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청소년 집단상담을 통한 사회사업 실천방법
Ⅰ. 청소년 집단상담의 개념
Ⅱ. 청소년 집단상담의 의의
Ⅲ. 사회복지사의 청소년상담가로서의 역할
Ⅳ. 집단의 유형
1. T-집단
2. 참만남집단(Encounter Group)
3. 구조화집단
4. 자조집단(Self-help Group)
Ⅴ. 과정
1. 준비단계
2. 시작 단계
3. 작업 단계
4. 종결 단계
Ⅰ. 청소년 집단상담의 개념
Ⅱ. 청소년 집단상담의 의의
Ⅲ. 사회복지사의 청소년상담가로서의 역할
Ⅳ. 집단의 유형
1. T-집단
2. 참만남집단(Encounter Group)
3. 구조화집단
4. 자조집단(Self-help Group)
Ⅴ. 과정
1. 준비단계
2. 시작 단계
3. 작업 단계
4. 종결 단계
본문내용
항과 갈등, 응집성, 자기노출 촉진과 생산성이 나타나는 단계로서 상담가는 이들을 성공적으로 다룸으로써 효과적인 집단목표의 달성은 물론 집단에서의 긍정적인 경험을 통해 집단 구성원들이 자기 성장의 경험을 갖게 한다. 청소년을 상대로 하는 사회복지사들은 이 과정에서 여러 가지 역할을 해야될 것이다. 집단의 행동에서 잘못된 행동이 나타난다면 지적해줌으로써 집단의 전체 행동을 바람직하게 하도록 이끌어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는 집단상담이 끝난 이후를 위한 것이기도 하다. 또한 구성원들이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그들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집단의 연령이나 환경을 고려하지 않는 대화주제의 선정은 관심과 집중을 떨어뜨리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4. 종결 단계
집단의 종결은 여러 가지 이유를 가질 것이다. 집단상담 자체가 종결 시기를 미리 정하고 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고, 종결 시기를 미리 정했으나 외적 상황에 의하여 집단을 종결하게 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사회복지사는 집단원들로 하여금 전체 집단과정에서 자신에게 어떤 의미가 있었는가를 인식시키고 그러한 기억과 경험을 상호간에 나누어 가지도록 도와야 한다. 이를 통해 집단원의 성장 및 변화에 대한 사정을 하고 집단 시작 시점과 현재를 비교해 어떤 변화가 좋았는가 나빴는가를 발견하도록 함으로써 일반적이고 막연한 진술보다는 구체적으로 무엇이 좋았는가, 어떤 행동을 학습하였는가를 기억해내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이 진행된다면 집단과정을 통해서 미해결 과제나 미진한 사항은 무엇인가를 발견해낼 수 있을 것이고 이를 통해 집단과정 이후의 개별적인 도움, 타 전문가를 통한 도움을 의뢰함으로써 실패의 가능성 역시 줄어들 것이다.
이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피드백이라고 생각된다. 앞서 행했던 피드백들에 대한 사항을 집단 구성원들이 서로 이야기하도록 도와주고, 상담가와의 대화 역시 이끌어냄으로써 구성원 스스로가 자신의 행동을 점검하도록 함으로써 앞으로 더욱 자아가 발전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상담가는 집단 종결시 집단 과정에 대한 평가를 한다. 집단 과정에 대한 평가는 집단의 분위기, 응집도, 상담가의 리더십, 집단원의 역할, 의사소통, 인간관계의 형태, 집단 상담에 사용한 기법들에 대해 평가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담가가 스스로 자신을 평가할 수도 있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더욱 훌륭한 상담가가 되도록 깨우칠 수 있을 것이다.
4. 종결 단계
집단의 종결은 여러 가지 이유를 가질 것이다. 집단상담 자체가 종결 시기를 미리 정하고 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고, 종결 시기를 미리 정했으나 외적 상황에 의하여 집단을 종결하게 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사회복지사는 집단원들로 하여금 전체 집단과정에서 자신에게 어떤 의미가 있었는가를 인식시키고 그러한 기억과 경험을 상호간에 나누어 가지도록 도와야 한다. 이를 통해 집단원의 성장 및 변화에 대한 사정을 하고 집단 시작 시점과 현재를 비교해 어떤 변화가 좋았는가 나빴는가를 발견하도록 함으로써 일반적이고 막연한 진술보다는 구체적으로 무엇이 좋았는가, 어떤 행동을 학습하였는가를 기억해내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이 진행된다면 집단과정을 통해서 미해결 과제나 미진한 사항은 무엇인가를 발견해낼 수 있을 것이고 이를 통해 집단과정 이후의 개별적인 도움, 타 전문가를 통한 도움을 의뢰함으로써 실패의 가능성 역시 줄어들 것이다.
이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피드백이라고 생각된다. 앞서 행했던 피드백들에 대한 사항을 집단 구성원들이 서로 이야기하도록 도와주고, 상담가와의 대화 역시 이끌어냄으로써 구성원 스스로가 자신의 행동을 점검하도록 함으로써 앞으로 더욱 자아가 발전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상담가는 집단 종결시 집단 과정에 대한 평가를 한다. 집단 과정에 대한 평가는 집단의 분위기, 응집도, 상담가의 리더십, 집단원의 역할, 의사소통, 인간관계의 형태, 집단 상담에 사용한 기법들에 대해 평가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담가가 스스로 자신을 평가할 수도 있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더욱 훌륭한 상담가가 되도록 깨우칠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사회복지-청소년문제:비행청소년과 가족 복지
청소년복지의 이념과 청소년 복지정책
청소년복지(한국청소년복지)
(청소년복지) 청소년비행의 실태와 청소년비행 관련법
청소년복지 실천 이론 및 청소년복지 과제
(청소년복지정책) 한국의 청소년복지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청소년복지] 청소년복지 전달 체계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청소년복지] 청소년복지정책(靑少年福祉政策)의 발달 과정 - 1961년 이전, 1961-1970년대, 1...
우리나라 청소년복지정책과 외국의 청소년복지정책을 각각 한 가지씩 찾아서 정리하세요.
(특별청소년 特別靑少年) 청소년복지지원법 제15조 특별청소년에 대한 중요 지원내용과 발전...
청소년 문제를 아노미이론으로 접근 할 때 발생되는 청소년 문제들과 이 문제들을 해결하기 ...
청소년복지정책을 보편주의와 선별주의 관점에서 평가하고 이러한 관점에서 현행 청소년복지...
(청소년복지론 공통)청소년복지 실천현장의 인터넷 방문보고서
(청소년복지론 공통) 청소년복지 실천현장의 인터넷 방문보고서 작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