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미국의 물리치료사
2. 미국의 DA (Direct Access)제도
3. 미국의 물리치료사 부족현황
4. 미국의 물리치료사 부족대책
5. 보조물리치료사의 정물리치료사화
6. 미국내 대학현황 및 학제
7. 보수
8. 외국인의 미국면허시험
2. 미국의 DA (Direct Access)제도
3. 미국의 물리치료사 부족현황
4. 미국의 물리치료사 부족대책
5. 보조물리치료사의 정물리치료사화
6. 미국내 대학현황 및 학제
7. 보수
8. 외국인의 미국면허시험
본문내용
$ 67,169 $ 64,906
Neurorehabilitation $ 55,838 $ 55,370
Nursing Home/Extended Care $ 64,158 $ 61,478
* 1,243/6,000 members
8. 외국인의 미국면허시험
미국이외의 나라에서 교육받은 물리치료사는 먼저 영문성적증명서를 미국의 학력평가위원회 (International Education Research Foundation, Credentials Evaluation Service)에 제출하여 학력을 평가받은 다음 물리치료면허시험위원회 (State Board of Physical Therapy)에 시험응시신청서와 함께 제출한다. 물리치료면허시험위원회에서는 응시자의 학력이 시험자격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응시자에 통보한다. 학점이 충분하면 시험일정을 선택하여 시험을 치른다. 시험은 선다형 200문항의 필기시험으로 년 중 3월, 7월, 11월 3회에 걸쳐 주별로 시행한다. 필기시험에 합격한 후 일정기간동안 특정한 병원에 근무하면서 감독물리치료사 (Supervisor)로 부터 물리치료실무 및 언어등 평가받는다. 감독물리치료사의 소견서에 따라 주의 시험위원회에 합격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학력이 부족한 것으로 판정되면 시험위원회에서 통보한 과목을 대학에가서 학점등록하여 해당과목을 수강하고 학점을 취득해야 한다. 우리나라 학생들이 학력평가에서 부족한 것으로 판정받는 과목은 대개 자연과학 기초과학 (생물학, 물리, 화학, 수학), 전공기초과학과 (Pathology, Physiology, Psychology등), 전공과목 중 Statistics, Research Method, Administration과목들이다. 그러나 대학의 학점등록금이 매우 비싸고 영어가 원만하지 않으면 기초과학의 학점취득이 쉽지만은 않다. 더구나 최근에 이르러 학점취득제를 인정하지 않고 학사학위를 요구하는 주가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뉴욕주와 함께 시험이 까다롭기로 이름난 캘리포니아주의 경우 고득점자 20-30%정도만 합격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북미자유무역협정의 체결로 주정부 국가시험에서 외국에서 교육받은 물리치료사에게 고득점을 더 이상 요구할 수 없기 때문에 물리치료교육심의평가위원회 (Commission on Accreditation in Physical Therapy Education)의 심의규정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Neurorehabilitation $ 55,838 $ 55,370
Nursing Home/Extended Care $ 64,158 $ 61,478
* 1,243/6,000 members
8. 외국인의 미국면허시험
미국이외의 나라에서 교육받은 물리치료사는 먼저 영문성적증명서를 미국의 학력평가위원회 (International Education Research Foundation, Credentials Evaluation Service)에 제출하여 학력을 평가받은 다음 물리치료면허시험위원회 (State Board of Physical Therapy)에 시험응시신청서와 함께 제출한다. 물리치료면허시험위원회에서는 응시자의 학력이 시험자격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응시자에 통보한다. 학점이 충분하면 시험일정을 선택하여 시험을 치른다. 시험은 선다형 200문항의 필기시험으로 년 중 3월, 7월, 11월 3회에 걸쳐 주별로 시행한다. 필기시험에 합격한 후 일정기간동안 특정한 병원에 근무하면서 감독물리치료사 (Supervisor)로 부터 물리치료실무 및 언어등 평가받는다. 감독물리치료사의 소견서에 따라 주의 시험위원회에 합격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학력이 부족한 것으로 판정되면 시험위원회에서 통보한 과목을 대학에가서 학점등록하여 해당과목을 수강하고 학점을 취득해야 한다. 우리나라 학생들이 학력평가에서 부족한 것으로 판정받는 과목은 대개 자연과학 기초과학 (생물학, 물리, 화학, 수학), 전공기초과학과 (Pathology, Physiology, Psychology등), 전공과목 중 Statistics, Research Method, Administration과목들이다. 그러나 대학의 학점등록금이 매우 비싸고 영어가 원만하지 않으면 기초과학의 학점취득이 쉽지만은 않다. 더구나 최근에 이르러 학점취득제를 인정하지 않고 학사학위를 요구하는 주가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뉴욕주와 함께 시험이 까다롭기로 이름난 캘리포니아주의 경우 고득점자 20-30%정도만 합격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북미자유무역협정의 체결로 주정부 국가시험에서 외국에서 교육받은 물리치료사에게 고득점을 더 이상 요구할 수 없기 때문에 물리치료교육심의평가위원회 (Commission on Accreditation in Physical Therapy Education)의 심의규정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추천자료
[물리치료] Injury mechanism
[물리치료] Motor learning and control Contents
[물리치료] Muscular Dystrophy and Spinal Muscular Atrophy 근육성이영양증과 척수의 근육...
[물리치료] 연구방법론
심호흡계 물리치료 (Cardiopulmonary Physical Therapy)
피로골절의 물리치료와 재활
[가정]가정에서의 위탁양육, 가정에서의 물리치료, 가정에서의 여가생활, 가족생활주기(Famil...
근골격계 질환[물리치료]
지역사회 복지를 위한 물리치료사의 역할.
물리치료 - 파킨슨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에서 실시하는 치료적 운동방법
[신경계 물리치료 사례연구] 신경계case - 안면마비
[질환별 물리치료] PMD[Progressive Muscular Dystrophy]
[질환별 물리치료] 운동신경원 질환과 감각신경원 질환
[KANUDA] 기능성 물리치료 베개의 블루오션을 개척한 가누다(Kanuda) 브랜드 발표.pp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