이 모르는 국어 문법에 대한 학습을 충실히 하려는 문화가 조성되도록 인터넷 동호회를 중심으로 생각 바꾸기 운동을 전개하고, 이러한 운동 단체에 대해서는 관련 기관에서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어떤 인터넷에서는 대화방 안내말에서 ‘000님께서 들어오셨습니다.’와 같은 경어법이 잘 갖추어진 문장을 쓰고 있다. 대화방 분위기를 밝고 긍정적인 것으로 바꾸는 데 도움이 되며, 동시에 이용자들의 언어 사용에도 좋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게시판이나 대화방 등에서 인터넷 운영자들은 모범적인 언어를 사용할 때 이용자들의 언어 변화에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함께, 이용자 실명제 확대, 익명 대화방을 없애거나 최소한으로 줄이기, 언어 폭력자에 대한 충분한 제재와 아이디 공개 등의 방법을 모든 인터넷 운영자들이 동시에 실시하는 보다 강력한 조치를 계속해서 취할 필요도 있다.
인터넷의 본질은 경제나 흥밋거리가 아니고 하나의 문화이다. 이 사이버 문화를 현대 대학생들이 발 벗고 나서서 바로 세워야 한다. 대학생들에게 인터넷은 천문학적의 정보를 공유하면서 정치, 사회, 경제, 문화 등 생활 전반에 미치는 삶의 터전이다. 인터넷 사용은 이제 그들의 생활의 일부에서 전부라고 할 수 있을 만큼의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람이 살고 있는 사이버 공간에 언어에 대한 바람직한 문화를 선도해야 할 의무가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언어와 사고 / 강헌규, 김진규 / 형설출판사
MBC 일요일 일요일 밤에
KBS VJ특공대
SBS 강심장
MBC 시사매거진 2580
KBS 뉴스9시
SBS 한밤의 TV연예
MBC 섹션 TV연예통신
KBS 개그콘서트
디지털 세대의 인터넷 언어 / 강진숙 / 중앙대학교
제2세대 통신언어인 외계어의 표기법 연구 / 강옥미 / 한국어학회
인터넷 언어의 무분별한 사용 / 박희성 / 범우사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47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