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음이온/원적외선이란?
1) 음이온
2) 원적외선
2. 음이온의 효능
3. 원적외선의 효능
4. 음이온/원적외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5. 학계 및 의료계를 통한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으로 확인(발표)된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음이온 발생량(측정량)/원적외선의 방사량(방사율)의 최저 기준치는?
6. 기타, 음이온 및 원적외선과 관련한 전문 자료 (음이온의 확인 - 점적 분석)
참고문헌
1) 음이온
2) 원적외선
2. 음이온의 효능
3. 원적외선의 효능
4. 음이온/원적외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5. 학계 및 의료계를 통한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으로 확인(발표)된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음이온 발생량(측정량)/원적외선의 방사량(방사율)의 최저 기준치는?
6. 기타, 음이온 및 원적외선과 관련한 전문 자료 (음이온의 확인 - 점적 분석)
참고문헌
본문내용
ONa + H2SO4 → Na2SO4 + 2CH3COOH (식22-6)
6. 고 찰
이번 실험은 점적분석(spot analysis)을 통해서 음이온을 확인하는 실험으로써 6번의 실험을 통해 CO32-, SO42-, CrO42-, SCN-, Cl-, CH3COO-의 존재를 확인 하는 실험이었다. 먼저 (가)실험은 CO32-를 확인하는 실험으로써 0.5M Na2CO3 1㎖와 6M HCl 1㎖를 썩어주면 (식22-1)과 같이 반응하게 된다. 이 반응에서 CO2가 생성되어 기포가 발생한다. 우리는 이 기포의 관찰을 통해 CO32-의 존재를 확인 할 수 있다.
(나)실험은 SO42-를 확인하는 실험으로써 0.5M Na2SO4 1㎖, 6M HCl 1㎖, 1M BaCl2 1㎖를 썩어주면 (식22-2)와 같이 반응하게 되고 이에 따라 BaSO4가 생기게 된다. BaSO4는 침전하게 되는데 실험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시간이 조금 지난 후 침전물이 생김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실험은 CrO42-를 0.5M K2CrO4 1㎖, 6M H2SO4 2㎖ 이 두 가지를 썩어 줌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이 두 가지를 썩어줄 경우 주황색으로의 변화가 일어나는데 이 변화를 통해 CrO42- 의 존재를 확인 할 수 있는 것이다.
(라)실험은 SCN-을 확인하는 실험이었다. 0.5M KSCN 1㎖, 6M CH3COOH 1㎖, 0.1M Fe(NO3)3 1방울을 썩어줄 경우 두 가지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진한 와인색을 나타냄과 함께 강한 식초냄새가 나는데 식초 냄새의 경우는 (식2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CH3COOH의 생성으로 나는 냄새인 듯 하다.
(마)실험은 Cl-를 확인하는 실험으로 0.5M NaCl 1㎖과 6M HNO3 1㎖ 그리고 0.1M AgNO3 2~3방울을 넣음으로써 확인 할 수 있다. 이 세 가지를 넣을 경우 (식22-5)와 같은 반응을 통해 탁한색을 나타내면서 AgCl의 침전을 확인하게 된다.
끝으로 (바)실험을 통해 CH3COO-를 확인하는데 0.5M CH3COONa 1㎖와 3M H2SO4 1㎖를 썩었다. 그 결과 어떤 냄새나 색의 변화는 없었지만 pH의 측정을 통해 pH1이 나옴을 알 수 있었는데 이것은 2CH3COOH가 생성되었다는 것, 즉(식22-6)와 같은 반응이 일어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한가지 의문점은 (라)실험에서는 CH3COOH의 생성으로 인해 식초냄새가 났는데 (바)실험에서는 CH3COOH가 생성되었음에도 냄새가 나지 않았다는 의문이 생긴다. 어떤 실험상에서 오차이거나 실험결과를 확인함에 있어 냄새를 정확히 맡지 못해서이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이번 실험을 통해 어떤 미지의 시약이 있을 경우라도 각 음이온들의 특징을 알고 있다면 점적분석(spot analysis)실험을 통해 그 시약을 구성하는 성분이 무엇인가를 알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참고문헌
일반화학, 일반화학교재편찬위원회, 청문각, 2002
일반화학실험, 조성일, 이도원 공저, 청문각, 2003
대학화학실험법(단국대학교출판부) p.99~105
6. 고 찰
이번 실험은 점적분석(spot analysis)을 통해서 음이온을 확인하는 실험으로써 6번의 실험을 통해 CO32-, SO42-, CrO42-, SCN-, Cl-, CH3COO-의 존재를 확인 하는 실험이었다. 먼저 (가)실험은 CO32-를 확인하는 실험으로써 0.5M Na2CO3 1㎖와 6M HCl 1㎖를 썩어주면 (식22-1)과 같이 반응하게 된다. 이 반응에서 CO2가 생성되어 기포가 발생한다. 우리는 이 기포의 관찰을 통해 CO32-의 존재를 확인 할 수 있다.
(나)실험은 SO42-를 확인하는 실험으로써 0.5M Na2SO4 1㎖, 6M HCl 1㎖, 1M BaCl2 1㎖를 썩어주면 (식22-2)와 같이 반응하게 되고 이에 따라 BaSO4가 생기게 된다. BaSO4는 침전하게 되는데 실험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시간이 조금 지난 후 침전물이 생김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실험은 CrO42-를 0.5M K2CrO4 1㎖, 6M H2SO4 2㎖ 이 두 가지를 썩어 줌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이 두 가지를 썩어줄 경우 주황색으로의 변화가 일어나는데 이 변화를 통해 CrO42- 의 존재를 확인 할 수 있는 것이다.
(라)실험은 SCN-을 확인하는 실험이었다. 0.5M KSCN 1㎖, 6M CH3COOH 1㎖, 0.1M Fe(NO3)3 1방울을 썩어줄 경우 두 가지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진한 와인색을 나타냄과 함께 강한 식초냄새가 나는데 식초 냄새의 경우는 (식2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CH3COOH의 생성으로 나는 냄새인 듯 하다.
(마)실험은 Cl-를 확인하는 실험으로 0.5M NaCl 1㎖과 6M HNO3 1㎖ 그리고 0.1M AgNO3 2~3방울을 넣음으로써 확인 할 수 있다. 이 세 가지를 넣을 경우 (식22-5)와 같은 반응을 통해 탁한색을 나타내면서 AgCl의 침전을 확인하게 된다.
끝으로 (바)실험을 통해 CH3COO-를 확인하는데 0.5M CH3COONa 1㎖와 3M H2SO4 1㎖를 썩었다. 그 결과 어떤 냄새나 색의 변화는 없었지만 pH의 측정을 통해 pH1이 나옴을 알 수 있었는데 이것은 2CH3COOH가 생성되었다는 것, 즉(식22-6)와 같은 반응이 일어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한가지 의문점은 (라)실험에서는 CH3COOH의 생성으로 인해 식초냄새가 났는데 (바)실험에서는 CH3COOH가 생성되었음에도 냄새가 나지 않았다는 의문이 생긴다. 어떤 실험상에서 오차이거나 실험결과를 확인함에 있어 냄새를 정확히 맡지 못해서이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이번 실험을 통해 어떤 미지의 시약이 있을 경우라도 각 음이온들의 특징을 알고 있다면 점적분석(spot analysis)실험을 통해 그 시약을 구성하는 성분이 무엇인가를 알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참고문헌
일반화학, 일반화학교재편찬위원회, 청문각, 2002
일반화학실험, 조성일, 이도원 공저, 청문각, 2003
대학화학실험법(단국대학교출판부) p.99~105
추천자료
자립형사립고의 특징과 실태와 문제점 및 자립형 사립고의 확대 방안
소비자들의 금융관련 피해와 이를 구제하기 위한 관련법 연구
출산 후 산모들의 운동이 건강관련체력 및 혈액변화에 미치는 영향
우리사회의 여성문제 중 가정폭력의 문제현황, 관련정책 및 서비스 현황과 문제점을 제시하고...
아동정신병리학에 관련된 논문 article 요약
외국의 스쿨존 운영제도 관련 법규 및 우리나라 스쿨존 실태와 교통사고의 해결방안
15가지 장애종류 중 한 가지 종류와 관련된 정책에 대해 논하기(청각장애 및 언어장애)
하나투어의 하드블록에 따른 여행업계의 동향 및 영향 분석,하드블록,하드블록의의,하드블록...
멀티미디어의이해 - 3차원TV(3DTV) 관련 기술이 멀티미디어 분야와 관련하여 어떻게 적용...
특수학교교사 양성체제 실태 및 문제점- 양성기관(학부의 특수교육 관련학과 및 대학원의 특...
아동과학교육과 관련된 노래와 율동의 목록을 만들고 각기 과학교육의 어떤 내용과 관련이 있...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 및 지위향상을 위한 법률 조사
[국제정책 및 통상갈등 공통] 1) 최근 10년 내 발생한 국제통상관련 갈등(한국정부와 외국정...
[2018 특수아교육학개론4B]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정서 및 행동장애의 개념 원인 특...
소개글