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각급 학교와 협력체계 구축
2. 다전공, 다분야의 참여구조 확립
3. 중앙-시도-시군구 관계 정립
4. 센터의 홍보강화와 지역사회 내 접근성 확보
5. 찾아가는 서비스(outreach service)의 적극적 활용
6. 주체적인 참여자로서의 가족강화와 가족간 지원연계 모색
7. 업무 기획과 인력 관리 능력 향상
참고문헌
2. 다전공, 다분야의 참여구조 확립
3. 중앙-시도-시군구 관계 정립
4. 센터의 홍보강화와 지역사회 내 접근성 확보
5. 찾아가는 서비스(outreach service)의 적극적 활용
6. 주체적인 참여자로서의 가족강화와 가족간 지원연계 모색
7. 업무 기획과 인력 관리 능력 향상
참고문헌
본문내용
모색되어야 한다. 즉 가족이 가족지원서비스를 받는 전제에서 벗어나 가족-가족, 가족-이웃, 가족-지역사회 간에 욕구와 자원이 다양한 방식으로 교환될 수 있는 체계나 소규모 단초를 만들어내는 지원사업은 21세기 시민사회 공동체를 만들어내는 단초가 될 수 있다.
7. 업무 기획과 인력 관리 능력 향상
여성가족부 직영, 독자적 공간 확보, 인력 규모 확대 및 다양한 인적 구성을 전제로 하여 업무 기획과 인력 관리 능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업무 기획 단계에서는 여성가족부에서 지향하는 성인지적 가족정책 이념을 반영하는 프로그램과 사업 내용 계발이 반영되어야 한다. 현재 ‘정보제공/문화운동팀’ ‘인력개발관리/지원평가팀’ 등으로 업무 분류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은 것은 중앙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의견과 여성가족부 견해를 종합하여 홍보 및 캠페인 담당, 인력 개발, 지역 건강가정지원센터 지원 및 평가 등 분야로 세분해야 할 것이다. 건강가정사 양성 교육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한 인력 및 조직 확보도 중요한데, 인력 관리와 교육을 맡고 있는 팀을 교육 내용에 따라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전문 인력 양성을 맡는 팀과 전문 인력 계속 교육을 담당하는 팀 간 구분이 있어야 할 것이고, 여성가족부 정책을 일반 대중이나 전문 인력을 대상으로 교육하는 팀 운영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참고문헌
김신열(2004), “건강가정지원센터 모형개발을 위한 시론". 『건강가정기본법에 대한 다학문적 입장과 사회복지관의 방향모색』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김양희 외(2005). “건강가정지원센터 운영모형”. 보건복지부.
7. 업무 기획과 인력 관리 능력 향상
여성가족부 직영, 독자적 공간 확보, 인력 규모 확대 및 다양한 인적 구성을 전제로 하여 업무 기획과 인력 관리 능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업무 기획 단계에서는 여성가족부에서 지향하는 성인지적 가족정책 이념을 반영하는 프로그램과 사업 내용 계발이 반영되어야 한다. 현재 ‘정보제공/문화운동팀’ ‘인력개발관리/지원평가팀’ 등으로 업무 분류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은 것은 중앙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의견과 여성가족부 견해를 종합하여 홍보 및 캠페인 담당, 인력 개발, 지역 건강가정지원센터 지원 및 평가 등 분야로 세분해야 할 것이다. 건강가정사 양성 교육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한 인력 및 조직 확보도 중요한데, 인력 관리와 교육을 맡고 있는 팀을 교육 내용에 따라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전문 인력 양성을 맡는 팀과 전문 인력 계속 교육을 담당하는 팀 간 구분이 있어야 할 것이고, 여성가족부 정책을 일반 대중이나 전문 인력을 대상으로 교육하는 팀 운영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참고문헌
김신열(2004), “건강가정지원센터 모형개발을 위한 시론". 『건강가정기본법에 대한 다학문적 입장과 사회복지관의 방향모색』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김양희 외(2005). “건강가정지원센터 운영모형”. 보건복지부.
추천자료
경기도 가정위탁 지원센터를 다녀와서
건강가정과 가족자원봉사에 대한 제도적 지원) 건강가정사업과 가족자원봉사
다문화가정 안산다문화가족지원센터
[건강가정론] 빈곤가족의 형성과정과 그 특성 및 지원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시오
다문화가정아동 - 거창군 다문화가족지원센터.PPT자료
건강가정론 - 가족복지 실천의 한 분야로서 ‘한부모 가정 지원서비스(엄마 힘내세요)’
[아동복지론] 다문화가정아동 _ 변천과정, 서비스의 종류와 내용(중앙정부, 다문화가족지원센...
노인건강관리사업 (노인, 노인방문건강관리사업, 일본노인방문간호, 호주노인가정방문지원, ...
가족복지(영유아보육법, 남녀고용평등, 일가정양립지원, 가족복지정책프로그램, 건강가정사업...
[건강가정사] 꾸준히 늘고 있는 다문화가족의 한국생활 정착을 위한 단계별 지원은 무엇이 있...
[건강가정론] 다문화가족지원법의 필요한 이유를 설명하고, 문제점과 지원정책의 방향에 대...
가족복지정책 관련 법 - 건강가정기본법, 한부모가족지원법, 민법, 영유아보육법, 근로기준법...
건강가정지원법과 관련된 주변의 아이돌봄 지원의 사례 중 한 가지 예를 들어 그것의 아이돌...
[건강가정지원법과 관련된 주변의 아이돌봄 지원의 사례 중 한 가지 예를 들어 그것의 아이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