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5공화국시대 전두환 정권의 등장과 제정책
2. 4·13 호헌과 직선제 개헌운동
3. 5·18 광주민주화항쟁
4. 제5공화국 신군부의 집권과 권위주의 체제의 개량화
2. 4·13 호헌과 직선제 개헌운동
3. 5·18 광주민주화항쟁
4. 제5공화국 신군부의 집권과 권위주의 체제의 개량화
본문내용
2일에 선거가 실시되었다.
1980년도에 정치규제를 당해 그간 정치활동을 하지 못하던 구정치인들에 대한
규제조치가 풀렸다. 여기에서 풀린 야당계의 정치인들은 새로 신한민주당을 창당하여 대부분 정치 일선에 복귀하였으며, 이 신당을 중심으로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 참가하였다. 선거 결과 전국구 92석과 지역구 184석 등 총 176석중 민정당이 지역구 87석과 전국구 61석, 신한민주당이 지역구 50석, 전국구 17석, 민한당이 지역구 26석, 전국구 9석, 국민당이 지역구 15석, 전국구 5석 등을 각각 차지했다. 그 당시 고흥군과 보성군의 전남 제8선거구에서는 민주한국당 류준상, 한국국민당 신형식, 신한민주당 임미준, 민주정의당 이대순 등 4인의 후보가 출마했다. 선거결과 민주한국당 류준상후보와 민주정의당 이대순후보가 제12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4) 각급사회단체
민주평화통일정책 자문회의
1981년 3월 14일 법률 제3383호로 평화통일 정책자문회의법이 제정되었다.
평화통일 협의회는 조국의 평화적 통일을 지향하는 민족의 염원을 성실히 대변하여 대통령의 자문에 응할 수 있는 인사 [대통령 선거인, 지역지도급인사]중에서 대통령이 위촉하여 구성되었다. 민주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고흥군 협의회는 1981년 9월 5일 자문위원 총 37명, 3개분과위원회(운영, 홍보교육, 지역협력분과위원회)로 당연직 자문위원 27인과 직능직위원 10인으로 구성, 설치되었다. 그 후 사망 또는 해촉 등으로 현재에는 총 34명, 6개 분과위원회(운영, 정책, 교육, 지역, 협력, 여성, 감사)로 구성, 운영하고 있다.
1980년도에 정치규제를 당해 그간 정치활동을 하지 못하던 구정치인들에 대한
규제조치가 풀렸다. 여기에서 풀린 야당계의 정치인들은 새로 신한민주당을 창당하여 대부분 정치 일선에 복귀하였으며, 이 신당을 중심으로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 참가하였다. 선거 결과 전국구 92석과 지역구 184석 등 총 176석중 민정당이 지역구 87석과 전국구 61석, 신한민주당이 지역구 50석, 전국구 17석, 민한당이 지역구 26석, 전국구 9석, 국민당이 지역구 15석, 전국구 5석 등을 각각 차지했다. 그 당시 고흥군과 보성군의 전남 제8선거구에서는 민주한국당 류준상, 한국국민당 신형식, 신한민주당 임미준, 민주정의당 이대순 등 4인의 후보가 출마했다. 선거결과 민주한국당 류준상후보와 민주정의당 이대순후보가 제12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4) 각급사회단체
민주평화통일정책 자문회의
1981년 3월 14일 법률 제3383호로 평화통일 정책자문회의법이 제정되었다.
평화통일 협의회는 조국의 평화적 통일을 지향하는 민족의 염원을 성실히 대변하여 대통령의 자문에 응할 수 있는 인사 [대통령 선거인, 지역지도급인사]중에서 대통령이 위촉하여 구성되었다. 민주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고흥군 협의회는 1981년 9월 5일 자문위원 총 37명, 3개분과위원회(운영, 홍보교육, 지역협력분과위원회)로 당연직 자문위원 27인과 직능직위원 10인으로 구성, 설치되었다. 그 후 사망 또는 해촉 등으로 현재에는 총 34명, 6개 분과위원회(운영, 정책, 교육, 지역, 협력, 여성, 감사)로 구성, 운영하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