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국악교육의 의의
2. 국악교육의 가치
3. 국악교육의 중요성
4. 국악이론 정리
2. 국악교육의 가치
3. 국악교육의 중요성
4. 국악이론 정리
본문내용
장단에 이르기까지 형태가 매우 다양하다. 또 음악의 특징에 따라 그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지기도 하고, 생략되거나 첨가되기도 한다. 이처럼 우리 음악의 장단은 매우 다양하며, 서양 음악에 비해 많은 요소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단이야말로 우리 음악의 가락을 한층 더 멋스럽게 해 주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 음악을 일컬어 ‘장단 중심의 음악’이라고 할 만큼 장단은 우리나라 음악에서 중요한 구실을 한답니다. 우리나라 장단의 가장 뚜렷한 특징은 빠른 음아이든 느린 음악이든, 모두 1박자를 3등분한 ‘3박자 계통의 장단’ 이 대부분이라는 점이다. 반면 서양 음악은 2박자 계통의 리듬이 대부분이다. 또 한가지는 ‘강한 박으로 시작하여 여린박은 끝나는 점’인데, 서양 음악은 이와 반대라는 걸 아마 알고 있을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모두 우리 민족만의 고유한 문화속에서 자연 발생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전통 음악에서 장단은 주로 장구로 맞추는데, 기악 합주나 독주, 노래 반주의 경우가 그러하고, 판소리의 경우만 예외적으로 북이 장단을 맞춰요. 특히 판소리에서 북 치는 사람을 ‘고수’라 부르는데, 고수는 장단뿐만 아니라 멋진 추임새를 넣어 소리하는 사람과 소리판 전체의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부터 ‘1고수2명창’이라는 말이 전해져 올 만큼 고수의 역할, 즉 장단은 우리 음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2) 높고 낮은 가락이 어우러지는 장구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장단 악기라 하면, 역시 장구를 들 수 있다. 이제 여러분은 장구를 치면서 장단을 배우게 될 것예요. 장구는 삼국 시대 때부터 사용해 온, 아주 오래된 악기죠. ‘장고’라고도 하며, 한자어로는 가운데 허리 부분이 가늘게 생긴 모양을 본따 ‘세요고’라도고 해요. ‘세요고’란 한자로 가늘다는 뜻의 ‘세’, 허리를 가리키는 ‘요’, 북을 가리키는 ‘고’를 듯하다. 장구의 왼쪽을 북편, 오른쪽을 채편이라 부르는데, 통의 길이가 짧고 넓으며 가죽이 거칠고 두꺼운 쪽이 북편이고, 통의 폭이 좁고 길며 가죽이 얇은 쪽이 채편이다. 북편의 소리는 굵고 낮으며 채편의 소리는 가늘고 높다. 북편은 일반적으로 왼손바닥을 이용해 부드럽게 치지만 풍물 놀이나 사물 놀이 등에서는 궁굴채를 사용하기도 하다. 그리고 채편은 40cm의 대나무채를 쥐고 치는데 규모가 크거나 야외 연주 같은 음량이 큰 음악에서는 한복판을 치고, 독주나 규모가 작은 음악에서는 음량을 죽이기 위해 변죽을 쳐서 소리의 크기를 조절한다.
(3) 장단의 종류는 무척 많다.
① 정악장단
궁중에서 연주하던 곡이나 가곡, 가사 같은 양반들의 풍류 음악 장단이 여기에 속하다. 대체로 빠르기가 아주 느리며, 장구 가락이 복잡하지 않고 단순한 편이다.
② 민속악장단
민속악 장단은 아주 느린 장단에서부터 빠른 장단에 이르기까지 그 종류도 무척 많다. 정악 장단에 비해 대체로 빠르며, 잔가락을 많이 사용하는 점이 특징이다. 다음 장단들의 속도는 민요를 중심으로 정한 것이지만, 악곡에 다라 속도가 조금 빨라지거나 느려지기도 한다.
전통 음악에서 장단은 주로 장구로 맞추는데, 기악 합주나 독주, 노래 반주의 경우가 그러하고, 판소리의 경우만 예외적으로 북이 장단을 맞춰요. 특히 판소리에서 북 치는 사람을 ‘고수’라 부르는데, 고수는 장단뿐만 아니라 멋진 추임새를 넣어 소리하는 사람과 소리판 전체의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부터 ‘1고수2명창’이라는 말이 전해져 올 만큼 고수의 역할, 즉 장단은 우리 음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2) 높고 낮은 가락이 어우러지는 장구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장단 악기라 하면, 역시 장구를 들 수 있다. 이제 여러분은 장구를 치면서 장단을 배우게 될 것예요. 장구는 삼국 시대 때부터 사용해 온, 아주 오래된 악기죠. ‘장고’라고도 하며, 한자어로는 가운데 허리 부분이 가늘게 생긴 모양을 본따 ‘세요고’라도고 해요. ‘세요고’란 한자로 가늘다는 뜻의 ‘세’, 허리를 가리키는 ‘요’, 북을 가리키는 ‘고’를 듯하다. 장구의 왼쪽을 북편, 오른쪽을 채편이라 부르는데, 통의 길이가 짧고 넓으며 가죽이 거칠고 두꺼운 쪽이 북편이고, 통의 폭이 좁고 길며 가죽이 얇은 쪽이 채편이다. 북편의 소리는 굵고 낮으며 채편의 소리는 가늘고 높다. 북편은 일반적으로 왼손바닥을 이용해 부드럽게 치지만 풍물 놀이나 사물 놀이 등에서는 궁굴채를 사용하기도 하다. 그리고 채편은 40cm의 대나무채를 쥐고 치는데 규모가 크거나 야외 연주 같은 음량이 큰 음악에서는 한복판을 치고, 독주나 규모가 작은 음악에서는 음량을 죽이기 위해 변죽을 쳐서 소리의 크기를 조절한다.
(3) 장단의 종류는 무척 많다.
① 정악장단
궁중에서 연주하던 곡이나 가곡, 가사 같은 양반들의 풍류 음악 장단이 여기에 속하다. 대체로 빠르기가 아주 느리며, 장구 가락이 복잡하지 않고 단순한 편이다.
② 민속악장단
민속악 장단은 아주 느린 장단에서부터 빠른 장단에 이르기까지 그 종류도 무척 많다. 정악 장단에 비해 대체로 빠르며, 잔가락을 많이 사용하는 점이 특징이다. 다음 장단들의 속도는 민요를 중심으로 정한 것이지만, 악곡에 다라 속도가 조금 빨라지거나 느려지기도 한다.
추천자료
통합교육과정의 이론적인 배경과 통합교육의 주제에 따른 교육계획안 작성(통합교육과정-교과...
학교교육(공교육)의 특징, 학교교육(공교육)의 공공성과 다양화, 학교교육(공교육)의 만족도,...
학습자중심교육(학생중심교육) 정의와 운영 기초, 학습자중심교육(학생중심교육)과 특수교육...
학교교육(공교육)의 의의와 불공정성, 학교교육(공교육)의 질, 학교교육(공교육)과 교육복지,...
과학과교육(수업) 학습지도, 수학과교육(수업) 학습지도, 도덕과교육(수업) 학습지도, 국어과...
과학과교육 하이퍼미디어 수업자료(지도자료), 과학과교육 천체와 전기에너지 수업자료(지도...
교원정보소양교육(교사정보소양교육)의 특징과 의의, 교원정보소양교육(교사정보소양교육)의 ...
기술가정교육과정(기술가정과교육과정)의 목표와 개정중점, 기술가정교육과정(기술가정과교육...
미술관교육(수업)프로그램, 심성계발교육(수업)프로그램, 영재교육(수업)프로그램, STS(과학...
수학교육 도형과 국어교육 수준별 교수학습자료(수업자료), 실과교육 창의력개발과 제과제빵 ...
수학과교육 놀이중심교육(놀이중심학습)의 필요성, 수학과교육 놀이중심교육(놀이중심학습)의...
실과과교육과정(실과교육과정)의 특징, 실과과교육과정(실과교육과정)의 기본 방향, 실과과교...
전통음악교육(교수학습)프로그램, 직업준비교육(교수학습)프로그램, 인성교육(교수학습)프로...
체육과교육(학습, 수업)의 목적, 체육과교육(학습, 수업)의 교과용 도서와 평가, 체육과교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