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청에서 분류하고 있는 건강기능성 식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약청에서 분류하고 있는 건강기능성 식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건강기능성식품의 종류 및 기능성에 대해 조사
2. 나의 가족에게 추천해주고 싶은 건강기능성식품을 선별하여, 선별한 이유 등에 대해서
3. 건강기능성 식품의 불필요성
4. 건강기능성 식품에 대한 나의 의견
참고문헌

본문내용

여 사회에 물의를 일으킨 적도 있었다.건강기능성식품을 "만병통치약"처럼 파는사람들은 장소를 이곳 저곳으로 자주 이동하며 노인들의 호주머니를 털어내고 있지만, 몇만원짜리 건강기능성식품이 수십만원 부풀려 팔면서 점조직 형태로 노인들 부녀자들을 울리고 있다. 선전하는 장소에 사람을 데리고 오는 사람에게 특별선물을 주기도 하여 "공짜" 좋아하는 심리를 교묘히 이용하고 있다. 최근에 일어난 경주 관광버스 사고도 " 효도관광" 이라는 이름아래 건강기능성식품을 팔려다가 일어난 참사다. 그러한 건강기능성식품을 판 사람들은 절대 "만병통치약"으로 선전하지 않았다고 발뺌하지만 그곳을 다녀온 사람들의 애기와는 언제나 상반되기 마련이다.
건강기능성식품이란 말이 유행병처럼 전파되고 있다. 건강기능성식품이란 무엇일까?
건강기능성식품은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그야말로 어떤 특별한 영양 물질이 함유하여 우리 인체에서 작용하여 병을 예방 치료할 수 있도록 보조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식품을 말한다. 약은 독성이 있어도 허가 되지만 식품은 독성이 없어야 한다. 독성이 전혀 없으면서도 인체의 기능을 활성화하고 기능을 높이는 식품을 건강기능식품이라고 하지만 100% 신뢰는 금물이다. 왜냐하면 사람은 체질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질병예방에도 효과를 보조할 수 있도록 만든 식품이 건강기능성 식품인데 그 효과를 과장 확대시키고 있다. 건강기능성식품인 홍삼 흑마늘등을 선택할 때는 식약청 인증 허가품목인지를 확인하고 유사 건강기능식품도 원료 배합등 곰곰히 살펴보는 주의가 요구 된다. 나도 홍삼이라는 상표가 붙은 액정상태의 선물을 받은적이 있는데 홍삼액은 10%를 넣고 겉포장은 홍삼이라고 타이틀이 붙어 있었다. 노인들을 유혹하는 상품은 유사품을 만들어서 폭리를 취하고 그 효과는 검증이 어렵다고 보면 된다.
식품과 건강기능성식품의 차이점은 식품중에서 기능성이 뛰어난 먹거리를 가공하면서 한약재등을 첨가하여 특별한 기능성식품이라고 과대선전을 일삼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의약품과 건강기능성식품은 그 차원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유사 의약품으로 선전하여 파는 행위로 노인들이나 부녀자를 유혹하는 일이 없도록 판매장소등을 규제하여 더 피해자가 나오지 않도록 엄정 단속이 요구되고 있다.
참고문헌
곽재욱, 건강기능식품 강의, 신일상사, 2005
노완섭, 건강보조식품과 기능성 식품, 효일문화사, 2000
식의약품안전청, http://www.kfda.go.kr/
  • 가격3,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66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