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문적 연구를 같이할 수 없는 지에 대해 질문했다. 이에 곽재성 학과장은 연구자와 실제 현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만남의 장을 만들어 주는 것을 강조했으며 정유아 팀장도 이에 동의했다. 이외에도 논의가 전반적으로 정책적인 부분이 강조되다 보니 실제 현장에서 일하는 NGO들의 의견은 반영하지 못한 것 같아 아쉬웠다는 의견도 있었다. 뿐만 아니라 더욱 큰 차원에서 국제개발협력을 논할 때 정책만 가지고 논할 것이 아니라 사람이 중심이 되는 담론 형성을 강조하며 국제개발협력 분야의 인간과 사회 분야 전공자의 중요성에 대한 의견들이 나오는 등 다 방면에서의 제안이 있었다. 이번 31차 ODA 월례토크를 통해 국제개발협력 연구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국제개발협력 연구 및 국제개발협력 분야 자체의 발전을 위해서도 장기적, 지역 중심적, 사람중심적인 개발전략 수립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민관이 서로 협력하는 가운데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 및 청년인력의 참여가 필요함에 공감할 수 있는 자리였다. 현재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국제개발협력 연구 분야가 향후 더욱 많은 논의를 통해 제대로 된 개발담론을 형성할 수 있는 장이 되기를 바란다.
추천자료
한국의 국제수지 동향 분석
남아시아 경제협력과정과 한국의 발전전략
한국의 국제경쟁력 결정요인과 강화방안
국제정치환경 변화에 따른 북한의 개혁개방정책과 한국의 대북정책 수립
남북 경제협력과 한국의 대응
[노사협력][노사협력 기법][한국 노사협력 사례][외국 노사협력 사례][노사관계]노사협력의 ...
[방통대 법학과 국제법 4학년]범죄인인도 제도를 설명하시오 (한국의 범죄인인도법의 내용도 ...
한국타이어의 국제경영 분석
한국 국제마케팅의 문제점과 진로
한국형 국제결혼의 문제 모습과 그 해결방안
(국제경영,글로벌경영) A+자라(zara)의 한국진출 성공사례 -기업분석 산업구조분석.stp, swo...
동아시아 자유무역지대의 국제정치와 한국
[국제경영학] 미국 트럼프 정부의 무역정책이 향후 한국 기업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