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발달장애의 개념
2. 발달장애의 유형별 원인과 특성
3. 발달장애의 유형별 원인
4. 발달장애의 유형별 특성
5. 발달장애와 부모 역할
참고문헌
2. 발달장애의 유형별 원인과 특성
3. 발달장애의 유형별 원인
4. 발달장애의 유형별 특성
5. 발달장애와 부모 역할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정 혼자서 지는 것이 아니다. 국가와 지역사회가 각종 사회보장제도를 만들고 관련 전문가들을 투입하는 것은 그래서 당연한 일이다. 지치고 어려울 때 전문성이 필요할 때 주변의 자원에 도움을 청할 수 있어야 한다.
7) 웰빙 부모아래 웰빙 장애자녀가 있다. 스트레스 관리가 중요하다.
부모나 가족이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가족이 정신적 여유가 없으면 아동은 더욱 조급해지고 더욱 상태가 악화된다. 스트레스를 나타내는 신체적 심리적 신호를 알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우울, 권태, 울고 싶은 충동, 의심, 신경과민, 불안, 부정적 사고, 무기력, 피로감, 도망치고 싶은 욕구 등이 심리적 신호이다.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흡연, 약물 사용 증가, 충동성, 부적절한 울음, 과다 또는 극소의 식사, 과도한 시도, 고립, 다른 사람을 속임, 음주나 물질 오용의 증가, 심한 잔소리, 심하게 비판적으로 되는 것, 심한 냉소감, 반사회적 행동이 나타남, 화를 빨리 내게 됨, 사고를 일으키기 쉬움, 논쟁적인 행동, 일의 능률이 떨어짐, 융통성이 없고 비협조적인 행동 등이 나타나게 된다. 스트레스가 발견되면, 운동하기, 걷기나 달리기, 에어로빅, 스포츠, 춤, 원예, 취미생활, 스포츠 모임, 약물처방, 이완훈련, 심호흡 운동, 명상, 쇼핑, 진정시키는 음악 듣기, 텔레비전, 영화 보기, 먹기, 따뜻한 목욕 등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이것 또한 단기적인 효과에 그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해소법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가족이나 기타 주변자원의 효과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아이를 두고 혼자 스트레스를 풀기란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보다 장기적으로는 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한 전략을 세워야 한다. 스트레스를 풀기 위한 계획목적목표 세우기, 우선순위 매기기, 긍정적인 것을 강조하기, 긍정적인 생활태도 개발하기, 인내하고 용서하기, 공격적이기보다는 단호하게 말하기, 관계 형성하기, 습관 조절하기, 문제-해결 접근법 사용하기, 개념, 사고, 느낌의 의미를 분류하고 재분류하거나 바꾸기, 죄책감을 줄이거나 제거하고 자신을 용서하기, 임기응변의 지혜를 이용하기, 사회적 참여 방법을 개발하기, 지식과 이해의 폭을 넓히기, 자기 이해를 증진시키기, 지원적인 집단에 참여하기, 할 수 없는 것과 변화시키고통제하고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을 분리하는 방법을 배우기, 갈등 해결 방법을 사용하기, 시간 조절하기, 레크리에이션에 규칙적으로 참여하기, 열린 마음으로 의사소통하기 등의 전략을 세워보도록 한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부모를 비롯한 가족들의 여유와 건강한 삶에 대한 가치관과 태도이다. 가족간의 역할분담이 필요하며, 주변의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여유를 가질 필요가 있다. 웰빙, 행복하고 안녕한 즐거운 삶은 우리의 오늘 하루를 얼마나 기쁘게 시작하느냐에 달려있다. 아이들은 늘 자라나고 있다.
참고문헌
김윤옥,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 교육과학사, 2006
김동일, 학습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 학지사 2003
7) 웰빙 부모아래 웰빙 장애자녀가 있다. 스트레스 관리가 중요하다.
부모나 가족이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가족이 정신적 여유가 없으면 아동은 더욱 조급해지고 더욱 상태가 악화된다. 스트레스를 나타내는 신체적 심리적 신호를 알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우울, 권태, 울고 싶은 충동, 의심, 신경과민, 불안, 부정적 사고, 무기력, 피로감, 도망치고 싶은 욕구 등이 심리적 신호이다.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흡연, 약물 사용 증가, 충동성, 부적절한 울음, 과다 또는 극소의 식사, 과도한 시도, 고립, 다른 사람을 속임, 음주나 물질 오용의 증가, 심한 잔소리, 심하게 비판적으로 되는 것, 심한 냉소감, 반사회적 행동이 나타남, 화를 빨리 내게 됨, 사고를 일으키기 쉬움, 논쟁적인 행동, 일의 능률이 떨어짐, 융통성이 없고 비협조적인 행동 등이 나타나게 된다. 스트레스가 발견되면, 운동하기, 걷기나 달리기, 에어로빅, 스포츠, 춤, 원예, 취미생활, 스포츠 모임, 약물처방, 이완훈련, 심호흡 운동, 명상, 쇼핑, 진정시키는 음악 듣기, 텔레비전, 영화 보기, 먹기, 따뜻한 목욕 등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이것 또한 단기적인 효과에 그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해소법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가족이나 기타 주변자원의 효과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아이를 두고 혼자 스트레스를 풀기란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보다 장기적으로는 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한 전략을 세워야 한다. 스트레스를 풀기 위한 계획목적목표 세우기, 우선순위 매기기, 긍정적인 것을 강조하기, 긍정적인 생활태도 개발하기, 인내하고 용서하기, 공격적이기보다는 단호하게 말하기, 관계 형성하기, 습관 조절하기, 문제-해결 접근법 사용하기, 개념, 사고, 느낌의 의미를 분류하고 재분류하거나 바꾸기, 죄책감을 줄이거나 제거하고 자신을 용서하기, 임기응변의 지혜를 이용하기, 사회적 참여 방법을 개발하기, 지식과 이해의 폭을 넓히기, 자기 이해를 증진시키기, 지원적인 집단에 참여하기, 할 수 없는 것과 변화시키고통제하고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을 분리하는 방법을 배우기, 갈등 해결 방법을 사용하기, 시간 조절하기, 레크리에이션에 규칙적으로 참여하기, 열린 마음으로 의사소통하기 등의 전략을 세워보도록 한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부모를 비롯한 가족들의 여유와 건강한 삶에 대한 가치관과 태도이다. 가족간의 역할분담이 필요하며, 주변의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여유를 가질 필요가 있다. 웰빙, 행복하고 안녕한 즐거운 삶은 우리의 오늘 하루를 얼마나 기쁘게 시작하느냐에 달려있다. 아이들은 늘 자라나고 있다.
참고문헌
김윤옥,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 교육과학사, 2006
김동일, 학습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 학지사 2003
추천자료
발달과정 분석과 발달장애(이상행동) 분류 및 이상행동유형의 치료와 교육방법 - 아동행동연...
[자폐]자폐아(자폐증아동, 자폐아동, 전반적 발달장애)의 행동, 자폐아(자폐증아동, 자폐아동...
[아동발달]아동기 정신장애 - 전반적 발달장애(자폐장애, Rett장애, 소화기붕괴성장애, Asper...
[아동기 발달장애] 아동기 행동장애 (자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품행장애, 학습장애등)과 ...
★아동기의 발달장애★ 아동기의 행동장애(자폐장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품행장애, 학습...
발달장애(developmental disability) 아동의 식사(편식) 지도 - 장애영역에 따른 식사시 어려...
발달장애인(發達障碍人)의 성(性)과 성적인 삶 - 성적존재로서 지적장애인, 지적장애인의 사...
[문제행동과 놀이치료] 아동의 문제행동 종류, 전반적 발달장애, 놀이치료 방법, 발달장애, ...
전반적 발달장애(소아기 자폐증, 소아기 붕괴성장애, 아스퍼거장애, 레트장애)
[유아기 발달장애] 유아기의 발달장애(언어장애, 수면장애, 야뇨증)
전반적 발달장애 [자폐 장애, 레트장애, 아동기 붕괴성 장애, 아스퍼거 장애, 주의력 결핍과 ...
발달장애(불안장애, 기분장애, 수면장애)
아동기 발달장애(학교공포증, 신경증적 습관장애, 품행장애, 독서곤란증, 학습장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